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스페셜 - 개천에서 용찾기, 미래사회 신분상승 가능할까?
현재의 사회의 모습을 보면 참 우려스럽다. 사교육비, 조기교육비, 유학비가 천정부지인것은 물론이고, 거의 공교육, 의무교육처럼 변질되어간 대학교육조차도 등록금이 천만원을 넘어가기도 하면서 못가진 사람들은 공부를 하기 보다는, 알바나 휴학후에 등록금을 벌기도 하면서 어렵게 학업을 유지해간다. SBS 그것이 알고싶다 - 등록금, 입학금으로 대학생들의 잔인한 봄, 왜 돈에 좌절하는가? 세계 각국의 학자금 대출 이자 비교 SBS 스페셜 다큐 - 88만원 세대의 힘겨운 데뷔전 예전에는 가난하고,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사법고시에 응시해서 판검사가 되고, 박사가 되어서 개천에서 용이 나기도 하지만, 과연 앞으로의 세상에서도 이런 일이 가능할까? 방송 전반의 내용은 상당히 부정적이다. 이제는 변호사, 판검사가 되려면 ..
2011. 6. 6.
KBS 생방송 심야토론 - 다시 불붙은 소득세, 법인세 감세 논쟁
한나라당이 보궐선거에서 참패를 하고, 소득세, 법인세 감세를 폐지하고, 복지나 반값등록금 정책을 들고 나왔는데, 그러한 선상에서 소득세나 법인세 감세를 어떻게 할것인지에 대한 토론... KBS 경제세미나 - 새로운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의 미래, 장하준교수(캠브리지대 교수) 한나라당, 강남불패신화 왜 그럴까? SBS 시사토론 - 한국경제, 살 길은? [박경철의 눈]무엇을 위한 감세인가 뉴스추적 - 중산층, 자영업자 ‘비상구는 없나’ 이명박 MB정권이후에 종부세, 소득세, 법인세 감세 등으로 100조원의 세원이 줄었다. 물론 또 어디에선가 체워넣어야하는것이 당연한것인데, 토론자들의 이야기는 고소득자의 소득세 감세는 폐지에 의견일치를 보고 있지만, 법인세 문제를 가지고 팽팽한 의견 대립을 펼침... 법인세 인하..
2011. 6. 3.
SBS 그것이 알고 싶다 - 일본 원전 폭발 사고의 방사능, 프랑켄슈타인의 저주인가?
석탄, 석유의 고갈과 환경문제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이자, 밝은 미래로 보였던 원자력발전이... 체르노빌에 이어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로 인해서 그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일부 학자나 종교인들은 인간이 해서는 안될 판도라의 상자를 열었다고 하기도 하고, 원전 사태로 인해서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외에도 수많은 부작용을 나타나고 있다고... UAE 원자력발전소 수주에 대한 시각 한국도 원자력 발전소를 수출하고 있는 입장에서 잘 생각해보고, 고민해봐야할 문제인듯하다. 다만 이번 일본 방사능 노출은 인재라기보다는 천재에 속하지만, 체르노빌이나 스리마일섬은 모두 기술적이거나 사람의 실수로 인한 재앙이였다는데, 그만큼 다양한 사고의 종류의 유형이 발생할수 있고, 그로 인한 피해는 막대하다는것을 명심해야 할듯하..
2011. 5. 15.
SBS 시사토론 - 대기업 때리기 논란, 지속성장을 위한 대기업과 정부의 역활은?
오래간만에 시청한 토론 프로그램... 어제 시골의사 박경철씨의 트위터에서 이야기를 듣고 보았는데, 정말 짜증나서 못보겠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끝까지 참고 보았다....-_-;; 뭐 진보와 보수측에서 첨예하게 대립할수 있는 문제이기는 한데, 특히나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정규재라는 패널의 태도 때문에 보기 힘들었는데, 토론에 나온것이 아니라, 자신은 모든것을 다 알고 있고, 뭐라고 말만하면 그건 안되고, 잘못 알고 있는것이라고 이야기하며, 상대는 꿈을 꾸고 있는 사람들처럼 말하며, 가르치려고만 드는 모습이 참 깝깝하다... 라는 책에서 앨버트 허쉬먼은 보수주의의 수사학 보수주의의 세 가지 수사학 첫째는 ‘사회를 개선하려는 시도는 외려 반대의 결과를 내게 된다’는 논리다. 가령 ‘자유, 평등, 박애’를 내세웠던..
2011.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