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954

해피타임 저번주 일요일 아침에 우연히 본 방송... 한주간에 mBC에서 한 방송중에 하이라이트를 보여주고, 지난 옛 드라마의 총줄거리를 하나 보여주기도 하고, NG같은것을 모아서 보여주는 방송... 굳이 매번 드라마나 방송을 찾아보느니 이거 한편 봐도 괜찮을듯하다. 근데.. 이 방송에 왠 쓸데없이 엠씨에 게스트까지... 참 돈지랄도... 화제의 장면과 핫이슈의 결정판! MBC에서 방송된 드라마, 오락, 교양 프로그램 등 한 주 간 최고로 화제가 된 장면은 과연 무엇일까? 화제의 장면을 다시 보고, 그 장면들을 집중 분석해보는 코너. 떠나라! 드라마 촬영장 속으로!! 여러분도 드라마 속 주인공이 될 수 있다!! 드라마 촬영지 여행을 통해 드라마의 감동을 다시 한 번 느껴보는 시간! 드라마, 영화, CF 등 궁금했던.. 2008. 9. 21.
뉴스후 - 대박 난 사람들 쪽박 찬 사람들 요즘 우리나라도 주식이 대폭올랐다가 떨어졌다가.. 롤라코스트를 반복하고 있지만, 대부분 돈을 번 사람들은 기관이나 외국투자자들.. 그 속에서 쪽박을 찬 개미들... 왜 그들이 쪽박을 찾을까하는 이유를 찾아본 방송...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사기를 치는 사람들에게 속은 사람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모든 이유는 욕심인듯하다. 사기꾼에게 속은 이유도 남들보다 편하게, 더 많은 수익을 준다는 말에 속은 것이고, 작전세력들이 결탁해서 주가를 올려놓으면 왜 그런지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쫓아가다가 돈을 날리는 경우... 올라갈때는 빚을 얻어서라도 주식을 계속사지만.. 그놈의 욕심에 주식이 떨어지면 팔지도 못하고.. 참... 물론 사기꾼들이나 잘못된 기업들의 공시정책, 작전세력들에 대한 엄벌이 약한것도 하.. 2008. 9. 21.
시사기획 쌈 - IMF 10년 특별기획 - 한국식 경영을 찾아라 IMF때에 사람을 무더기로 자르고 다시금 회복을 해왔지만, 막상 돌이켜보면 그것은 미국식경영으로 다시 주판을 두들겨보니 별 효과가 없었고, 이제는 우리식의 한국경영을 찾아야 한다는 이야기... 물론 틀린 말은 아니지만.. 과연 한국식 경영이란 무엇인지? 에 대한 이야기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아서 그런지 메아리로 들리는듯하다... 한국식 경영으로 한다면 모두다 잘 살수 있다고? 미국식 경영으로 해서 성공한 기업은 없다고? 한국식 경영을 찾아야 할까? 만들어야 할까? 벤치마킹을 해야 할까?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았던 방송 1.기획의도 우리나라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만 10년이 지났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사회는 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특히 기업들은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이른바 미국식 경영을 도입해 강도 높은.. 2008. 9. 21.
VJ 특공대 - 보험 천태만상, 사할린 아리랑 보험 가입을 권유하거나 광고등을 보면 정말 손해보는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정도의 내용이 실제로는 과장광고이고 더군다나 대기업들의 입장에서 횡포를 부리며 배째라는 모습에 참 안타까울 뿐이다... 보따리 장사 아저씨 이야기는 나도 한번 해보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마지막에 사할린 귀국자 이야기는 60년만에 고국에 영구귀국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인데... 어찌보면 한국에 돌아오면서 그들은 다시 이산가족이 되어버리는 모습에 가슴이 아프고.. 남은 생 행복하게 살다 가셨으면 한다... 1. 2007 보험 천태만상 보험! 가입하기는 쉬워도 혜택 받기는 하늘의 별따기?!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보험가입 수는 평균2개! 연간 보험료만 90조원이 넘는다고 한다. 홍수처럼 넘쳐나는 보험광고, 셀 수 없이 많은 별별 .. 2008. 9. 21.
불만제로 - 그 후 불만제로가 방송된 후에 그것들이 얼마나 시정되었는지 보여준 방송... 자화자찬의 방송이기는 하지만.. 메스컴의 위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방송이였다. 짜식들 진작에 그러면 얼마나 좋아~ 불독 - 한 번 물면 다시 놓치 않는다! - 1년 만에 다시 돌아온 정량 프로젝트! 2006년 9월 28일, 5000km 에 걸친 기름 정량 프로젝트로 그 시작을 알린 국내최초 소비자 솔루션 프로그램, 불만제로! 그 이후, 불만제로는 고기정량에서 맥주 정량까지 소비자들이 받아야 하는 정량에 주목했다. 정량 프로젝트 그 후 1년! 과연, 소비자들은 주는 만큼 제대로 받고 있을까? 많게는 -780ml의 오차를 보이며 법적 허용공차를 가볍게 넘겼던 문제의 주유소들. 그러나 2007년 10월, 1년 만에 그들에게.. 2008. 9. 21.
EBS 시사다큐 - 저가 쇼핑의 두 얼굴 우리들은 물가가 많이 오른다.. 비싸졌다라고 생각을 하지만.. 실제적으로 거의 모든 물건들은 예전보다 값이 많이 내렸다고한다. 그 실태를 돌아보고, 유통, 제작, 판매 등에 대해 돌아보고, 특히 중국의 영향력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이야기를 했던 방송... 물건이 싸진다면 사는 사람이야 거의 좋아하지만.. 낭비를 부추기고, 쓰레기만 늘어가는 등 그에 대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고... 가만히 생각해본다. 나의 소비의 기준은 무엇인지... 싸게.. 싸게.. 하지만 오래사용할것은 비싸더라고 제대로 된 좋은것을... 이라고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과연 그러한지.. 어떠한지... 또 내가 공급자의 입장이라면 이런 세태를 맞이하여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원제: Addicted to Cheap Shopping? 일.. 2008.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