본문 바로가기

문화방송 4775

과학카페 다빈치 프로젝트 - 수면의 과학 - 기억하려면 자라! 처음에 유영철이야기는 한참하다가 중요한 부분에서 다음편으로 넘어갔고... 수면의 과학은 잠을 충분히 자라는 이야기인데... 잠자는 동안에 우리의 뇌는 그냥 쉬는것이 아니라, 낮중에 보고 배운것에 대해서 정리하고, 복습한다는 그런 의미로 표현하는데.. 틀린 말은 아니나.. 너무 일반화하고, 몇가지 사례를 가지고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말하는것은 좀 문제가 있을듯하다... 인간의 불굴의 의지로 몇일동안 밤을 세워가면서 뭔가를 이루어낸 사람들의 케이스는 일반적인것에서 빼버린듯... 해서 좀 아쉬운 생각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이아몬드의 커팅에대한 소개인데, 총 58개의 면이고, 정확한 각도와 면적이 나와서 제대로 된 다이아몬드라고... 광란 소나타, 유영철 사건 (제1편) ◆ 방송일 : 2007년 2월 23일.. 2008. 8. 20.
VJ 특공대 - 수집은 나의 인생, 현장취재-119 긴급출동 24時 한국의 오타쿠들을 보여준 마지막 방송때문에 클립... 역시 모든것의 가치는 자신이 어떻게 느끼고, 소중하게 간직하냐에 따라서 그 의미를 가지는것이겠지...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처럼... 나도 무엇엔가 열정을 가져야할것이고... 그것에 나름대로의 큰 의미를 두고 살아가자! 1. 현장취재-119 긴급출동 24時 전국 119 구조대, 하루 평균 출동 건수 천여 건!! 그 중에서도 사선을 넘나드는 응급, 구급 출동만은 160만건에 달한다고 한다. 그런탓에 119 대원들은 단순 문 잠김, 애견구출 등 각종 민원 해결사 역할부터 일촉즉발 위기의 인명구조 현장까지!! 촌각을 다투는 사건사고들로 쉴 틈이 없다는데... 인천의 한 소방서, 오늘도 급한 전화한통으로 출동하고... 현장에 도착해보니 임산부의 하혈로 1분 1.. 2008. 8. 20.
EBS 세계의 미술관 - 루브르박물관, 모나리자 이탈리아 화가 다빈치의 작품인 모나리자가 왜 프랑스 박물관에 와 있는지.. 그 사연과 몇가지 유명한 작품에 대한 이야기들... 다빈치가 옮겨다니면서도 모나리자만은 꼭 가지고 다니면서 조금씩 완성을 해갔다던 작품... 뭐.. 제대로 알지도 못하지만 그다지 크지도 않고, 한때 박물관직원에게 도단을 당하면서 큰 유명세를 탓고, 다빈치코드라는 소설로 더욱 유명세를 가진 그림...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보기전에 방송이 나와서 한번 봐봤는데.. 관련 자료는 하나도 없구만...-_-;; 세계의.미술관.루브르박물관,모나리자.070220 모나리자 '다빈치코드' 풀렸다 ‘신비한 미소, 빛과 어둠이 동시에 묻어나는 두 손, 어둡게 묘사된 피부에서도 배어나오는 빛.’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12일 “프랑스 화가 겸 미술사가인 .. 2008. 8. 20.
세상에 이런 일이 - 쫙쫙맨,해골로봇,비둘기의 방문,우리 언니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몸이 쫙쫙 펴지는 할어버지 쫙쫙맨... 역시 뭐든지 시간을 들여서 노력을 한다면 못할것이 없다. 딸을 잃은후에 자꾸만 찾아와서 집에서 보내는 휘기종의 애완비둘기 이야기... 역시 사람은 감정의 동물인듯하다... 로봇을 만들어서 대한민국부흥을 꿈꾸기도 하는 한 할아버지의 망상같기도한 꿈 이야기... 그의 이상이 실현될지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그가 행복한 사람임에는 분명하다... 장애인 동생을 키우느라.. 평생을 살아온 누나... 시집도 못가고 모든것을 포기하고.. 하지만 본인은 당연한 일로 생각하고 봉사활동까지 하면서 부지런히 사는 모습... 이번 방송은 큰 감동은 없었지만..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 곰곰히 생각해본다... 꾸준히 노력을 들여서, 자신의 꿈을 향해서 묵묵하게 살아가.. 2008. 8. 20.
PD수첩 - 당신의 다이아몬드, 속고 사진 않았나요? 우리나라 다이아몬드 유통, 판매의 말도 안되는 구조를 보여준 방송... 물론 돈때문이다... 다이아의 주민등록증같은 보석감정서를 가라로 만들어서 비싸게 팔아먹고, 이를 은폐하고, 속이는 사람들... 아프리카에서는 내전의 원인, 국내에서는 사기의 원인... 축복의 보석이 아닌 저주의 돌맹이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다이아몬드는 영원하다’(A diamond is forever). 1947년 세계 최대의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De Beers)에 의해 고안된 이 카피는 다이아몬드를 영원한 사랑의 징표로 자리 잡게 했다. 실제로 다이아몬드는 ‘영원한 사랑의 상징’으로 우리나라 혼 수 예물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한국의 다이아몬드 시장에는 그 의미를 무색하게 만들 정도의 많은 문제점들.. 2008. 8. 20.
KBS 스페셜 다큐멘터리-온돌, 세계를 덥히다 우리나라의 온돌이 얼마나 위대한 발명품인지를 보여주는 방송... 외국은 벽난로식으로 방을 데우지만, 굴뚝으로 많은 열이 새나가서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고, 발보다는 머리가 따뜻해지는 방식이여서 몸에도 좋지 않다고, 하지만 우리의 온돌은 발은 따뜻하지만, 머리는 차가운 두한족열의 방식으로 사람의 몸에도 좋고, 열의 효율성도 아주 뛰어나다는것을 보여주고, 점차 세계적인 추세로 온돌식으로 바꾸는 집과 건물들... 그러고보니 우리나라도 집을 제외하고는 거의 온돌식이 아닌 중앙처리식으로 바뀌였는데.. 앞으로도 많이 개선되기를 바란다... 층간소음같은 것은 약간의 억측도 좀 없지 않아 있어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우리의 온돌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지를 알게된 방송이다. ◎ 방송 : 2007년 2월 18일 (일) .. 2008.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