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추석특집다큐 - 천년 문화재와 만나다, 대목장 최기영

 
반응형

KBS 추석특집 다큐 - 곡선의 미(美), 자연을 닮다
위 방송과 비슷한 맥락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었고, 그냥 멋지다라는 생각만을 해왔지만, 그 이면에는 참 엄청난 노력과 기술력, 수많은 사람들의 노고가 숨어 있다는것을 엿볼수 있었던 방송...
저 웅장한 5층목탑을 못하나 없이 나무로 만든다는것이 정말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 싶다.

삼국시대인 백제시대의 건축기법인 하앙식 기법 등 다양한 건축기법도 소개가 되고, 최기영 대목장과 일하시는 분들이 최소 20년에서 30년이 넘은 분들도 소개가 되는데, 참 장인이라는것이 대단하다라는 생각이...

희망특강 파랑새 - 신응수 대목장의 나무이야기(사진보기)
그리고보면 그동안 대목장이라고 하면 신응수 하나만 있는줄 알았는데, 인간문화재를 비롯해서 꽤 많은분이 계신듯...

대목장은 나무를 재목으로 하여 집짓는 일에서 재목을 마름질하고 다듬는 기술설계는 물론 공사의 감리까지 겸하는 목수로서 궁궐, 사찰, 군영시설 등을 건축하는 도편수로 지칭하기도 합니다. 대목장은 문짝, 난간 등 소규모의 목공일을 맡아 하는 소목장과 구분한 데서 나온 명칭이며, 와장·드잡이·석장·미장이·단청장 등과 힘을 합하여 집의 완성까지 모두 책임집니다. 즉 현대의 건축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목조건축이 발달하여 궁궐과 사찰건물이 모두 목조였다. 따라서 목수에 주어진 벼슬 또한 상당하였습니다. 통일신라의 관직을 보면 목척(木尺)이 70인이라 하였는데, 그 가운데 상당수가 전문직으로서의 목수로 보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목업에 벼슬이 주어졌고 조선시대에는 60인의 목장을 선공감에 두었고, 세종(재위 1418∼1450) 때 서울 남대문 재건기록에 의하면 대목이 정5품이었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목수에게 벼슬을 주는 제도가 없어졌습니다. 오늘날에는 사찰이나 개인의 집을 목조로 짓는 것으로 기술의 명맥이 전수되어 오는 형편입니다.

대목장은 그 기법이 엄격히 전승되기 때문에 기문(技門)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기문은 기술로서 한 가문이 만들어지는 것인데, 기문에서의 대목장은 절대권위를 누립니다. 대목장은 능력에 따라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기도 하고 기능이 향상되기도 하며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다시보기 사이트 - http://www.kbsworldi.com/vshow.aspx?vshow=169&vid=11079&p=0

KBS 다큐멘터리
추석특집다큐 천년 문화재와 만나다 - 대목장 최기영

2010-09-22
/ Ep. Rating:
    
프리미엄 다큐
Year:2010
Cast:최기영
Summary:대목장 최기영의 삶을 통해 우리 전통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

KBS 1TV '천년 문화재와 만나다'(밤 11시 10분) 대목장 최기영의 삶을 통해 우리 전통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17세에 예산 수덕사 공사에 참여하며 대목에 투신한 최기영 대목장은 나무집을 짓는 데만 50년 세월을 바쳤다. 서울 봉원사, 경기 용문사 등이 그가 지휘해 고친 한옥 건축물이다.

백제문화단지 건축물 가운데 그가 아끼는 것은 5층 목탑. 바닥면적은 52.8㎡에 불과하지만 높이가 38m에 이른다. 12층 아파트와 맞먹는다. 소나무 28만1200여 재(才·1재는 약 0.00334㎥), 기와 3만1700여 장, 화강석 62㎥가 들어갔다. 국내 최초로 건립된 백제 목탑으로 세심하고 빼어난 건축기술 없이는 불가능했다. 특히 못을 쓰지 않고 목재와 목재만 얽어 처마의 하중을 떠받치는 ‘하앙식(下昻式) 공법’은 최 대목장이 발로 뛰어 그 시대 건축물을 연구한 끝에 밝혀낸 것으로 이번 백제문화단지 공사에서 처음 사용했다.

문화단지가 주목을 받는 것은 규모 때문만이 아니다. 백제가 부여를 도읍으로 삼았던 서기 600년대 한옥을 되살렸다는 의의가 더 크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건축물로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이나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모두 12∼13세기의 것. 국내에서는 백제 건축 양식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최 대목장과 충남도는 중국 뤄양, 일본 교토 등 백제와 활발하게 교류한 지역을 중심으로 20여 차례의 답사를 거쳐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백제 한옥 양식을 복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