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구전략(Entrance Strategy), 출구전략 (Exit strategy) 이란?
신문 경제면이나 경제관련 세미나 강연을 듣다보면 자주나오는 단어가 바로 출구전략인데, 경제학적인 면으로 이야기하자면 경기가 어려워져서 경기가 위축되게 되면, 정부는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해서 통화공급을 늘리고, 금리를 인하하고, 적자예산을 편성하고, 세제나 제도등을 완화하고, 구조조정 등을 통해서 입구전략을 실행하게 되고, 어느정도 경기가 부양이 되면 스테그플레이션 등을 우려해서 입구전략과 반대로 시중에 풀었던 돈을 회수하고, 금리를 인상하고, 흑자예산을 편성하고, 세제나 제도를 다시 강화하고, 시장자율을 높이는 등의 입구전략과의 반대의 전략을 실행하는것이 바로 출구전략이라고... 원래는 군사용어였다는데, 경영, 경제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는데, 뭐 어찌보면 우리가 살아가면서 위기를 겪게되면 ..
2010. 1. 26.
경제세미나 -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과 한국의 대응,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
강연 제목이 좀 거창한만큼 좀 방대한 분야에 대한 이야기였지만, 경제전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돕는 강연... 이번 경제위기는 그저 금융위기로 인한 결과로 보는것이 아니라, 선진국들의 경제가 성숙(노화)되어 가면서 일어나는 현상이자, 경제 자체의 위기로 볼수 있다고... 선진국, 개발도상국, 후진국의 경제 성장 페러다임을 통해서 선진국의 고용문제나 성장둔화를 후진국과 비교해서 왜 그러할수 밖에 없는가를 기차를 이용해서 설명을 해주신것은 쏙쏙 들어온다... 점점 경제가 발전해 가지만, 기계화, 자동화 등으로 지하철에는 이제는 직원을 찾아볼수 없는 현상은 전산업분야로 퍼져나갈것이고, 경제가 발전해 갈지라도, 고용문제는 점점 더 심해질것이고, 선진국일수록 더욱더 대책이 없고, 현재와 같이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2010. 1. 26.
탕,국,라면 등을 끓일때 나오는 거품은?
음식점에 가서 탕같은것을 먹을때 아주머니가 거품을 걷어내고는 하는데, 왜 걷어내냐고 하면 텁텁한 맛을 없애준다고 하고... 인터넷을 찾아보니 요리법마다 거품을 제거를 주로 하는듯한데, 위의 식객 만화를 보면 거품을 통해서 국물의 끓고, 진국여부를 파악을 하는듯.... 그러고보면 라면을 끓일때도 거품이 많이 나는데, 혹자는 극단적으로 독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지만 거품먹고 죽었다거나 병원에 실려갔다는 뉴스는 들은적이 없고, 여기저기를 찾아봐도 유해성분은 아니고, 담백하거나 깔끔한 맛을 원하면 걷어내도 무방하다는 정도... 거품때문에 목숨을 걸정도로 맛이나 영양에 커다란 차이가 있지는 않은듯한데, 결국에는 자신의 취향이나, 귀차니즘에 따라서 선택을 해야할듯...-_-;; 갈비탕을 끓일 때 맛술이나 청주, 마늘..
2010.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