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방송 /다큐, 시사 1100

EBS 프로열전 - 한국의 CSI, 화재의 진실을 찾는 사람들 (사진보기) EBS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프로직업인들의 모습을 보여준는 다큐 방송 기존에 하던 극한직업이 끝나고 새롭게 하는것인가 했더니 극한직업은 계속 하고, 이 방송은 이 방송대로 하는듯... 기본 포멧은 비슷하고, 방송구성도 비슷비슷한데, 앞으로 어떻게 차별화를 해나갈지가 관건인듯... 첫방송에서는 화재가 발생한후에 그 화재의 원인을 찾는 사람들인 화재조사관에 대한 이야기인데, 과학수사요원들로 뭐 담배꽁초를 주워서 이게 원인이야~라고 말하는 그런 수사가 아닌, CSI 수사처럼 화재의 진행상태를 보고 원인을 찾아가는데, 장비나 사고후의 난로를 싣고 가는 차량이나, 사무실에서 찌게에 밥을 먹는 모습은 참 안습이였다는...-_-;; 이 방송은 1부였고, 2부에서는 좀 더 디테일하게 그들의 작업모습을 보여줄듯한데, 한국.. 2010. 3. 2.
취재파일 4321 - 질주하는 경마 중독 (사진보기) 가족이 함께 즐기는 레저용으로 만든 경마가 경마에 중독되어서 가사를 탕진하고, 패가망신하는 사람들이 속출을 한다는 취지의 방송... 경마를 해서 돈을 딸 확률도 거의 없지만, 사람들은 대박 한판을 생각하며 빠져들고, 그 구렁텅이에 빠져들면 헤어날수가 없다고... 이건 뭐 마약도아니고 참...-_-;; 그런 가운데 마사회 매출은 엄청나게 오르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아마 복지혜택이 가장 좋은 회사중에 하나인데, 실상은 고용창출은 커녕 비정규직을 뽑아서 운영을 하고, 사람들이 점점 중독에 빠져들면 그 규모를 줄여야 하는것이 당연한것인데, 장외경마장을 늘리고, 그 규모를 점차 넓히고 있다고... 고객의 편의성, 편안함을 위한다고는 하지만... 매출확대를 위한것이라는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 아닐까? 거기다가 .. 2010. 3. 2.
아사히 TV 특별기획 - 참치 마구로와 일본인 (사진보기) 일본문화 전문채널인 채널J에서 방영한 다큐멘터리 8부작... 마구로와 일본인... 체널J 홈페이지 - http://channelj.co.kr 참치가 일본에서 얼마나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그안에서 사는 사람들과 이를 애용하는 일본인들을 잘 보여준다. 참치시장에 1조엔이라고 하는데, 유명한 오오마산 참치에 대한 소개부터 맛있는 계절, 부위 등을 자세히 소개를 해주고, 참치를 잡는것이 외줄낚시로 하는데, 그렇게 만만치 않은 작업임을 보여준다... 꼭 노인과 바다처럼 커다란 참치를 잡기위해 꽁치를 미끼로 써가면서 몇일씩 헛탕을 치는 사람들... 하지만 한번 좋은것을 잡으면 2천만엔을 받기도 했다는데... 정말 대박이구만...^^ 요즘에는 양식 참치도 생기고 있고해서 가격은 조금 떨어진듯... 근데 우리나라에.. 2010. 3. 2.
KBS 김연아 스페셜 - 연아의 마법, 세계를 홀리다 다큐 방송이 아사다 마오 특집? 채널을 돌리다가 김연아 스페셜이라고 해서 뒷부분 20-30분정도만 보았는데, 김연아는 거의 안나오고 주로 아사다마오만 줄기차게 나온다... 김연아 특집이라고 하기보다는 아사다마오 특집이라고 하는것이 맞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정도...-_-;; http://news.nate.com/view/20100301n07395 '김연아 다큐'란 이름 아래 '아사다 마오 스페셜'을 내보낸 KBS의 국적불명의 엽기행태에 시청자들이 제대로 뿔났다. KBS는 2월 28일 오후 9시 40분부터 1시간 가량 란 제목으로 '김연아 특집다큐'를 내보냈다. 그러나 타이틀은 김연아 특집이었으되, 다큐 내용은 정작 아사다 마오를 위한 변명뿐이었다. KBS는 두 사람의 차이를 일본의 프레임 그대로 '기술의 마오, 표현력의 김연아'란 이분법.. 2010. 3. 2.
MBC 프라임 -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말하다 (사진보기) 돈이 성공의 가장 중요한 상징이라고 답한 한국인이 69%에 이른다고 통신이 22일 보도했다. 통신은 여론 조사회사인 입소스와 함께 세계 23개국 2만4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한국인과 중국인이 “돈이 성공의 가장 중요한 상징”이라는 생각에 동의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중국이 한국과 같은 69%였고, 다음으로 인도 67%, 일본 63%로 아시아 국가들에서 이런 성향이 두드러졌다. 반면, 캐나다는 27%만이 돈이 성공의 가장 중요한 상징이라고 생각해 대조를 이뤘다. 네덜란드는 50%, 멕시코와 스웨덴도 28%에 그쳤다. “돈 이 전보다 중요해졌느냐”는 질문에서도 아시아 사람들이 동의한 비율이 높았다. 한국과 일본, 중국이 84%로 1위였다. 다음이 인도로 78%였다. 네.. 2010. 2. 27.
KBS 10대기획-쾌적! 한국 사이버 세계, 이중성에 관한 보고서 (사진보기) 제작은 KBS가 했지만, 투자는 저작권법무법인이 했는지, 요즘 과다한 저작권법 단속이나 표현의 자유를 떠나서 일방적으로 피해를 당하는쪽의 입장만을 대변한듯한 다큐... 물론 정말 어이없는 악성댓글을 달거나, 남의 저작권물을 가지고 돈벌이를 하는것등은 분명 문제가 있고, 제재가 가해져야 하지만, 네티즌들은 이중성을 가지고 있고, 남의것을 함부러 퍼가는 등 완전 한쪽의 입장만을 대변하는듯... 요즘 말이 많은 저작권법 고소의 주체인 법무법인 관계자가 천사처럼 나오더구만...-_-;; 잘못된것은 하나씩 바꾸고 고쳐나가면 되고, 방송에 나왔듯이 제대로 된 교육도 하나 안하고, 기존의 잘못된 관행들을 모조건 고소를 하며 해결해나가는 작금의 모습은 분명 정답은 아닐것이다. 충분한 경고, 계도와 교육와 모호하지 않으.. 2010.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