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성공 & 강연 561

T아카데미 열린특강 - HTML5와 모바일 웹의 변화, Mobile App 접근성 준수 지침 모바일 웹앱 동향 및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윤석찬 다음커뮤니케이션 팀장의 HTML5와 모바일 웹의 변화와 성균관대학교 이성일 교수의 Mobile App 접근성 준수 지침에 관련된 세미나 SK T 아카데미 홈페이지 - http://www.tacademy.co.kr 무료강연으로 을지로의 SKT타워의 4층 supex hall에서 열림 최근에 스마트폰 앱이 바람을 일으키면서 수많은 개발자들이 모바일앱 개발을 하고 있는데, 문제는 양대산맥이 애플의 아이폰과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object-c와 java라는 다른 개발툴로 개발을 해야 되고, 앞으로 나올 윈도우모바일, 블랙베리, 삼성의 바다 등 수많은 플랫폼에 맞추어서 일일이 개발을 하기 힘들다는것이다. 비단 개인개발자나 작은 기업체뿐만이 아니라, 페이스북, 트위터,.. 2011. 11. 1.
KBS 경제세미나 - 겉보다 속이 더 두려운 일본의 산업경쟁력(이창렬 삼성사회봉사단사장) 삼성이나 LG등이 전자분야에서 선전을 하면서 일본을 따라잡고, 일본도 삼성에 졌다는것을 시인하고, 다시금 신발끈을 조이고는 있지만, 실상으로는 일본은 잃어버린 10년이라는 말처럼 그렇게 뒤쳐지고 있지는 않으면 상당한 성장동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서 우리가 배울점은 무엇인지를 말한 강연 강연을 들으면서 참 일본이라는 나라가 상당히 생각했던것보다 더욱 디테일하고, 섬세하고 꼼꼼한 나라라는것을 느꼈고, 배울점 또한 상당히 많다는것을 느꼈다. 이창렬 사장의 이력 - 한양대 기계공학과 졸업 - 1976년 삼성중공업 입사, 삼성중공업 동경지점 근무 - 삼성그룹 회장비서실 근무 - 삼성전자 전무이사 - 삼성중공업 부사장 - 일본삼성(주) 대표이사 사장 - 삼성사회봉사단 단장/사장 - 삼성사회공헌.. 2011. 10. 25.
KBS 경제세미나 - 선비에게서 배우는 리더십,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 김병일이사장 조선시대의 선비정신을 통해서 배우는 리더십으로 누구나 살아가면서 좋은것만을 하고 싶지만, 선비정신아는것은 싫은것이라도 자신이 해야 할것을 하는것을 하는 정신이라고 규정을 지으면서, 선비정신을 통해서 나라의 기틀을 잡고, 이어갔지만, 선비들의 나쁜문화인 신분차별, 문과는 우대하고, 무과는 천대하고, 사농공상 정책, 유교적인 영향으로 너무 옛것에만 집착하면서 진취적이지 못한것이 선비정신의 단점이였다고... 결론은 장점은 배우고, 단점을 배우지 말라는 이야기인데, 초반에는 체계적으로 참 말씀을 잘하시기는 했는데, 왠지 이야기가 조금씩 엉뚱한쪽으로 흐르는듯... 지금 우리 시대는 선비시대의 장점만 있고, 단점은 모두 사라져서, 엄청난 경제발전을 이루었다고 하시고.. 무엇보다 좀 황당한것은 임진왜란을 통해서 퇴계.. 2011. 10. 25.
KBS 경제세미나 - 초경쟁환경! 우리기업의 초일류전략, 신동엽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 KBS 경제세미나, 초경쟁 환경과 21세기형 경영 경제세미나 - 글로벌 초경쟁사회,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경제세미나 - 21세기 글로벌 초경쟁환경과 상시 생존위기 초경쟁이라는 키워드로 경영분야관련 강연을 자주하시는 신동엽교수... KBS 경제세미나의 단골로 등장을 하시는데, 솔직히 좀 이제는 식상하다... 위의 다른 리뷰의 제목을 보면 알겠지만, 거의 같은 주제로 하는 강연을 4번이나 내보내는건 뭐냐...-_-;; 암튼 그의 견해는 현재의 세계경제와 일류기업들의 몰락과 등극을 잘 설명하고 있는것은 틀림없다. 경제위기가 앞으로는 상시로 닥치게 될것이고, 이러한 시대가 뉴노멀의 시대로 등극하게 될것이고, 그러기위해서는 빠른 결정과 실행을 통해서 변화해 나가야 한다는 그의 말... 참 공감이 간다. 하지.. 2011. 10. 25.
KBS 경제세미나, 한국의 생산성이 미국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 이유는? (장용성 연세대특훈교수) 1990년대 초 알윈 영(Alwyn Young) MIT대 경제학과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노동 생산성을 100이라 할 때 일본은 78, 한국은 45라고 합니다. 강연을 들어보니 지금은 그보다는 조금 더 나아졌지만 아직도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라고 하네요...-_-++ 근데 좀 이해가 안가더군요. 왜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생산성이 반밖에는 안될까요? 하지만 강연을 잠깐만 들어보니 금방 이해와 공감이 갑니다. 예를 들어서 은행같은곳의 창구직원이나 AS센터의 영업직원을 보면 한국인들은 정말 친절하고, 일도 잘 처리를 해주는 편이지만,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정말 답답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나라가 생산성이 더 높아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미국에서는 대한민국의 창구직원이나 영업직원이 똑똑.. 2011. 10. 18.
TED, 30일동안 새로운 것 도전하기 (Try something new for 30 days) 벌써 7월도 다가고 8월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7월에는 어떠한 일을 계획하셨고, 실천을 하셨나요? 그리고 8월에는 어떠한 일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7월에는 다이어트도 하고, 공부도 꾸준히 해야지 했지만, 막상 7월을 돌아보니 그냥 시간만 지나간듯 합니다...-_-;; 그러다가 TED에서 그동안 들었던 강연중에서 가장 짧은 강연이자, 가장 저에게 와닿았던 강연을 들었는데, 지난 7월을 돌이켜보고, 8월을 계획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만한 강연이였습니다. 여러분은 계획도 하고 할 마음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한번도 실천에 옮기지 않았던 일이 있으신가요? 맷 커츠는 30일 동안 새로운 것에 도전하라고 제안합니다. 이 간결하고 유쾌한 연설은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재치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Mat.. 2011.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