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목록 전체보기12952 SBS 스페셜 다큐 - 천지개벽 두바이, 기적의 사막으로 오라 얼마전까지 황량한 사막에 석유도 안나는 두바이... 사람들은 바다에서 진주를 깨서 먹고 살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석유를 발견하고, 새로운 국왕이 들어서면서 개혁에 박차를 가한다. 정발 상전벽해라는 말은 두바이를 두고 한말이라고 해도 될정도로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다. 엄청난 고층빌딩들이 들어서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6성호텔도 바로 두바이에 있는 호텔... 거기에 외국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서 법인세, 소득세.. 암튼 대부분의 세금을 없애버렸다... 우리나라도 많이 들어가서 활동을 하고 있다고... 보통 중동국가는 석유가 국가 살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현재 두바이는 8%정도밖에는 차지하지 않고, 몇년후에는 0%를 만든다고 한다... 그정도로 석유보다는 중동 무역의 선두가 되어서 발전하고 있고, 그.. 2010. 3. 23. SBS 스페셜 다큐 - 한국의 천재들, 메이드 인 코리아 한국이 낳은 천재 4명을 소개해주는데 대단들 하십니다... 김영세씨... 세계적인 디자이너인데... 고객의 요청으로 디자인을 하기도 하지만 자신이 생각해낸 디자인을 업체에 파는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는데, 그의 대표적인 작품은 아이리버의 프리즘형 mp3p, 목걸이형 mp3p, 삼성 휴대폰의 가로본능, 태평양에서 나와서 요즘 유행이라는 슬라이더식의 화장품 등등.. 정말 입이 다물이지지 않을정도의 작품들이 부지기수이다... 그리고 영화감독 박찬욱씨... 엄청난 영화를 본다고 하는데.. 자신이 본것은 절때 찍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면서 올드보이나 복수는 나의것을 분석해주는것을 보았더니 정말 고개가 끄떡여 진다... 이 외에 mri말고 다른 기계를 만들어서 뇌연구분야의 세계최고의 석학이자 노벨상후보로 유명하신.. 2010. 3. 23. SBS 스페셜 다큐 - 유언, 죽음을 기억하라! 정말 숙연해지고... 인생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해주는 프로그램... 보면서.. 보고나서 많이 답답하고... 정말 이렇게 살다가 죽으면 어떻하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만약에 지금 유언을 남긴다면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할지도 모르겠는데, 어떤분이 말씀을 하시더군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중에 하나가 죽음이고, 죽음이라는것은 자기 자신의 존재가 사라지는것인데, 그것을 대비하지 않고 살아간다면 그건 인생에 대한 직무유기라고요...-_-;; 아무튼 조만간 조용한곳에서 깨끗한 마음으로 지나간 인생을 돌아보고, 남은 인생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곰곰히 생각해 봐야 겠습니다. '유언 -죽음을 기억하라!’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무엇인가? 주변에서 항상 사람들이 늙고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도 우리에게는.. 2010. 3. 23. SBS 그것이알고싶다 - 독도의 적은 누구인가? 독도에 대해서 다룬 방송은 많지만, 이번 방송은 독도에 대한 우리의 문제점을 주로 짚어본 방송... 일본내의 문제를 지금 우리가 어쩔수 없는 문제이고, 우리는 너무 우리꺼라는것에 집착해서 감정적이 되어, 논리적으로 대응을 못했다는것, 우리들의 무관심, 정부의 안일한 대응등... 지금 국제적으로 보았을때는 둘째치고라도 우리자체가 큰 문제가 있지 않나 싶었던 방송.... 우리부터, 나부터 정신을 차려야 겠다... 막연히 독도는 우리땅이라고 노래만 부르지말고, 안용복이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였고, 실제적으로 독도를 어떻게 가꾸고 만들어 가야할지 부터 생각해볼 문제가 아닐까? 그것이 알고 싶다(680회) 2008-08-09 제목 : 광복절특집 2부작 독도의선택 - 1부:독도의 적은 누구인가? 방송 : 2008년.. 2010. 3. 23. SBS 스페셜 다큐 - 한국남자, 변해야 산다! 가부장적인 제도로 인해서 남자는 집안일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는 사례들을 보여주고, 심각한 모습, 그리고 외국의 사례를 보여준다. 뭐 어렵게 이야기할것없이... 같이 나누어서 잘 하라는 이야기이다... 물론 평생을 조상때부터 그렇게 살아왔는데,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을것이고,우리 나라의 현실에 남자가 집안일을 한다는것에 선입견을 많이 가진것도 사실이다. 남편이 돈을 벌고, 부인은 살림을 한다면 모르겠지만, 맛벌이거나 불량주부의 경우에는 당연히 집안일을 나누어서 하는것이 살아가는데 현명한 지혜이고, 서로를 위하는 지름길일것이다. 사례중에 한명으로 나온 부부의 계약서는 어떻게 보면 말따라서 이혼계약서일지도 모르겠지만, 현명한 판단이라고 생각이 든다... 제대로 된 계약을 가지고 시작을 한다면 문제가 생기면 .. 2010. 3. 23. SBS 스페셜 다큐 - 은둔의 땅 부탄, 작은 나라의 큰 행복 사람들은 돈이 많고 적음으로 그 사람이 행복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곤 한다. 물론 돈 이외에 객관적으로 판단을 하기가 쉽지 않은것도 그 하나의 이유이겠지만, 돈이라는것이 행복의 하나의 수단임에는 틀림없지만, 그 목적지는 아닐것이다. 간혹 네팔이나 부탄의 사람들의 행복지수가 세계 1위라는 이야기가 나오고는 한다. 솔직히 이해가 안간다.. 예전에 만화에서도 그런 이야기가 나오기도.... 그 사람들이 선진세계의 문화나 삶등을 체험해보고도 그런 삶이 싫어서 예전처럼 그냥 살아간다면 모르겠지만... 아무것도 모른체 살아가면서 행복을 느끼고 산다는것이 과연 진정한 행복일까? 물론 나름대로 행복하게 잘 살고 있는 사람에게.. 이런 좋은것이 있으니 체험해 보라고 하는것도 우습기는 하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정답은 없다... 2010. 3. 23. 이전 1 ··· 1164 1165 1166 1167 1168 1169 1170 ··· 21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