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상식, 학습 239

한국의 근원물가상승률(지수)의 급상승의 원인은 뭘까? 근원물가지수는 일시적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서 값이 크게 변하는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하고 산출한 것으로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추세를 반영한다는데, 최근에 무려 3.1%가 넘는 상승률을... 작년 9월경의 뉴스를 찾아보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우리나라가 5.1%로 OECD 평균(4.5%)을 약간 웃돌았다는데, 헝가리, 뉴질랜드, 노르웨이, 영국 등은 우리나라보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높았지만 근원물가지수 상승률은 훨씬 낮다고... 이렇게 우리나라의 근원물가지수 상승률이 높은 것은 환율 상승으로 수입물가가 올라간데다 기대인플레이션이 확대되면서 서비스 품목 등으로 물가 상승세가 번지고 있기 때문 최근 식품 물가 상승률 또한 OECD 회원국 중에 1위라는데, 참 안좋은것만 골라서 가지 .. 2011. 3. 21.
이탈리아 스파게티, 까르보나라(Carbonara)의 어원과 탄생비화 KBS 스펀지 한국식 파스타로드 - 대구 설렁탕 봉골레 파스타(봉대박), 부산 소시지 파스타(블로거), 부산 개불 스파게티(엘올리브) 위 방송에서 소개된 내용으로 까르보나라의 어원은 이탈리아어의 까르보네에서 시작이 되었고, 석탄을 캐던 광부들이 소금에 절인 고기와 달걀만으로 만들어 먹었던 파스타에 몸에 붙어 있던 석탄가루가 접시에 떨어진것을 착안을 해서 곱게 으깬 통후추 가루를 뿌려먹었다는 설이 탄생비화라고 하네요. 파스타(Pasta)의 역사와 유래 (스파게티, 마카로니) 집에서 스파케티 만들어 먹기 각종 스파게티 소스 가격정보 볼로네제(Bolognese) 스파게티 소스 - 오뚜기 3분 요리 마카로니 & 까르보나라 스파게티 소스 까르보나라 스파게티 소스와 라면으로 만든 라파게티 오뚜기 3분 스파게티 소스.. 2011. 3. 21.
중국집 배달부가 철가방으로 불리는 이름의 유래와 이유는? 중국집 배달원, 배달부의 다른 명칭인 철가방...요즘은 플라스틱 가방을 들고다니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은색 철로된 가방같은것을 들고 다녔습니다. 이것의 유래가 MBC 추억이 빛나는 밤에 80년대 개그 반상회에서 알려졌는데, 당시에는 배달하는 사람을 짱깨라는 비속어를 사용했었다고 합니다.(요즘도 사용은 하는듯...) 짱깨 또는 짱꼴라란 중국인을 낮잡아 부르는 한국어 명칭이다. 자장면이나 중화요리점 종업원를 낮춰 부르는 말로 쓰이기도 하지만[출처 필요], 현재는 중국인을 낮잡아 부르는 용어로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다. 이와 비슷한 말로 중국이 대륙만하게 크다는 것을 통틀어 대륙이라고도 부르는 경우가 있다. 유래 조선 말기에 중국 상인이나 사장을 ‘장구이(중국어 간체: 掌柜, 정체: 掌櫃, 병음: zhǎngg.. 2011. 3. 21.
읍참마속(泣斬馬謖), 삼국지에 나오는 제갈공명과 마속의 고사성어의 듯과 의미 EBS 삼국지를 보다가 공성계편에 나오는 읍참마속을 다시 한번 찾아봄... 에 전하는 이야기로, 제갈량이 눈물을 머금고 사랑하는 부하 마속의 목을 베어 일벌백계(一罰百戒)함으로써 질서를 바로잡은 일을 이른다. 제 갈량이 평소 신임하던 마속(馬謖)을 장수로 임명하여 전장에 보내는데 마속이 제갈량의 지시를 어기고 제 생각대로 전투를 하다 참패를 했다. 마속은 능력이 뛰어나고 성실한 장수이자, 제갈량과 절친한 벗인 마량(馬良)의 동생이었다. 그러나 제갈량은 눈물을 머금고 마속의 목을 베었다. 이에 다른 장수가 제갈량에게 "앞으로 천하를 평정하여야 하는데, 마속 같은 유능한 인재를 없앤 것은 참으로 아까운 일입니다."하고 말하자 제갈량이 눈물을 흘리며 "손무가 싸워 항상 이길 수 있었던 것은 군율을 분명히 했기.. 2011. 3. 1.
무순(후로후키), 무의 새싹의 영양성분과 효능 참치회집이나 소고기 집등의 음식점에 나가면 주는 무순... 일본말로는 후로후키(フロフキ)라고 한다고... 무의 새싹으로, 비타민A와 C, 칼슘, 카로틴 등의 영양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유와 비교하면, 비타민A는 4배, 비타민C는 29배나 더 많이 함유되어 있고, 칼슘 함량은 감자의 10배정도 효능으로는 열을 제거하고 몸의 부기를 가라앉히며, 폐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준며, 소화를 도와주는 아밀라아제 작용이 있어 고기나 회를 먹을 때 곁들여 먹으면 좋기때문에 회집이나 고기집에서 많이 나온다고... 생채에 마요네즈를 발라 먹기도 하고, 장에 찍어 먹기도 하며, 다른 채소와 혼합하여 녹즙으로 먹기도 하는데, 보다보니 새싹 비빔밥이 떠오른다는... 몸에도 좋고, 소화에도 좋으니 많이들 드시면 좋을듯~ 2011. 2. 27.
군대에서 말하는 용어는 모두 다나까로 끝난다는 말의 의미는? 군대에 가면 신교대에서 처음에 듣는말중에 하나가 모든 말은 다나까로 끝나야 한다는 말... 그랬어요, 저랬어요 가 아니라, 그랬습니다!, 그렇습니까? 라고 끝내라는 이야기... 근데 헷갈리는 것중에 하나가 다와 까는 알겠지만, '나'는 뭘까? 인터넷을 찾아보니 대략 의견은 두개인데, 하나는 '다', '나', '까'로 끝내라는 의미로 '나'는 고참이 자네가 그랬나? 라는 의미이고, 또하나는 다나 까로 끝내라는 의미로 다 or 까 의 의미라고... 뭐 군법으로 정해진것도 아니니, 정확한 뜻을 알기는 어려울텐데, 개인적으로는 다 or 까의 의미가 아닐까 싶다. 신병교육대대에 처음 들어오는 사람들을 위해서 만든 용어일텐데, 나짜가 들어간것은 다나 까로 끝내라는 의미가 아닐까? 암튼 사회생활을 하다가 처음에는 정.. 2011.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