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주 찾아가 보고, 자주 봤던 북한산 비봉의 진흥왕 순수비...
위의 사진은 방송에서 보여준 비봉에서 본 서해바다.. 아는 사람은 안다.. 그 짜릿한 기분을.. 카메라가 좋은거라서 그런지.. 이렇게까지 확대가 되다니..^^;;
암튼 오랫동안 묵혀있던 비봉을 김정희가 발견하고, 해석해냈다는 이야기를 시작으로 당시의 삼국시대의 이야기부터 당시 상황에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다큐를 보면서 고두심의 설명을 들으면서 이런 저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기껏해야 비봉에 진흥왕 순수비가 있었고, 지금은 중앙박물관에 가있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고, 지금이야 헬리콥터로 나르면 되지만 옛날에 이거 만들려면 정말 고생했겠다라고 생각을 했는데...
이 다큐를 보고 생각해보니.. 왜 경주를 바탕으로 한 신라의 진흥왕이 이곳까지와서 이런 비를 세웠을까라는 생각은 해보지를 못했었는데, 조그만한 경상도의 분지인 경주를 터전으로 있다가 영토를 확장해서 서울까지 올라와 북한산에 올라가 탁트인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가 보고, 서해바다와 한강을 보면서 진흥왕이 어떤 감회로 이런 비를 세웠을까라는 생각은 해보지를 못했던것 같다.
앞으로 역사 유적지나 기념물을 볼때.. 단순히 멋지다.. 유명하다가 중요한것이 아니라.. 내가 그 당사자가 되어본다고 생각하고 그 사물을 바라봐야 겠고, 그 동안 그러지 못했던 것들이 아쉬울뿐이다...
이건 드라마 선덕여왕에 나온 진흥왕과 진흥왕 순수비...
<HD 역사스페셜>진흥왕 순수비 | [2005/09/09] |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인쇄하기
요약
신라 진흥왕순수비의 하나. 서울특별시 종로구(鐘路區) 구기동(舊基洞) 북한산 연봉의 비봉(碑峰) 정상에 세워졌었다.
|
설명
신라 진흥왕순수비의 하나. 서울특별시 종로구(鐘路區) 구기동(舊基洞) 북한산 연봉의 비봉(碑峰) 정상에 세워졌었다.
윗부분이 일부 마멸되어 현재 남아 있는 비신의 높이는 154㎝, 나비는 69㎝, 비문은 모두 12행이며 행마다 32자가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이 비가 있던 부근에 승가사(僧伽寺)가 있고 조선 태조 때의 국사였던 무학(無學)의 탑비가 있어서 종래 무학의 비 또는 도선(道詵)의 비로 알려져 왔으나, 1816년(순조 16) 7월에 김정희(金正喜)가 김경연(金敬淵)과 함께 이 비석을 조사하고, 다시 이듬해 6월에 조인영(趙寅永)과 같이 비문을 조사하여 68자를 심정(審定), 진흥왕순수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비가 세워진 연대는 561년(진흥왕 22)에 창녕비(昌寧碑)가 건립된 뒤부터 568년 황초령비(黃草嶺碑)와 마운령비(摩雲嶺碑)가 건립되기까지의 어느 해일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고, 한편 568년 이후의 어느 해일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진흥왕은 553년 백제로부터 한강 하류지방을 빼앗아 이곳에 신주(新州)를 설치하였으며, 555년 10월에는 왕 자신이 북한산에 순행하여 강역을 획정한 일이 있는데, 그것을 기념하여 순수비를 세웠을 것으로도 보인다.
북한산비에는 신라시대 관등 이름의 하나인 일척간(一尺干)의 이름이 보이며, 또한 남천군주(南川軍主)의 직명도 보이고 있어 신라 때의 인물과 관직제도 연구에 참고가 된다. 이 비는 1972년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1986년 8월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실로 옮겨졌다. 국보 제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윗부분이 일부 마멸되어 현재 남아 있는 비신의 높이는 154㎝, 나비는 69㎝, 비문은 모두 12행이며 행마다 32자가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이 비가 있던 부근에 승가사(僧伽寺)가 있고 조선 태조 때의 국사였던 무학(無學)의 탑비가 있어서 종래 무학의 비 또는 도선(道詵)의 비로 알려져 왔으나, 1816년(순조 16) 7월에 김정희(金正喜)가 김경연(金敬淵)과 함께 이 비석을 조사하고, 다시 이듬해 6월에 조인영(趙寅永)과 같이 비문을 조사하여 68자를 심정(審定), 진흥왕순수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비가 세워진 연대는 561년(진흥왕 22)에 창녕비(昌寧碑)가 건립된 뒤부터 568년 황초령비(黃草嶺碑)와 마운령비(摩雲嶺碑)가 건립되기까지의 어느 해일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고, 한편 568년 이후의 어느 해일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진흥왕은 553년 백제로부터 한강 하류지방을 빼앗아 이곳에 신주(新州)를 설치하였으며, 555년 10월에는 왕 자신이 북한산에 순행하여 강역을 획정한 일이 있는데, 그것을 기념하여 순수비를 세웠을 것으로도 보인다.
북한산비에는 신라시대 관등 이름의 하나인 일척간(一尺干)의 이름이 보이며, 또한 남천군주(南川軍主)의 직명도 보이고 있어 신라 때의 인물과 관직제도 연구에 참고가 된다. 이 비는 1972년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1986년 8월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실로 옮겨졌다. 국보 제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분류
역사·고고학·문화재 > 고고학, 문화재 > 한국문화재 > 국보
지리·관광정보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이미지
북한산신라진흥... |
북한산신라진흥...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