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특집다큐 - 기업, 마음을 경영하다 1부 열정을 경영하라
기업문화에 대해서 말하는 2부작의 다큐로, 첫번째에서는 열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처음으로 예를 든것의 일본의 MK택시와 한 은행인데, 회사의 강압적인 기업문화를 억지로 직원에게 적용을 하는데, 고객과 기업에 좋다면 강압적이라도 그것이 올바른 기업문화라고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실제로 꽤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그리고 이러한것을 만드는 사람은 바로 CEO이고 리더십의 본질이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미국 자동차회사 사장들의 잘못된 모습을 통해서 강압적이지 않지만, 문제가 있는 리더십을 보여준다. 그리고는 정답은 아니지만 멋진 모범답안인 강압적이지 않고, 조직원들과 함께 좋은 회사, 일하고 싶은 회사를 만들어가는 회사들을 보여준다. 노사간에 믿음을가지고 서로간에 활력과 영감을 주며, 상생해가는것이 ..
2010. 4. 15.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모델과 의사, 크레인ㆍ대형 트럭 운전사 등이 직업 만족도가 가장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사진작가와 작가, 항공기 조종사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1일 발간한 `미래의 직업세계 2007' 책자에 따르면 만족도가 가장 낮은 직업은 모델(2.25), 의사(2.84), 크레인ㆍ호이스트 운전사(3.00), 귀금속ㆍ보석 세공원(3.16), 애완동물 미용사(3.20) 등의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사진작가(4.60), 작가(4.48), 작곡가(4.44), 바텐더(4.36), 인문과학 연구원(4.32), 상담전문가(4.28), 인문사회계열 교수ㆍ성직자ㆍ환경공학 기술자(4.24), 인문계 중등학교 교사(4.20) 등이 꼽혔..
2010. 4. 15.
KBS일류로가는길-김운용 교수,한국인의 노벨과학상 수상은 언제 가능할까? 강연
뭐 한국인은 인쇄술, 문자, 복식부기등을 만들어낸 위대한 민족으로 두뇌는 엄청나게 뛰어나지만, 현재의 과학분야의 노벨상이나 필드상에서는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입시위주의 수학으로 답을 찾는것에만 급급하고, 진정 수학의 매력에 푹빠져서 살거나, 최고가 되겠다는 의지가 너무 없는것이 문제라고... 미국, 영국, 일본은 많은 수상자를 내고 있는데, 뭐 비단 꼭 무슨 상을 많이 타야 좋은것은 아니겠지만, 그만큼 우리나라가 기초학문에 취약하고, 이건 정부가 나서서 기초학문을 지원한다고 될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인프라와 마인드를 구축해야 하지 않을까싶다. 경제대국, 선진국으로 나간다고 하고, 세계 최고의 제품을 만들어서 수출을 하려고하지만, 막상 이러한 기초분야인 수학, 물리, 화학 등..
2010.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