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방송 /다큐, 시사 1100

KBS 즐거운 책읽기 - 굿보스 배드보스, 정호승씨 인터뷰 울지 말고 꽃을 보라, 흥보가 흥부전 전집 KBS 책읽는 밤 - 2010 세계를 읽다 (사진보기) KBS 책읽는 대한민국 - 읽기혁명, 한살아이에게 책을 읽어라 KBS 낭독의 발견 - 역사가 된 소설, 위로가 된 노래 -소설가 조정래 & 소리꾼 장사익 예전에는 참 이런 프로를 자주 찾아서 보았는데, 가카가 취임하신후에 괜찮은 패널들이 자신의 정치성향때문인지 죄다 빠지고나서부터 좀 소홀해지고.. 이제는 거의 안보다가 간만에 보게되었는데, 역시나 토론은 그다지 마음에 안든다. 북클럽의 오늘의 책은 로버트 서튼의 굿보스 배드보스 굿보스 배드보스국내도서>자기계발저자 : 로버트 I. 서튼(Robert I. Sutton) / 배현역출판 : 모멘텀 2011.06.05상세보기 자기계발도서인데, 예전에도 간혹 자기계발도서가 토론의 대상으로 나오기도 했지만, 이런.. 2011. 12. 19.
KBS 중계석 - 모스크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Moscow Philharmonic Orchestra) 예술의 전당 내한공연 방송 (바이올린 렌드바이 협연) 2011년 11월 13일에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가졌던 내한공연을 녹화중계해준 방송... 최근에 정명훈씨의 거취문제로 인터넷에서 말이 참 많던데, 개인적으로도 이런 클래식 음악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충분한 가치가 있는 일인듯한데, 너무 문제를 삼는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암튼 참 멋진 공연을 한시간으로 줄여서 중요한 부분만 편집을 하지 않았을까 싶은데, 정말 이런것은 직접 가서 봐줘야 그 느낌과 웅장함을 느낄수 있을듯... 모스코바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는 소련 문화성의 관현악단을 위해서 1951년에 창단되었다는데, 러시아의 음악은 물론이고 서구 고전 명곡에 까지 다양한 레파토리를 보유한 실력있는 관현악단으로 300개 이상의 음반을 녹음했다고... 지휘에 유리 시모노프로 첫곡은 림스키-코.. 2011. 12. 19.
KBS 수요기획 - 세상을 이끄는 1% 천재들의 독서법, 천재 책을 말하다 천재들의 독서법이라는 내용은 실제 방송내용에 비해서 그닥 어울리지는 않지만, 몇몇 천재들이 독서를 통해서 성장했다는것을 통해서 독서방법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내용의 다큐멘터리... 한국의 천재소년이라는 송유근과 한국인 어머니를 둔 일본인 천재소녀인 사유리야노의 어머니 등을 통해서 천재들의 독서습관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부분은 단순하면서도 우리가 실천하지 못하는 기본적인것을 잘 이야기한다. 자신은 놀면서 아이들에게 독서를 강요하는것이 아니라, 부모가 먼저 독서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들은 스스로 책에 빠져들게 되고, 그저 독서만을 하는것이 아니라... 하나의 책을 읽으면서 토론과 대화를 하면서 다른 책을 자연스럽게 찾아가게 되고, 질문을 통해서 사색의 깊이를 얻게 한것이 바로 천재들을 만드는 집안.. 2011. 12. 19.
KBS 한국인의 밥상 - 두메산골, 겨울을 품다. 강원도 인제군 미시령 고개 밥상 제목을 보고는 강원도 미시령의 맛집을 소개해주는건가 싶었는데, 제목과는 조금 생뚱맞고, 강원도 지역민들의 고유의 음식들과 살아가는 모습을 탤런트인 최불암씨의 소개로 보여주는 내용의 방송. 강원도 가는길에 들려 본 미시령옛길의 미시령휴게소 미시령휴게소의 미시령옛길, 구제역으로 당분간 전면통제 미시령에 대한 이야기는 잠깐 소개한 정도였는데, 미시령휴계소도 안나오다니... 좀 허무... 미시령은 강원도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토성면 경계에 있는 고개로, 조선시대에 중앙집권을 길을 내서 교류가 시작되었다는 정도로 해동지도에 미시령이라는 지명이 소개... 뭐 최근에는 미시령터널때문에 고개를 넘어가는 사람은 거의 없다 처음 소개한 밥상은 미시령 두메산골에 사시는 할아버지, 할머니 부부의 밥상으로 시래기볶음, 말린 고.. 2011. 12. 16.
MBC PD수첩 - 부자 농협 중앙회와 가난한 농민, 4대강 부실공사 논란에 대한 방송 MBC PD수첩 - 4대강 수심 6m, 대운하 vs 4대강 살리기 도무지 왜 하고 있는지 이해가 안가는 현정권과 가카의 4대강 공사... 올 여름 홍수에 반대측은 그럴줄 알았다고 말하고, 찬성측은 공사를 해서 그나마 이 정도라는 말 하지만 시간이 점점 지나면서 부실공사 논란도 생겨나고, 실제로 물이 세기도 하는 모습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런 공사는 보통 7-8년을 잡고 장기적으로 해야 하는데, 다음정권에서 공사를 중단시킬까봐 2년만에 공사를 완공한다면서 노동자들이 하루에 17시간씩 일을 하기도 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상당히 많다고... 논란중에 하나가 콘크리트에 크랙(틈)이 발생하는것인데, 반대측은 이곳에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었다가 녹으면서 틈이 더 크게 벌어지면 문제가 생길수 있다고 .. 2011. 12. 15.
MBC 프라임 - 스마트 세상을 바꾸다 (스마트폰이 만드는 새로운 세상)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서 우리의 삶의 변해가는것을 이야기한 다큐로 smartphone로 인해서 문화, 생활, 사회가 바뀌고 그 안에서 또 하나의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해준다. 다만 이런 종류의 방송이 요즘 많이 나오고 있는데, 그다지 참신한 느낌이 들기보다는 스마트폰이 어떻게 세상을 바꾸고 있는지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보면 많은 도움이 될듯 하다. 애플의 아이폰이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선도해서 이제는 하나의 트렌드에서 거의 문화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느낌이 드는데, 그건 세상속에서 그저 많이 사용한다는것을 넘어서 구체적으로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잘 보여주는듯 하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느끼는것은 iphone, android 폰 등의 수많은 앱으로 인해서 삶이 편해지고, 심심한 시간이 많이 줄어.. 2011.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