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방송 /다큐, 시사 1100

MBC 스페셜 다큐 - 남자의 말, 여자의 말, 왜 대화가 안될까? 방송 리뷰 남자와 여자의 말로써 남자와 여자가 대화를 할때 목적, 과정이 다른것을 참가한 부부들의 실험을 통해서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고, 뇌구조나 진화적인 이유까지 동원해서 그 차이를 보여준다. 개인적으로 봐도 엄마와 여자들과 대화할때의 괴리 등에 대해서 잘 느낄수 있다... 방송에서는 그래서 어떻게 하라고 말하기 보다는, 상대는 이러니 배려를 해야 한다는 뉘앙스정도로만 마무리를... 방송을 보는 내내 예전 여친에게 내가 말을 잘못했고, 어머니에게도 이렇게 하면 안되는구나라는것을 느끼고, 얼굴이 붉어진다...-_-;; 물론 남자는 여자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고, 여자도 남자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것은 분명하지만, 나와 다른것을 그저 틀렸다고 생각하지 말고, 남자와 여자가 다르다는것을 이해하고, 동성을 대하듯이 생각을.. 2010. 3. 31.
MBC 경제메거진m - 신용 카드 쓸까? 현금 쓸까? 현대의 멋진 발명품중의 하나인 신용카드... 하지만 충동구매를 일으키고, 자신이 벌어들이는 소득 이상으로 사용을 하다가 신용불량에 빠지기도 하는 어두운 구석이 많은데, 신용카드와 현금 사용의 장단점을 이야기하고, 어떤것이 좋을까를 보여주는데, 뭐 정답은 아니지만 현명하게 쓰라는 이야기...-_-;; 무엇보다 소득이 불규칙해서 일정하지 않거나, 가계부를 쓰지 않거나, 비상자금 관리를 안하는 사람은 신용카드를 쓰지 말라는데, 뭐 이뿐이 아니라, 방송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보면 특별히 할인을 받을수 있는 필수 제품이 아니라면 카드보다는 현금을 써야하는것이 올바른 방법인듯.... 경제매거진m 홈페이지 - http://www.imbc.com/broad/tv/culture/economym 특히나 할부로 물건을 구입하.. 2010. 3. 31.
MBC PD수첩 - 시장님도 리콜이 되나요? 주민소환제에 대해서 알아본 방송... 얼핏듣기에는 그 취지가 좋게보이지만, 실제적으로 시를 위해서 화장터를 설치하려는 시장을 막기위해서 주민소환제가 시행되는 지역이기주의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물론 반대적인 면으로 해외 외유로 얼마전에 욕을 바가지로 먹은 구청장들은 정치적인 면을 들어서 반대를 하기도 하지만, 재도 자체는 큰 문제가 없다는 진단을 내리는듯한 암시를 느낀 방송... 외국에서는 좋은 사례를 많이 보여주면서, 우리나라에서는 부정적인 사례만있던건지.. 보여준건지... 결함이 발견된 불량 제품을 회사 측이 수거, 보상해주는 제도를 일컫는 ‘리콜 (recall)' 하지만 불량 제품이 아닌, 불량 정치인도 리콜이 가능하다?! 지난 7월 1일 처음으로 도입된 ‘주민소환제’를 통해 이제 유권자들은 자신.. 2010. 3. 30.
SBS 스페셜다큐 - 창의성, 남의 얘기라는 당신에게 SBS에서 방송한 다큐로 제목부터가 멋지네요, 창의성, 남의 얘기라는 당신에게! 창의성, 창조력 등에서 대해서 잘못 생각하고 있는 편견들을 지적하고,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어떻게 접근을 해야할지를 보여준 멋진 다큐멘터리입니다. 흔히 창의성이라고 하면 아무나 발휘할수 없다고 생각을 하고, 천재들의 번쩍이는 영감같은것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창의력이라는것은 탄탄한 지식기반위에서 호기심과 상상력, 도전, 노력 속에서 탄생을 하는것입니다. 주입식교육도 어찌보면 창의성을 위한 기초적인 학습이고, 시인이나 소설가도 새로운 작품을 위해서는 많은 정보와 지식과 함께 다른 작품을 통해서 영감을 얻고, 지속적인 수정과 변화로 얻어내는 것이 산물이지, 뚝딱하고 떨어지는 소설이나 시가 얼.. 2010. 3. 30.
KBS 스페셜 다큐 - 정권교체 6개월, 일본 아시아로 돌아오는가? 거의 독점적으로 정권을 유지했던 자민당이 몰락하고, 정권을 잡은 일본의 민주당... 자민당이 보수적인 정국운영과 대미외교를 중시여기고,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을 자극했었는데, 민주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신사참배등의 일도 벌어지지 않고, 미국과의 관계보다는 중국, 한국 등 아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하면서 바뀌고 있다는 이야기... 뭐 경제적으로도 이제는 중국이 거의 일본을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더이상 미국의 관계에 의존하기보다는 실리를 추구하기 위한 포석으로도 보인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분은 좀 흐지부지했지만, 정말 대책없이 있다가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 낀 샌드위치처럼 될수도 있으니 다각적인 분야에서 준비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할듯... 2010. 3. 30.
MBC 스페셜 다큐 - 가라앉는 지구, 위기의 지구 지구 온난화 효과로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사라지게 생긴 작은 섬나라 국가 투발루... 하지만 그들은 아무것도 할수 없고 그저 바라만 보고 있을뿐이고, 선진국들에게 이야기를 해봤자, 자신들의 이해관계만 생각할뿐 그들의 미래는 없고, 이민을 가고 있는 실정이라고... 이러한것이 투발로뿐만의 일이 아니라, 지구곳곳에서 서서히 일어나고 있고, 한 학자는 조만간 인구가 1/10로 줄수도 있다고 강력한 경고를 한다... 강대국, 선진국들이 저지른 일들로 인해서 약소국이나 작은 나라들부터 피해를 보고 사라지게 생겼지만, 그것이 언젠가는 자신에게 돌아오게 될것이라는것은 망각하고 있는듯...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커다란 참사는 없었지만, 최근에 일부지역의 가뭄으로 식수까지 모자라는 상황을 봤을때 절대 남의 이야기로 치부해서.. 2010.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