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952

MBC PD수첩 - 시장님도 리콜이 되나요? 주민소환제에 대해서 알아본 방송... 얼핏듣기에는 그 취지가 좋게보이지만, 실제적으로 시를 위해서 화장터를 설치하려는 시장을 막기위해서 주민소환제가 시행되는 지역이기주의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물론 반대적인 면으로 해외 외유로 얼마전에 욕을 바가지로 먹은 구청장들은 정치적인 면을 들어서 반대를 하기도 하지만, 재도 자체는 큰 문제가 없다는 진단을 내리는듯한 암시를 느낀 방송... 외국에서는 좋은 사례를 많이 보여주면서, 우리나라에서는 부정적인 사례만있던건지.. 보여준건지... 결함이 발견된 불량 제품을 회사 측이 수거, 보상해주는 제도를 일컫는 ‘리콜 (recall)' 하지만 불량 제품이 아닌, 불량 정치인도 리콜이 가능하다?! 지난 7월 1일 처음으로 도입된 ‘주민소환제’를 통해 이제 유권자들은 자신.. 2010. 3. 30.
KBS 생로병사의 비밀-두 얼굴의 유혹, 카페인-커피,차,와인에 대한 이야기 커피를 마셔야 하나 끊어야 하나 고민을 하게 만든 방송..-_-;; 왠만하면 끊어버려야겠다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 방송을 보고나서 하루에 블랙으로 한두잔정도 마시는것이 도움이 될듯하다. 아침에 한잔.. 점심에 한잔 정도만... 프림 설탕은 빼고... 꼭 무슨 커피가 영양제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 방송이였다는...^^ SBS 스페셜 - 커피 앤 더 시티 (Coffee And The City), 한국의 브랜드 커피 문화 분석 기호식품에 대한 첨단분석 보고서 차와 커피 그리고 와인 (3부작) 제1편 찻잔속의 비밀, 카테킨 [차] 2006.05.09 제2편 두 얼굴의 유혹, 카페인 [커피] 2006.05.16 제3편 내 몸을 깨우는 150ml, 레스베라트롤 [와인] 2006.05.23 항암효과와 항균작용 그.. 2010. 3. 30.
비주얼 플래닝(VP, Visual Planning)이란? 강한 현장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 포스코의 변화, 혁신론과 그 과정 에서 언급된 프로젝트 관리방법론으로, 일본능률협회컨설팅의 지적생산성 향상(KI) 프로그램의 장점을 따와 한국적인문화에 맞도록 수정한것. 어찌보면 컴퓨터 IT 분야의 익스트림 프로그래밍(Extreme Programming) 방법론이나 사용자 스토리 등과 꽤 유사하게 토론하고, 일정을 장기(년), 중기(월), 단기(일) 별로 세분화시켜서 포스트잇 등을 이용해 각 인원별로 배분하며, 팀원들이 무슨 일을 어떻게 해가고 있는지를 잘 파악할수 있고, 기존의 갠드차트과 비교해서도 상당히 효율적일듯한 방법론... 다만 관련 도서나 교육과정은 일반인들은 접하기 어렵고, 포스코와 회원사등을 통해서 많이 전파가 되고 있다고. 비주얼 플래닝 - 정택룡 지음.. 2010. 3. 30.
비주얼 플래닝(VP,Visual Planning)-성과도 문제도 한눈에 보이는 방법론 도서 서평 혼창통(魂,創,通) 을 읽다가, 강한 현장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라는 책을 보았고, 거기서 알게된 비쥬얼플래닝... 함께 모여 토론하고, 계획한 내용을 장기, 중기, 단기 등으로 세분화하여 나누고, 비주얼하게 VP보드에 붙여서 조직원들의 업무현황과 계획등을 쉽게 파악할수 있고, 관리도 편하게 할수 있는 방법론 꼭 한번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에 책을 바로 구입해서 읽어보았는데, 포스코 혁신의 비밀, 브주얼 플래닝의 모든것이라는 책표지의 말과는 달리, 실전적인 내용보다는 이론적인 내용이 대부분이고, 구체적으로 현장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을 하는지나, 간단한 예제등이 전무하고, 그냥 개념적으로만 설명이 되어있고, 샘플 사진도 여기저기 업체의 사진만 몇장 찍어놓은 정도... 꽤 괜찮은 플래닝 방법론인듯 하고, .. 2010. 3. 30.
SBS 스페셜다큐 - 창의성, 남의 얘기라는 당신에게 SBS에서 방송한 다큐로 제목부터가 멋지네요, 창의성, 남의 얘기라는 당신에게! 창의성, 창조력 등에서 대해서 잘못 생각하고 있는 편견들을 지적하고,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어떻게 접근을 해야할지를 보여준 멋진 다큐멘터리입니다. 흔히 창의성이라고 하면 아무나 발휘할수 없다고 생각을 하고, 천재들의 번쩍이는 영감같은것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창의력이라는것은 탄탄한 지식기반위에서 호기심과 상상력, 도전, 노력 속에서 탄생을 하는것입니다. 주입식교육도 어찌보면 창의성을 위한 기초적인 학습이고, 시인이나 소설가도 새로운 작품을 위해서는 많은 정보와 지식과 함께 다른 작품을 통해서 영감을 얻고, 지속적인 수정과 변화로 얻어내는 것이 산물이지, 뚝딱하고 떨어지는 소설이나 시가 얼.. 2010. 3. 30.
KBS 스페셜 다큐 - 정권교체 6개월, 일본 아시아로 돌아오는가? 거의 독점적으로 정권을 유지했던 자민당이 몰락하고, 정권을 잡은 일본의 민주당... 자민당이 보수적인 정국운영과 대미외교를 중시여기고,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을 자극했었는데, 민주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신사참배등의 일도 벌어지지 않고, 미국과의 관계보다는 중국, 한국 등 아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하면서 바뀌고 있다는 이야기... 뭐 경제적으로도 이제는 중국이 거의 일본을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더이상 미국의 관계에 의존하기보다는 실리를 추구하기 위한 포석으로도 보인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분은 좀 흐지부지했지만, 정말 대책없이 있다가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 낀 샌드위치처럼 될수도 있으니 다각적인 분야에서 준비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할듯... 2010.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