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에 설탕을 섞어 먹으면 카테킨의 흡수율이 3배로 증가해서 몸에 좋다는 건강상식!
미국 퍼듀 대학의 마리오 페루지 박사가 녹차에 이것을 첨가 해서 먹으면 건강에 좋은 카테킨(catechin)의 체내 흡수율을 3배가 높일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이홍렬, 이성미의 생방송 나이아가라이라는 방송에서 나온 생활상식인데, 한번 해 먹어보니 맛은 참 독특한 느낌인데, 뭐 아주 이상한 정도는 아닌 느낌이더군요. 뭐 몸에 좋다는데 이정도는 감수를 해야....^^ 카테킨은 항산화, 항돌연변이, 암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상승 억제, 혈당상승 억제, 혈소판응집 억제, 항균작용, 항알레르기 등 다양한 부분에 효능이 있는 좋은 성분이라고 하는데, 녹차의 가장 유용한 성분중에 하나입니다~ 녹차에 아스코르빈산이나 자당(설탕) 또는 두개를 모두를 첨가해서 먹으면 녹차에 들어 있는 항산화 폴리페..
2013. 11. 15.
셰일가스(Shale gas), 천연가스를 대체하는 새로운 에너지 자원의 등장 배경과 문제점
천연 가스(natural gas)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유전, 탄광등에서 나오는 자연성 가스인 메탄, 에탄가스인데, 도시가스, 천연가스 버스 등에 많이 사용되는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원료라고 하고, 한국에서도 울산 앞바다에서 채취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참고로 LPG는 액화석유가스입니다.) 근데 전세계 매장량의 1/4정도가 러시아(구 소련)에 있는데, 유럽에 있어서는 큰 에너지원이자, 한편으로는 러시아의 자원 무기로도 사용이 될수도 있다고 하더군요...-_-;; 그런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관리하는 국영기업인 가스프롬(Gazprom)인데, 이 회사의 주식의 가치가 5년만에 무려 80%나 하락을 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셰일가스라는 새로운 가스때문에 생긴 일로,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자원 지도가..
2013. 11. 13.
바닐라(vanilla), 바닐라맛 바닐라향의 향신료로 쓰이는 난초과의 식물(바나나와 상관없음)
아이스크림, 커피, 과자, 초콜릿, 푸딩, 케이크 등에 보면 바닐라맛, 바닐라향이라고 써있는 달콤한 맛의 제품이 상당히 많이 있는데, 갑자기 바닐라가 뭐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검색을 해보니 바닐라를 바나나의 일종이거나, 바나나를 말린것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있던데, 찾아보니 전혀 다른 식물이더군요~ 롯데 아이스크림 와(WWWA!), 혼자서 먹기 좋은 퍼먹는 추억의 샤베트 제품 구입 시식기(바닐라, 멜론맛) 스타벅스 프라푸치노 커피 바닐라향 유리병 제품 구입 시음기 GS25 POP 커피-팝카라멜마끼아또, 팝카페라떼 컵용기 제품 편의점에서 구입 시음기 스무디킹(Smoothie King)의 실속있는 랩, 브래디+스무디 세트메뉴 출시제품 시식기 찾아보니 아이스크림, 커피 등에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 부드러운..
2013. 11. 4.
깜보, 깜부라는 단어의 뜻과 의미 - 친한 친구, 격이 없는 친구사이
만화를 보다가 정말 오래간만에 들어보는 깜보라는 어린시절 추억의 단어... 비속어까지는 아니지만, 흑인이나 까맣게 탄 사람들을 깜보라고 말을 하기도 했고, 어린시절에 구슬치기나 딱지치기 놀이를 할때 우리 깜보를 맺자, 우리 깜보하자라고 말을 하기도 했는데, 친한친구나 동맹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될듯합니다.깜보 - 원래 깜보는 피부색이 햇볓에 그을려서 검은기가 좀많이 도는 친구를 깜보라 부르는것인데 그뜻이 차츰 왜곡되어 친한친구, 격이없는친구 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출처 네이버 지식iN 오픈국어) 깜보다 - 깔보다의 충청도 사투리깜보 (1986)Kkambo 9.4감독이황림출연김혜수, 박중훈, 장두이, 김기주, 문창근정보드라마 | 한국 | 100 분 | 1986-03-11 찾다보니 김혜수, ..
2013. 10. 5.
갈색날개노린재 약충-공원에서 발견한 곤충의 유생의 모습(유충,약충,곤충의 차이점)
공원에 나갔더니 희안하게 생긴 작은 벌레를 한마리 발견을 했는데, 난생 처음보는 곤충입니다. 녹색 곤충이라고 찾아봐도 안나와서 네이버 지식인에 문의를 해보니 갈색날개노린재 약충이라고 하더군요. 약충(nymph, 若蟲)은 뭐지라는 생각에 찾아보니 불완전변태 곤충의 유생. 유충을 일컫는 말이라고 하는데,완전한 모습을 갖추기 전의 곤충을 말하는데, 사람으로 치자면 태어나서부터 청소년기를 말한다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유충은 약충의 이전단계로 개미나 벌레가 초기날개의 성충원기가 외부에서 인지되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데, 대략 엄마 뱃속에 있는 아기라고 하면 될까요? 대략 개구리가 곤충이라면, 올챙이는 유충, 올챙이가 손과 발이 생긴것을 약충정도로 파악하시면 될듯한데, 유충이나 약충이 탈피등을 하면서 곤충 성체로 되..
2013.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