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상식, 학습 239

코르키지(Corkage) 서비스란? - 레스토랑에서 와인주문시 웨이터 수고와 글라스 사용료 식당에서 와인을 주문해서 마시지 않고 직접 손님이 가져온 와인을 마시길 원할 때, 식당측이 그 와인을 따서 글래스에 따라주고 서브해주는 봉사료로 받는 돈을 코르키지(Corkage)라고 한다. 이름만 보면 코르크 마개를 따는 값이라고 해석하기 쉽지만, 식당으로서는 코르크 마개 오프너, 소믈리에와 웨이터의 와인에 대한 교육 및 트레이닝, 값비싼 와인잔, 와인 저장고 및 백포도주를 차게 하는 아이스 버켓, 와인잔 보관과 취급에 따른 유지비 및 씻고 말리는 인력과 기계 등 여러가지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미국내 식당의 코르키지 가격은 5달러에서 50달러사이인데, 대부분 10~20달러의 코르크지 가격을 책정해 놓고 있다. 출처 http://blog.aladdin.co.kr/boslbee/488202우판사 교.. 2009. 10. 18.
한국, 미국의 스트라이크, 볼 표시 순서가 다른이유? 미국은 야구의 종주국이죠, 그리고 미국 야구는 타자 중심의 공격야구를 추구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때문에 미국은 타자를 중심으로(타자에게 유리한 것을 먼저) 볼카운트 전개를 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미국과 다르게 스트라이크를 먼저 표기하는 것은 순전히 일본의 영향입니다. 무슨 뜻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본 야구의 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지금까지도 일본 야구와 같은(용어도 그렇고 아주 많은 부분을) 야구를 하는 것입니다. 일본이 미국 야구를 받아들일 때 볼카운트 표기를 자신들이 순서를 바꿔 표기했고 일본 야구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가 그대로 그것을 따라했기 때문입니다. http://ask.nate.com/qna/view.html?n=5744314 볼카운트를 미국과 반대로 세는 것은 야구가 미국에서 일본.. 2009. 10. 13.
씨크하다라는 단어의 뜻은? - Chic 하다! chic[ʃíːk] 1 스타일, 멋, 고상 2 유행, 현대풍 3 우아한, 세련된 시크하다 chic하다 신어자료집 2004년 신어 자료집 Chic 영어에서의 뜻은 멋지다, 세련되다 등의 뜻입니다 또는 영어의 본래 뜻을 벗어나서 냉소적이다, 무뚝뚝하다, 도도하다 이런식으로 사람을 표현할때 쓰기도 세련되고 멋있다라는 뜻이라고보시면 된다고... 시니컬하다를 다르게쓰기도... 시크하다 2009. 10. 12.
가장 최소의 숫자 갯수를 가진 스도쿠(sudoku) 스도쿠의 최소 숫자를 17개라고.. 16개로 풀수 있는 문제는 현재까지 없다고... 네이버에서 본 문제인데, 처음에는 이걸 어떻게 풀수 있나 싶었는데, 막상 풀어보니 그다지 어렵지는 않다는.... 숫자가 적고 많음이 스도쿠의 난이도에 꼭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듯... 정답은 아래 정답보기를 누르면 나온다는.... 17개의 숫자만 공개되어 있을 때 유일한 풀이가 존재하는 스도쿠 문제는 현재 48826개가 알려져 있지만, 16개의 숫자가 주어진 스도쿠 문제는 하나도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런 압도적인 증거에도 불구하고, 16개의 숫자면 충분한 스도쿠 문제가 단 하나라도 존재하면 17은 최솟값이 될 수 없다. 스도쿠를 간단히 푸는 수학적 방법이 있을까? 스도쿠의 묘미는 간단한 규칙으로 이루어져 있.. 2009. 10. 9.
M버스 - 광역급행버스 서울역에 나갔다가 보게된 광역급행버스라는 m버스 M7016... 서울, 광화문에서 일산, 대화 방면을 직통으로 운영을 하는듯... 요금제는 좌석버스와 동일한 요금을 적용한다고... 위 사진에 보면 버스 앞에 M Bus라고 써있는데, 잔여석이 표시가 되어있는데, 고속버스처럼 입석이 금지되어서, 잔여석이 0명이라면 버스정류장을 무정차 통과를 하며, 이때문에 곤욕을 치르고 멍하니 지나가는 버스를 바라볼수 밖에 없는 사람들이 많은듯... M버스의 M은 메트로폴리탄의 약자라고... 메트로폴리탄 metropolitan 어떤 대도시가 중·소도시와 그 밖의 지역에 지배적인 영향을 끼쳐 통합의 중심을 이루었을 때, 그 대도시와 주변 지역 전체를 이르는 말. 2009. 10. 8.
휴브리스(Hubris) - 성공체험의 우상화 hybris라고도 씀. 고전 그리스 윤리·종교 사상에서 질서 있는 세계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있는 한계를 불손하게 무시하는 자만 또는 교만을 일컫는 말. 휴 브리스는 위대하고 재능 있는 사람이 범하기 쉬운 죄로서 그리스 비극에서 대개 주인공이 가진 기본 약점이다. 간단한 예로 아이스킬로스의 〈페르시아인 Persians〉에서 크세르크세스는 헬레스폰트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할 때 바다를 육지로 바꾸는 재능을 과시하면서 자만을 부린다. 크세르크세스는 살라미스에서 페르시아인들이 참혹하게 패배하는 벌을 받는다. 대부분의 다른 그리스 비극에서 영웅의 휴브리스는 좀더 미묘하며, 때로는 그 영웅이 전혀 잘못이 없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젊었을때의 성공을 조심하라는 말처럼 한번 겪은 성공사례를 가지고 이것.. 2009.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