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홈페이지가 검색엔진 로봇의 글수집을 막아 구글,포털에서 검색이 안되는 어이없는 현실
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지나가는데 길건너편에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를 연다고 현수막이 붙어 있더군요. 오호~ 좋은 기회네 나도 참석해봐야지라는 생각에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한장 찍어두고, 집에 와서 검색을 해봤는데, 얼레 검색이 거의 안되더군요...-_-;;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 홈페이지까지는 아니더라도, 은평구청의 공지나 관련 자료가 검색이 될줄 알았는데, 몇몇 뉴스만 검색이 되더군요. 은평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메인화면에 해당 자료에 대한 이미지까지 떠있고, 클릭을 하면 이번 2013 북한산 페스티벌의 일부행사중에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가 열린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근데 이 정보를 제가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의 검색엔진에서 북한산 둘레길 걷기대회로 검색을 하면 나와야 하는것이 정상일텐데,..
2013. 5. 21.
서울혁신파크(사회혁신파크)과 마이스(MICE)산업-은평구 국립 보건원부지의 창조경제 요람이라는곳을 무엇일까?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식약청, 보건복지인력개발원 충북 오성 보건의료행정타운으로 이전 소식 서울 은평구 국립보건원 부지에 서울시립대 제2캠퍼스 유치 vs 웰빙경제문화타운 조성, 어떤것이 구민을 위한 정책과 선택일까? 제2의 강남 코엑스를 은평구 구 보건원부지에 유치하자는 현수막을 보며 떠오르는 가든파이브, 팜스퀘어 요즘 은평구 녹번동 구 국립보건원 부지의 사용용도를 놓고 말이 많았는데, 서울시의 사회혁신파크 계획이 은평구의회의 안들과 절충되어서 서울혁신파크라는곳으로 태어나는듯 합니다. 서울시는 2004년 보건복지부로부터 2000여억원을 들여 6만8000㎡의 부지를 매입했다고 하는데, 아파트단지가 몇개 들어올수도 있는 꽤 넓은 부지인데, 사회혁신파크는 마을공동체 지원센터, 인생이모작 지원센터, 사회..
2013. 5. 18.
남양유업,윤창중,포스코 왕상무 사건으로 느끼는 스마트폰,SNS로 인한 수직적인 세상에서 수평적인 세계로의 이동
요즘 뉴스에서는 포스코 왕상무의 스튜어디스 폭행, 남양유업의 막말사태, 청와대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폭행 등으로 도배를 하고 있는듯 합니다. 이런 뉴스들때문에 국정원 댓글사건등 굴직하고, 중요한 사건들이 묻쳐가는듯한것이 좀 아쉽기도 하지만, 또 언제 그쪽으로 집중포화가 될지 모르는 일입니다. 만약 이 사건이 2013년이아니라... 2003년, 1993년에 터졌다면 어땠을까요? 그때도 지금처럼 사회의 이슈가 될수 있었을까요? 20년전인 1993년은 인터넷이라는것이 일반인들은 사용할수 없었던 시기이고, 10년전인 2003년은 스마트폰과 비슷한 제품은 있었지만, 전혀 대중화가 되지못했고, SNS라는것은 개념도 없었던 시기였는데, 아마 위의 3개의 사건이 언론을 독점하는 기관과 정부에 의해서 슬그머니 묻쳐버리거..
2013. 5. 16.
박원순시장 취임후의 서울 한강시민공원의 이전과 전혀 다른 공사현장의 변화된 모습
한 일년만인가요.. 자전거를 타고 불광천을 통해서 망원, 마포, 원효대교쪽까지 다녀왔습니다.근데 예전에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후에 공사를 많이 시작한것은 알고 있는데, 꽤 여기저기 곳곳이 변화가 되었고, 지금도 열심히 공사중인듯 합니다.예전에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오세훈 시장때는 소규모 공사보다는 대규모 공사가 위주였습니다.MBC 뉴스 후플러스 - 여의도 마리나, 크루즈 운항, 서울항 이상한 한강개발크루즈 운항을 위한 양화대교 교량공사 재개?공사가 중단된 양화대교, 크루즈 선박을 위한 개량공사양화대교, 크루즈 운항, 세빛둥둥섬 등등... 아직도 원효대교 부근의 아파트에는 오세훈 독재개발 더 큰 용산참사라며, 서울시와 삼성이 우리집을 빼앗아 간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네요...코레일 용산개발사업 청산의 시발점이..
201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