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el통 971

MBC 100분 토론 일베에 대한 방송의 변희재, 패널 자격이 있나? 어제 엠비씨 백분토론에서 일베와 표현의 자유논란에 대한 방송이 있었는데, 보수진영의 패널로 변희재가 나왔더군요. 뭐 논리는 다음 아고라나 광우병 소고기 파동때도 좌파에서도 이런 일은 부지기수로 있었는데, 왜 일간베스트만 문제를 삼느냐라는 식이고, 곽동수씨의 과거의 발언을 문제삼아서 일베에 대한 비판에 문제를 제기 하기도... 좀 보다가 짜증나서 꺼버리고 말았는데, 문뜩 생각이 든것이 변희재가 mbc라는 공영방송에 패널로 나올 자격이 있나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방송중에 아주 거슬리던것이 소고기 거짓선동과 광주사태라는 표현인데, 쇠고기 거짓선동이야 논란의 여지도 있으니 그렇다고 치고, 광주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로 부르는것은 아주 상당히 거슬리는데, 역사적으로도 민주화운동으로 규명을 된것을 가지고 광주사태라고 .. 2013. 5. 29.
북한산 국립공원 매표소 앞에 버려진 등산객의 쓰레기를 보며, 대책이나 해결방법은? 북한산 수리봉에 올라갔다가 내려오는데, 구기매표소 앞에 뭐가 잔뜩 있더군요. 누가 뭘 놓고 갔나 싶어서 근처에 가보니 쓰레기 더미더군요...-_-;; 매표소 바로 앞에 잔뜩 버려두었는데, 개나 고양이가 어지럽혀 놓았는지... 무진장 지저분하게 되있습니다. 아마 누구 하나가 산에서 먹고난 쓰레기를 처음으로 버리고, 이후에 다른 사람들도 하나씩 쓰레기를 버리면서 이렇게 된듯 합니다. 깨진 유리창 법칙국내도서저자 : 마이클 레빈(Michael Levine) / 김민주역출판 : 흐름출판 2006.03.27상세보기 이런것을 일명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누구 하나가 쓰레기를 버리고 나니, 다른 사람들은 죄책감없이 마구 버리면서 이러한 일이 발생한듯 합니다. 국립공원 매표소 앞의 쓰레기 더미라... 참 보.. 2013. 5. 24.
정부,지자체 홈페이지가 검색엔진 로봇의 글수집을 막아 구글,포털에서 검색이 안되는 어이없는 현실 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지나가는데 길건너편에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를 연다고 현수막이 붙어 있더군요. 오호~ 좋은 기회네 나도 참석해봐야지라는 생각에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한장 찍어두고, 집에 와서 검색을 해봤는데, 얼레 검색이 거의 안되더군요...-_-;;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 홈페이지까지는 아니더라도, 은평구청의 공지나 관련 자료가 검색이 될줄 알았는데, 몇몇 뉴스만 검색이 되더군요. 은평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메인화면에 해당 자료에 대한 이미지까지 떠있고, 클릭을 하면 이번 2013 북한산 페스티벌의 일부행사중에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가 열린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근데 이 정보를 제가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의 검색엔진에서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로 검색을 하면 나와야 하는것이 정상일텐데,.. 2013. 5. 21.
서울혁신파크(사회혁신파크)과 마이스(MICE)산업-은평구 국립 보건원부지의 창조경제 요람이라는곳을 무엇일까?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식약청, 보건복지인력개발원 충북 오성 보건의료행정타운으로 이전 소식 서울 은평구 국립보건원 부지에 서울시립대 제2캠퍼스 유치 vs 웰빙경제문화타운 조성, 어떤것이 구민을 위한 정책과 선택일까? 제2의 강남 코엑스를 은평구 구 보건원부지에 유치하자는 현수막을 보며 떠오르는 가든파이브, 팜스퀘어 요즘 은평구 녹번동 구 국립보건원 부지의 사용용도를 놓고 말이 많았는데, 서울시의 사회혁신파크 계획이 은평구의회의 안들과 절충되어서 서울혁신파크라는곳으로 태어나는듯 합니다. 서울시는 2004년 보건복지부로부터 2000여억원을 들여 6만8000㎡의 부지를 매입했다고 하는데, 아파트단지가 몇개 들어올수도 있는 꽤 넓은 부지인데, 사회혁신파크는 마을공동체 지원센터, 인생이모작 지원센터, 사회.. 2013. 5. 18.
남양유업,윤창중,포스코 왕상무 사건으로 느끼는 스마트폰,SNS로 인한 수직적인 세상에서 수평적인 세계로의 이동 요즘 뉴스에서는 포스코 왕상무의 스튜어디스 폭행, 남양유업의 막말사태, 청와대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폭행 등으로 도배를 하고 있는듯 합니다. 이런 뉴스들때문에 국정원 댓글사건등 굴직하고, 중요한 사건들이 묻쳐가는듯한것이 좀 아쉽기도 하지만, 또 언제 그쪽으로 집중포화가 될지 모르는 일입니다. 만약 이 사건이 2013년이아니라... 2003년, 1993년에 터졌다면 어땠을까요? 그때도 지금처럼 사회의 이슈가 될수 있었을까요? 20년전인 1993년은 인터넷이라는것이 일반인들은 사용할수 없었던 시기이고, 10년전인 2003년은 스마트폰과 비슷한 제품은 있었지만, 전혀 대중화가 되지못했고, SNS라는것은 개념도 없었던 시기였는데, 아마 위의 3개의 사건이 언론을 독점하는 기관과 정부에 의해서 슬그머니 묻쳐버리거.. 2013. 5. 16.
박원순시장 취임후의 서울 한강시민공원의 이전과 전혀 다른 공사현장의 변화된 모습 한 일년만인가요.. 자전거를 타고 불광천을 통해서 망원, 마포, 원효대교쪽까지 다녀왔습니다.근데 예전에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후에 공사를 많이 시작한것은 알고 있는데, 꽤 여기저기 곳곳이 변화가 되었고, 지금도 열심히 공사중인듯 합니다.예전에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오세훈 시장때는 소규모 공사보다는 대규모 공사가 위주였습니다.MBC 뉴스 후플러스 - 여의도 마리나, 크루즈 운항, 서울항 이상한 한강개발크루즈 운항을 위한 양화대교 교량공사 재개?공사가 중단된 양화대교, 크루즈 선박을 위한 개량공사양화대교, 크루즈 운항, 세빛둥둥섬 등등... 아직도 원효대교 부근의 아파트에는 오세훈 독재개발 더 큰 용산참사라며, 서울시와 삼성이 우리집을 빼앗아 간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네요...코레일 용산개발사업 청산의 시발점이.. 201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