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연을 들으면서 참 일본이라는 나라가 상당히 생각했던것보다 더욱 디테일하고, 섬세하고 꼼꼼한 나라라는것을 느꼈고, 배울점 또한 상당히 많다는것을 느꼈다.
이창렬 사장의 이력
- 한양대 기계공학과 졸업
- 1976년 삼성중공업 입사, 삼성중공업 동경지점 근무
- 삼성그룹 회장비서실 근무
- 삼성전자 전무이사
- 삼성중공업 부사장
- 일본삼성(주) 대표이사 사장
- 삼성사회봉사단 단장/사장
- 삼성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 <저서> 겉보다 속이 더 두려운 일본의 산업
강연을 듣고나서 가장 먼저 찾아본것이 그의 약력... 역시나 삼성출신에 일본관련 전문가라는것을 알수 있었는데, 일본에 대해서 상당히 꼼꼼히 파악하고 계신듯하다.- 한양대 기계공학과 졸업
- 1976년 삼성중공업 입사, 삼성중공업 동경지점 근무
- 삼성그룹 회장비서실 근무
- 삼성전자 전무이사
- 삼성중공업 부사장
- 일본삼성(주) 대표이사 사장
- 삼성사회봉사단 단장/사장
- 삼성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 <저서> 겉보다 속이 더 두려운 일본의 산업
암튼 참 마음에 안드는 민족이기는 하지만, 그들의 꼼꼼함과 디테일은 일적인면에서 꼭 상기하고 활용해야 할것이다.
도요타와 카이젠의 몰락과 교훈
KBS 스페셜 다큐 - 도요타 신화는 무너지는가?
PD수첩 - 토요타 방식의 추락
일본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들은 거의 한줄코딩에 주석이 한줄이라고 하는데, 그럴필요까지 있나 싶지만, 훗날에 보면 그랬어야 하는데 라는 생각이 자주든다는...-_-;;
그리고 출장이나 교육을 가기전에 왜 가는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를 레포트로 작성해서 정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후에는 메뉴얼로 만드는 그들의 모습은 어찌보면 무섭다.. 그러면서도 끊임없이 개선하고, 돈을 써야 할 분야에는 투자를 서슴치않는 그들에게서 배울것은 배우자..
다만 강연에서 좀 거슬렸던 부분은 일본이 잘하기는 하지만, 거의 뭐 우리가 따라갈수 없는 고수처럼만 말씀을 하시는것이 좀 거시기했고, 한편으로는 조직을 위해서 자신의 모든것을 희생하는 그들이 더 대단하고, 한국의 젊은이들은 돈되는 분야보다는 문사철같은 분야에 너무 많이 빠져있다는 이야기... 또 한편으로는 대학이 실무자를 배출하지 못하는것에 대해서 비판을 하면서도, 반대적으로 기초학문분야가 너무 취약해서 노벨상같은 업적을 낼수 없다는 현실을 개탄... 어쩔라고요...-_-;;
아무래도 삼성같은 대기업의 임원, 사장을 지내시던 분이라서 그런지 좀 기업논리로 사람을 조직의 하나의 일원일 부속품정도로 생각하시는것은 아니겠지??
그러고보니 얼마전 나꼼수에서 왜 삼성에서는 백혈병걸린 사람만 뽑는지라는 주기자의 말이 떠오르기도...-_-;;
KBS 시사기획 10 - 야근 권하는 사회, 애플과 삼성으로 본 조직문화와 성과
KBS 스페셜 - 스마트폰의 스마트혁명(Smart Revolution) 세상을 바꾸다!
KBS 스페셜 - Apple의 경고, 스티브 잡스의 애플, 혁신을 말하다
최근에 삼성이 애플보다 스마트폰판매 대수가 늘어났다는 뉴스가 나오기도 하지만, 수익으로 비교한다면 아직도 한참 멀었고, 왜 그러한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고찰을 아랫사람들에서만 찾기보다는 윗분들에서도 찾아보는 강연으로 발전하면 더욱 멋진 강연이되지 않을까 싶다.
![]() |
|
1.일본의 엄살과 불편한 진실
- 90년대 버블붕괴로 인한 일본의 장기침체는 과거 고성장시대와 비교했을 때 침체일뿐 유럽등 선진국에 비하면 엄살이다.
2001-2008 경제성장률이 일본경제 황금기보다 높다.
-한국기업이 선전할수록 일본 부품, 소재산업의 실적 도 동반상승하고 있음
2.일본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 선진문물 수용마인드 형성
- 사회제도와 시스템
- 선각자의 리더십과 인재육성
- 벤치마킹
3.일본 산업계의 3가지 유전자
- 철저한 벤치마킹
- 군에 의한 기술확보
- 핵심역량에 집중
4.기업사례연구
5.산업의 중심이동
- 90년대 버블붕괴로 인한 일본의 장기침체는 과거 고성장시대와 비교했을 때 침체일뿐 유럽등 선진국에 비하면 엄살이다.
2001-2008 경제성장률이 일본경제 황금기보다 높다.
-한국기업이 선전할수록 일본 부품, 소재산업의 실적 도 동반상승하고 있음
2.일본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 선진문물 수용마인드 형성
- 사회제도와 시스템
- 선각자의 리더십과 인재육성
- 벤치마킹
3.일본 산업계의 3가지 유전자
- 철저한 벤치마킹
- 군에 의한 기술확보
- 핵심역량에 집중
4.기업사례연구
5.산업의 중심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