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쁜 부인이 동생에게 너무 잘해주는것에 질투를 느끼던 남편이 어느 날 커다란 오해를 하고, 동생과 부인을 쫓아냈는데, 오해는 풀렸지만... 부인은 자살을 하고, 동생은 떠나고... 그후에 동생을 찾아다니는 형의 이야기...
예전에 이런 이야기를 들은것은 같았는데, 이게 배따라기 였었군요...^^;;
참.. 애매한 경우입니다... 솔직히 남편으로서 질투는 나지만 솔직하게 말하자니 쪼잔하게 보이고... 태연한척은 못하겠고...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오해를 살만한 모습을 보고 질투에 어쩔줄을 몰라하는 남자를 보면서... 과연 저라면 어떻게 할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어떤 경우가 있을까요? 죽인다, 삐쳐서 떠난다, 대화한다... 암튼 솔직한 심정으로 이성을 가지고 대하기는 힘들것이고, 정상적으로 대화를 하기도 힘들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평소의 많은 대화... 솔직한 대화... 그리고 서로간에 어떠한 경우라도 믿어주는 마음... 그런 부부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도서 정보>제 목 : 배따라기
저 자 : 김동인
출판사 :
출판일 :
일 독 : 2005/8/30
재 독 :
정 리 :
<이것만은 꼭>
탐욕.. 정욕.. 시기.. 분노.. 오해... 그리고 이별... 후회...
<책속으로>
좋은 일기이다. 좋은 일기라도, 하늘에 구름 한 점 없는 ― 우리 '사람'으로서는 감히 접근 못할 위엄을 가지고, 높이서 우리 조그만 사람을 비웃는 듯이 내려다보는, 그런 교만한 하늘은 아니고, 가장 우리 '사람'의 이해자인 듯이 낮추 뭉글뭉글 엉기는 분홍빛 구름으로서, 우리와 서로 손목을 잡자는 그런 하늘이다. 사랑의 하늘이다. 나는 잠시도 멎지 않고, 푸른 물을 황해로 부어 내리는 대동강을 향한, 모란봉 기슭 새파랗게 돋아나는 풀 위에 뒹굴고 있었다.
하늘에도 봄이 왔다. 하늘은 낮았다. 모란봉 꼭대기에 올라가면 넉넉히 만질 수가 있으리만큼 하늘은 낮다. 그리고 그 낮은 하늘보다는 오히려 더 높이 있는 듯한 분홍빛 구름은, 뭉글뭉글 엉기면서 이리저리 날 아다닌다. 나는 이러한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렇게 마음껏 봄의 속삭임을 들을 때는, 언제든 유토피아를 아니 생각할 수 없다. 우리가 시시각각으로 애를 쓰며 수고하는 것은 ― 그 목적은 무엇인가?
역시 유토피아 건설에 있지 않을까? 유토피아를 생각할 때는 언제든 그 '위대한 인격의 소유자'며, '사람의 위대함을 끝까지 즐긴' 진나라 시황〔秦始皇〕을 생각지 않을 수 없다.우리가 어찌하면 죽지를 아니할까 하여, 소년 삼백을 배를 태워 불사약을 구하러 떠나 보내며, 예술의 사치를 다하여 아방궁을 지으며, 매일 신하 몇천 명과 잔치로써 즐기며, 이리하여 여기 한 유토피아를 세우려던 시황은, 몇만의 역사가 어떻다고 욕을 하든, 그는 정말로 인생의 향락자이며 역사 이후의 제일 큰 위인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만한 순전한 용기 있는 사람이 있고야 우리 인류의 역사는 끝이 날지라도 한 사람을 가졌었다고 할 수 있다.
"그놈의 쥐 어디 갔니?"
"흥! 쥐? 훌륭한 쥐 잡댔구나!"
그는 말을 끝내지도 않고, 짐을 벗어 던지고, 뛰어가서 아우의 멱살을 끌어 잡았다.
"형님! 정말 쥐가……."
"쥐? 이놈! 형수하고 그런 쥐 잡는 놈이 어디 있니?"
그는 아우를 따귀를 몇 대 때린 뒤에 등을 밀어서 문 밖에 내어던졌다.
그런 뒤에 이제 자기에게 이를 매를 생각하고 우들우들 떨면서 아랫목에 서 있는 아내에게 달려들었다.
"이년! 시아우와 그런 쥐 잡는 년이 어디 있어!"
그는 아내를 거꾸러뜨리고 함부로 내리찧었다.
"정말 쥐가…… 아이 죽갔다."
"이년! 너두 쥐? 죽어라!"
그의 팔다리는 함부로 아내의 몸에 오르내렸다.
"아이 죽갔다. 정말 아까 적으니(시아우) 왔기에 떡 자시라구 내놓았더니……."
"듣기 싫다! 시아우 붙은 년이, 무슨 잔소릴……."
"아이, 아이, 정말이야요. 쥐가 한 마리 나……."
"그냥 쥐?"
"쥐 잡을래다가……"
"상년! 죽어라! 물에라두 빠데 죽얼!"--- pp.20-21
여기까지 이르렀을 때에 저편 아래 물에서 장고(長鼓) 소리와 함께 기생의 노래가 울리어 오며 배따라기는 그만 안 들리게 되었다. 나는 이 년 전 한여름을 영유서 지내 본 일이 있다. 배따라기의 본고장인 영유를 몇 달 있어 본 사람은 그 배따라기에 대하여 언제든 한 속절없는 애처로움을 깨달을 것이다. 영유, 이름은 모르지만 ×산에 올라가서 내다보면 앞은 망망한 황해이니, 그곳 저녁때의 경치는 한번 본 사람은 영구히 잊을 수가 없으리라. 불덩이 같은 커다란 시뻘건 해가 남실남실 넘치는 바다에 도로 빠질 듯 도로 솟아오를 듯 춤을 추며, 거기서 때때로 보이지 않는 배에서 '배따라기'만 슬프게 날아오는 것을 들을 때엔 눈물 많은 나는 때때로 눈물을 흘렸다.
이로 보아서, 어떤 원의 아내가 자기의 모든 영화를 낡은 신같이 내어던지고 뱃사람과 정처없는 물길을 떠났다 함도 믿지 못할 말이랄 수가 없다. 영유서 돌아온 뒤에도 그 '배따라기'는 내 마음에 깊이 새기어져 잊으려야 잊을 수가 없었고, 언제 한번 다시 영유를 가서 그 노래를 한번 더 들어 보고 그 경치를 다시 한번 보고 싶은 생각이 늘 떠나지를 않았다.--- p.4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