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사판(理判事判), 선사판 후이판(先事判 後理判)이라는 고사성어와 단어의 뜻과 의미는?
목숨걸고 이판사판이다, 에라 이판사판이다, 궁지에 몰려 이판사판 합이 육판이다라는 말을 하고는 하는데, 책을 보다가 어떻게 유래된 단어인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명사]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지경.理(다스릴 이) 判(쪼갤 판) 事(일 사) 判(쪼갤 판) [사자성어]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말로,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지경(地境)을 뜻함네이버사전에 보니 위처럼 정의되어 있네요~유래를 찾아보니 고려시대에 불교의 폐해가 극에 치달았고, 조선시대를 맞이하면서 불교탄압의 숭유억불정책을 펼쳤는데, 이때 스님들이 대략적으로 두부류로 나누어 졌다고 합니다.사판승[事判僧:산림승, 살림승(山林僧)]은 절이 사라지는것을 막기 위해서 기름, 종이, 신발 등을 만들어서 절을 유지..
2013.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