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2497

한국생산성본부, 경복궁역의 회사, 직장인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 강연, 강좌를 하는 교육장 3호선 경복궁역에서 내려 건물지하까지 이어진곳으로 다양한 교육이 열리는 곳입니다. 지하철 3호선에서 내려서 밖으로 나오지 않고, 지하로 들어올수 있습니다. 정말 다양한 교육을 하는데, 직장인들을 위한 교육으로 회계, 경영, 금융, 구매, 자재, 세무, ERP 등 교육분야는 상당히 다양합니다. 일반 직장인외에 IT교육이나 최고경영자 과정등도 열리는데, 자체교육도 있지만 KT 에코베이션 교육도 이곳에서 열리는것을 보니 대관도 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다. 강의장의 모습... IT관련 교육을 받기에 참 좋은듯 합니다. 모니터가 없어서 당황스러울수도... 근데 옆의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모니터가 올라옵니다. 이런식의 회의실과 세미나실, 강연장등 다양한 시설이 있고, 휴게실도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4층인가에는 내부.. 2011. 12. 8.
불광우체국 신청사 완공으로 12월 10일부로 연신내에서 다시 불광동으로 이전 복귀한다고 합니다. 은평구 불광우체국, 연신내의 대조우체국으로 임시 이전 소식 예전에 불광동의 불광우체국에 소포를 보내러 갔더니 연신내로 이전을 했다고... 근데 어제 등기 택배를 보내러갔더니 2011년 12월 10일에 신청사로 복귀를 한다고 하네요. 몇일만 늦었으면 또 헛걸음을 할뻔 했네요...^^ 위 지도는 원래의 위치입니다. 불광동 시외버스터미널과 KT전화국이 있는 원래의 곳으로 복귀를~ 주소는 불광동이 아니라 대조동 84-113(통일로 71길 20) 참고로 우체국에 가서 택배나 소포를 보내실분은 번호표를 뽑고, 아래와 같은 양식에 미리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을 적어두면 빨리 처리할수 있습니다. 앞에보이는 서류를 꺼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은평구 불광우체국, 연신내의 대조우체국으로 임시 이전 소식 우체국의 미국행 국.. 2011. 12. 8.
생활관마트, 관악구 서울대 가족생활동 내의 배달도 되는 가게 독특하게도 서울대 가족생활동내의 연립주택내의 지하에 위치한 생활관마트 933동의 지하에 있고, 전화번호는 02-876-1741 오전 8시반에 오픈해서 저녁 10시까지... 배달도 가능하며, 배달가능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SK 상생혁신센터, 서울대학교 SK연구동에 있는 모바일, 스마트폰 사업, 창업 지원을 해주는곳 서울대학교 연구공원 본관의 구내식당 웰스토리(Welstory), 4천원의 가격의 저렴하면서도 괜찮은 식당 인근에 참 건물들이 많은데, 제대로된 매점같은곳이 거의 없더군요. 편의점이나 가게에 가려면 마을버스나 차를 가지고 나가야 한다는... 그래서 그런지 마트인데도 사발면을 위한 뜨거운물이나 전자렌지도 구비를... 편하게 먹고 갈수 있는 휴계실같은곳은 편의점을 능가하는듯~ 가족.. 2011. 12. 8.
센트럴 프라자빌딩의 삼경 C&M 교육센터. 서울역부근의 강의실 대관 업체 KT에서 교육이 있어서 드린 센트럴 프라자 빌딜의 5층에 위치한 삼경 교육센터 4호선 서울역 14번 출구 바로 앞에 있는 건물입니다. 부동산, 치고, 병원등 다양한 입주사들... 5층의 삼경 씨엔엠 교육센터... 주식회사 samkyung c&m co, Ltd. 간단하게 커피를 마실수 있는곳도... 옆은 바로 서울역 기차를 타는곳입니다. 교육실은 총 2개... 교육장의 모습... 홈페이지는 잘 모르겠고 ,강의실 대여는 하루에 15만원부터 32만원까지 다양하고, 노트북 대여도 가능하며, 일년 365일 상시 대관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대관예약 전화번호 02-714-5531 서울력 14번출구로 지하철로 와도 좋고, 근처 예전 대우센터앞의 환승센터를 이용해도 될듯... 2011. 12. 8.
오죽(烏竹, Black Bamboo), 줄기의 빛깔이 까마귀처럼 검은 대나무의 유래와 용도 강릉시 오죽헌, 1박2일에 나온 조폐공사 지폐모델 신사임당, 율곡 이이의 생가를 여행중 방문 오죽헌에 갔다가 보게된 오죽입니다. 겉모습만 보면 일반 대나무와 무슨차이가 있을까 싶지만, 외떡잎 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 목본식물로, 줄기의 색이 검은색인 독특한 대나무라고 합니다. 학명 Phyllostachys nigra 분류 화본과 분포지 한국 신성한 곳에서만 뿌리를 내린다는 전설이 있는지 특별히 여겨왔고, 담뱃대와 지팡이, 부채 등으로 사용이 되며, 죽순은 5-6월에 나오는데, 첫해는 초록색이다가 다음해부터는 검게된다고 합니다. 강원도에서는 오죽헌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60년을 산다고도하며, 꽃이 피면 죽어버린다고 합니다. 1541년 이전부터 있었는데 오죽헌이라는 이름은 율곡선생의 이종사.. 2011. 12. 6.
겨울 논에 있는 볏집의 용도와 원기둥모양의 하얀 비닐 뭉치의 정체는 무엇일까? 가을에 추수를 끝내고 횡한 논바닥에 볏집들이 놓여있네요... 벼농사가 끝난후에 탈곡을 하고 남은 벼의 줄기와 잎인데, 이는 소의 겨울철 사료로 사용되고, 생짚을 그대로 논에 넣어서 토양의 유기물을 증진시키기도 한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가마니, 새끼 등을 만들기도 했다는데, 요즘에는 거의 사용을 하지 않지요... 근데 가만히 보면 볓집외에 저런 하얀 비닐같은것이 여기저기 많이 눈에 띄더군요. 왠 비닐일까? 비닐하우스를 지으려고하나 싶었는데, 이번 기회에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비닐뭉치인가 했는데, 저 안에 볏집이 들어있는것으로 콤바인으로 벼수확을 한후에 볏집이 마르기전에 그 안에다가 사료가치를 높이는 첨가제를 넣고, 둥글게 말아서 비닐에 덮어둔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해서 40여일정도 숙성을 시키게되면 사료로.. 2011.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