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성공 & 강연 561

KBS 경제세미나, 중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문정인 연세대정치외교학과교수 중국과 관련된 강연을 몇편 들어봤는데, 그중에서 가장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판단을 하고, 우리가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를 잘 말해준 멋진 강연 이명박 정권에 들어서면서 친미반북이 강해지고 있는데, 우리가 미국에 친밀한 관계를 가지면 가질수록, 중국은 우리와 멀어지고, 북한과 가까워 질수밖에 없는 현실... 김대중, 노무현 정권때도 미국과의 관계를 돈독히 한것은 사실이지만, 그당시에는 중국에게 명백적으로 함께 상생하는것을 이야기했지만, 지금의 정권과 우익 들은 친미반북에 반중의 성향까지 가지고서 중국을 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든다. 문제는 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인데다가, 이제는 중국의 경제력이 미국과 함께 G2로 성장을 한 상황에서, 돈은 중국에서 벌면서, 미국에서 무기를 사면.. 2011. 2. 16.
KBS 경제세미나 -2011 중국시장의 기회와 도전, 김용준교수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장 근래들어 엄청난 성장으로 G2의 지휘에 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우리의 최대 무역교역국이다. 그런 중국시장에 우리가 뛰어 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 다양한 사례와 경험담 등을 토대로 정말 재미있으면서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의 강연인듯... 우선 중국을 인구가 많은 큰 시장이니 그곳에 뛰어들어 한몫을 잡자라는 생각보다, 중국의 정치인이나, 중국의 경제계획, 중국의 젊은층인 20대의 성향 등 그들에 대해서 잘 알고, 접근을 하는것이 중요한데, 저자는 중국관련 전문가로 그냥 교과서적인 이야기, 입에 발린 이야기가 아니라, 중국의 실상을 잘 설명하면서,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할지를 잘 설명해준 강연... 중국의 넓은 땅, 넓은 인구.. 그리고 정말 방대한 자원들... 개구리, 올챙이들을 일일히 관리할수 .. 2011. 2. 16.
KBS 경제세미나-2011 경제전망, 권순우(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 현재 경제전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몇년전 금융위기이후에 2년도 안되어서 회복을 한 국제 정세 등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앞으로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이야기까지... 뉴스 기사에서 쉽게 보기 힘든 다양한 이야기와 사례들이 참 신선하기도 했는데, 무엇보다 신자유주의 시장이 많이 위축이 되면서 앞으로는 좀 보수적이지만, 여전히 불안함을 가지고 있는 세계경제... 뭐 이런 강연을 통해서 투자나 당장 도움이 되는 실전적인 내용은 없겠지만, 경제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를 곰곰히 생각해본다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KBS 경제세미나 - 새로운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의 미래, 장하준교수(캠브리지대 교수) KBS 경제세미나 - 금융경제 위기이후에 세계경제, 이성태 전 한국은행총재 KB.. 2011. 2. 7.
KBS 경제세미나 - 성공은 나눌수록 커진다, 참존 김광석회장 참 대단한 기업인중에 한명인 참존의 김광석회장... 피부전문가 참존 김광석 신앙간증 & 성공스토리 (동영상) 피부전문가 김광석, 청개구리 경영철학 [추천] ebs ceo 특강 - 청개구리 박사의 위기극복 전략 성공시대 - 피부전문가 김광석, 청개구리 경영철학 다른 강연에서는 어려운 시기부터 지금의 참존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이 주내용 이였는데, 이 강연은 전경련강연이여서 그런지 주로 참존을 시작하고나서 일본, 중국에 진출한 이야기를 하는 내용의 강연 사업에 대한 마인드와 자세등을 잘 보여주는데, 지금까지 30년을 달려왔지만, 이제는 앞으로 나갈 30년을 이야기하는데, 정말 대단하신듯... 그리고 자신의 성공의 반을 부인에게 돌리는 모습또한 멋진듯... 다양한 이야기속에서 무엇보다 좋은 습관과 열정에 대한 이.. 2011. 2. 7.
KBS 경제세미나 -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나아갈 방향, 손경식 회장(대한상공회의소) 우리나라를 먹여살린다는 대기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숫자는 얼마나 될까요? 삼성이 우리나라 GNP의 1/3 - 1/4 정도를 차지한다고 하는데, 대기업 몇개가 더 생긴다면, 우리나라의 모든 사람들이 대기업에 종사할수 있을까요? 대학생들이 전문직과 공무원 다음으로 선호하는 직장이 바로 대기업인데, 실제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무려 88%라고 하며, 국내 생산의 46%, 수출의 32%를 중소기업이 해내고 있다고 합니다. 근데 가만히 생각을 해보면 우리나라는 대기업에 의한, 대기업을 위한, 대기업의 나라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대기업들이 정치권, 정부 고위직을 쥐락펴락하고, 언론을 통제하고, 중소기업을 쥐어짜는등... 어찌보면 그들이 이 나라의 주인 또는 양아치마냥 행동하지 않나 싶.. 2011. 1. 17.
KBS 경제세미나-새로운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의 미래, 장하준교수(캠브리지대 교수) 최근에 나쁜 사마리아인들 이후 3년 만에 내놓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를 내놓은 장하준 교수... 오른쪽보다는 왼쪽에 가까워보이는 그가, 한나라당 초청으로 새로운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그의 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해서 자본주의와 우리나라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이야기한 정말 멋진 강연! 현정권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다는, 우리나라의 잘못된 경제정책이나 다양한 정책에 대해서 조목조목 비판을 하고, 어떠한 식으로 나아갈지를 이야기하는데, 미국식 자본주의가 아닌, 유럽식 자본주의를 이야기하면서 우리가 그동안 너무 맹목적으로 미국만을 바라보며, 이상형으로 잘못삼고 걸어온것은 아닌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최근에 미국이나 EU와의 FTA에 대해서 장기적으로 상당히 부정적인면을 이.. 2011.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