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목록 전체보기12956 닭이 이빨이 없는 이유 & 모래주머니 닭뿐만이 아니라 조류는 이빨이 없고, 대신 모래주머니로 소화를 시킨다고... 그래서 닭에게 모래를 먹이는 이유도 이때 소화를 돕기 위한것이라고... 닭은 이빨이 없습니다. 부리만 있고 모래주머니를 통해 먹이와 함께 섭취된 모래알이나 작은 돌에 의해 먹이를 분쇄하며 소화를 도와줍니다 닭은 이빨이 없다. 따라서 소화를 시키기 위해서 모래나 유리, 흙등을 같이 삼킴으로서 먹이를 잘게 부술 수가 있는 것이다. 모래나 유리등은 위로 가지 않는데, 먹이는 위로 모래나 유리등은 모래주머니라는 기관으로 가서 분리다. 닭 이외의 다른 몇몇의 조류들도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래주머니 [ gizzard ] 조류의 소화기관. 사낭(砂囊)이라고도 한다. 조류의 위(胃)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소화선(消化腺)이 많은 앞쪽.. 2009. 12. 20. 서어나무 - 자작나무과 설악산 울산바위 올라가는 길에 보게된 나무... 북한산에서는 볼수 없었던 생소한 나무라는... 서어나무는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잎은 긴 타원형이나 달걀 모양인데, 그 끝이 뾰족하며 잎맥이 많고 뚜렷하다. 껍질은 검은 회색이며 울퉁불퉁하다. 5월쯤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암꽃이삭은 위쪽에, 수꽃이삭은 아래쪽에 늘어진다. 열매는 원뿔 모양의 작은 견과로 10월 무렵에 익는다. 주로 산속이나 평지에서 자라며, 한국의 중부 이남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낙엽수림대에 자람. 열매는 넓은 란상삼각형모양. 서어나무 (자작나무과) Carpinus laxiflora (Sieb. et Zucc.) Bl. 분포 : 낙엽수림대에 흔하게 자란다. 높이 15m, 흉고직경 1m에 달하는 낙엽교목이다. 수피는평활하.. 2009. 12. 20. 간벌작업이란? 예전에 산에 오르다보면 산속에 나무를 베어서 통나무를 만들어 쌓아놓은 경우를 보고는 했는데... 그게 뭔가했는데, 간벌작업이라고... 청춘불패의 땔감 구하기편에서 나옴... 숲가꾸기의 일환으로 잡목, 넝쿨 혹은 우거진 곳의 불필요한 나무를 베어 좋은 나무 (주로 소나무)를 잘 자라게 하는 작업... 간벌작업을 통해 솎아 놓은 잡목은 땔감으로 써도 무방하며... (장마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잡목은 제거하는것이 좋다... 2009. 12. 20. 찔레꽃 피는 마을 - 종로구 인사동 주점 꽤 오래전부터 알게 되었는데, 발길이 뜸하다가 몇일전 친구와 함께 들려본 집... 예전에는 주로 골뱅이에 소주 한잔을 하고는 했는데, 최근에는 불닭 요리 주점이라고 붙여 놓았는데, 주메뉴는 붉닭이지만 다른 안주는 그대로 인듯... 인사동 입구근처에 있는 집인데, 이곳에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가격이 꽤 비싼데, 이집은 대략 안주가 만원대에 소주 3천원에 피맛골보다는 조금 비싸지만, 분위기에 비해서 꽤 저렴한듯한 곳... 기본안주로 나온 미역국과 콩나물 등... 실내인테리어가 기왓집스타일이라는... 추운날 먹기좋은 홍합탕... 그리고 다양한 메뉴의 먹을거리들... 이건 세수대야김치떡볶음... 만원짜리인데, 가격대비에 꽤 괜찮은듯... 여기저기에 붙여놓은 한지들... 수북히 쌓인 홍합껍데기... 홀에 있는 난.. 2009. 12. 20. 아기의 우는 정도에 따른 유아의 상황 대처법 스펀지에서 나온 항공기 이색서비스에서 아기를 키워본적이 없는 승무원들이 우는 아기를 달래줄때 응용하는 방법이라고... 유아의 우는 상태 별 상황판단 요령이라는데... - 배고픈 아기는 잠깐 사이를 두고 운다. - 기저귀가 젖은 아기는 보채듯 운다 - 안아 달라는 아기는 낮은 소리로 운다 - 졸리운 아기는 화가 난 듯이 운다 - 아픈 아기는 높은 소리로 운다. 만 2살짜리 조카를 키우고 있는데, 수없이 우는데도 가만히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적은 없다... 특히나 가만히 보니 아플때나 졸릴때는 딱 비슷한 상황인듯... 그저 사랑하고, 아끼므로 말로 울면 여기저기를 점검해 보는것도 좋은것이지만... 아이의 우는 모습, 우는 목소리 톤 등을 점검해서 아이의 패턴을 점검해 보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다... 2009. 12. 20. 누룽지나 탄음식에 발암물질이? 미녀들의 수다에서 한국의 멋진 물건등중에 나온 누릉지... 근데 일본,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탄음식이라서 발암물질이 나올까봐 먹지 않는다고... 가만히 생각해보니 나름 일리가 있다는 생각에 관련 내용을 찾아봄... 한때 생선이나 고기의 탄 부분이나 밥을 태울 때 생기는 누룽지에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우선 암과 발암물질 관계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인간의 신체는 6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세포마다 '암 유전자'가 있습니다. 보통 암 유전자는 잠자고 있지만, 이 암 유전자가 활동을 시작하면 암에 걸린 사람이 됩니다. 발암물질은 유전자 활동을 촉진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암 유전자를 깨우는 '이니시에이터(발암발생인자)'와 잠에서 깬 암 유전자의 .. 2009. 12. 20. 이전 1 ··· 1308 1309 1310 1311 1312 1313 1314 ··· 21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