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상식, 학습 239

舊緣必逢(구연필봉),작연필봉(作緣必逢),舊緣更續(구연갱속)-맺은 인연은 반드시 만난다 KBS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에서 나오는 사자성어로 만난인연, 만나게 될 인연은 반드시 다시 만나게 된다는 의미... 인연은 반드시 만난다는 필봉인연(必逢因緣)이라는 비슷한 말도... 이순원 - 은비령, 2천 5백만년후의 만남 소설 은비령에 나오는 천문학자의 이야기에서 한번 맺은 인연은 25,000,000년마다 똑같은 만남을 하고, 똑같은 사건이 이루어진다고 하는데, 이 드라마에서는 작위적이기는 하지만, 인연의 질긴 모습을 보여준다. 舊緣必逢(구연필봉) 옛 인연 반드시 만나다 作緣必逢(작연필봉) 맺은 인연 반드시 만나다 舊緣更續(구연갱속) 옛 인연 다시 이어지다. 하지만 또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운명이라는것은 마냥 기다린다고 해서 되는것은 아니지 않을까 하는... 내가 찾아가서 우연을 가장한 만남.. 2010. 7. 22.
김매기(피뽑기)를 하는 이유와 방법은? 청춘불패에서 군인들과 함께 김매기를 하는데, 일명 피뽑기라고도 하는데, 작물을 재배하는 곳에 생장하는 잡초를 뽑아 없애는 일로, 중고등학교때 교과서에서 배운듯...^^ 잡초가 작물과 함께 자라면 햇빛, 양분, 수분을 빼앗겨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때문에 해줘야 한다고... 2010/06/26 - [방송 iN] - 청춘불패 - 계곡에서 가재잡기, 어린시절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2010/06/07 - [자료 iN] - 벼, 쌀 모내기를 모판에 하는 이유와 모내기 하는 방법 2010/05/30 - [자료 iN] - 두릅과 더덕의 약효와 효능, 효과 2010/05/16 - [자료 iN/상식 iN] - 소에게 씌우는 멍에, 부리망(멍)을 하는 이유? 2010/05/02 - [자료 iN/상식 iN] - 농사.. 2010. 7. 15.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나오는 이유는? 여름감기 - 개도 안걸린다는데 왜 걸릴까? 기침을 너무 심하게 계속 하는 경우 선풍기를 틀어놓고 몇일을 잤더니, 때아닌 여름감기에 걸려서 목이 쉬고, 콧물이 엄청나게 나온다... 하루에도 코를 수십번을 푸는데, 코를 풀다가 보니... 왜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자주 나올까하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봄... 정상적인 건강 상태에서도 항상 점액이 분비가 되는데, 그 양이 적은 편이여서 밖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이 콧속의 점막에 침입하게 되면, 우리의 신체가 바이러스를 죽이려고 혈액 속의 수분이나, 백혈구를 대량으로 보내는데, 세균을 죽인 코의 점막세포들이 몸밖으로 내보내며, 이것이 콧물 감기초기에는 비교적 맑은 콧물이 나오고, 말기나 코질환에 걸렸을 경우에는 누런 콧물이 나온다고... .. 2010. 7. 8.
도낀 개낀, 도찐 개찐, 도긴 개긴의 뜻은? 도낀개낀, 도찐개찐 등으로 많이 쓰이기는 하지만, 도긴개긴이 옳은 말이라고 하며, "긴"이라는 말은 윷 놀이를 할때 자신의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길의 거리를 말하는것으로, 보통 윳놀이를 할때 도나 개가 나오면 상대방의 말을 잡을수 있어서 도긴개긴이라는 말을 사용을 하고는 하는데, 오십보 백보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 오십보 백보는 두개의 차이가 거기서 거리라는 말이지만, 도긴개긴은 둘중에 어느것도 상관없고, 무방하며, 별차이가 없다는 의미 도긴 개긴 [명사] 윷놀이의 도 로 가는 길이나, 개 로 가는 길이나, 대세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 사소한 차이. - '긴'은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길의 거리"를 뜻한다. '도낀 개낀'이나 '도찐 개찐'을 쓰는데 둘 다 바.. 2010. 7. 4.
차,이륜차,이륜자동차,원동기장치자전거,자전거의 차이와 구별 방법 2바퀴를 가진 차라는 일반적개념과 법률적 개념에서 혼동이 있는듯.. 법률용어로 정의하면, 자전거는 차이기는 하지만 이륜자동차는 아닙니다. 자동차(이륜자동차포함), 원동기장치자전거, 자전거 모두 차입니다. 그 중 도로교통법상 이륜자동차는 125CC 초과의 배기용량을 가진 오토바이를 말하며 2종소형 면허가 있어야 운행이 가능합니다. 그중 원동기장치자전거는 125CC 이하의 배기용량을 가진 오토바이를 말하며 원동기 면허가 있어야 운행이 가능합니다. (자동차관리법상 이륜자동차의 적용은 소형-100cc초과 중형-260cc초과 대형 으로 구분 됩니다만 이는 자동차 관리상의 정의인 것이라 도로교통법상의 정의로 구분합니다.) 자전거는 면허 없이도 운행이 가능합니다. 전동자전거는 원동기장치자전거로 원동기 면허 있어야 합.. 2010. 6. 17.
명불허전 (名不虛傳) 명불허전 [名不虛傳] [명사]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 예) 내가 중국에 있을 때 장군이 큰 그릇이란 말씀을 배불리 들었더니, 과연 명불허전이 오이다. 한마디로 이름값 한다는 말... 2010.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