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방송 /영화, 애니

도둑들 (Ladrones / Thieves)

by danbisw 2008. 8. 11.
반응형



소매치기 어머니가 잡혀가고 고아원에 갔다가 다시 소매치기의 길에 들어섰다가, 방황하며.. 결국에는 죽음으로 끝을 맺는 소년의 이야기...
얼마전에 우리나라영화 피터펜의 공식을 보고 느꼈던 느낌, 분위기, 감동이 그대로 느껴진다...
뭐냐 이건...-_-;;


사진 - SWITZERLAND FILM FESTIVAL LOCARNO 로카르노 영화제 수상

「도둑들」Ladrones
2007, 스페인
하이메 마르께스 올라레아가 Jaime Marques Olarreaga
 Juan Jose Ballesta Maria Ballesteros 주연



한 소년의 가슴 쓰라린 존재에 대한 성장 영화랄까. 그에겐 모든 것이 부재하다. 그 때문에 그가 그토록 소매치기에 집착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가 소매치기라는 행위를 하는 것은 오직 취미, 취향, 버릇같은 것으로만 묘사되기도 한다. 정말 그럴지도 모르지. 하지만 그는 최저임금 정도 밖에 받을 수 없는 보잘 것 없는 미용기술을 지닌 10대 청년이기도 하다. 영화는 그런 사회구조적인 풍경이나 심리를 그리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 어떤 장면들을 보면 소년의 감정에 충실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아 보인다.

그저 이 20대 가까운 소년이 자신을 버린 잊어버린 엄마를 찾는 행위, 그리고 그가 한 눈에 반한 여성을 쫓는 행위를 소매치기라는 행위와 중첩시켜 그려낸다. 마리아 발레스테로스라는 배우가 분한 소매치기 여자야말로 사실은 소매치기를 오직 취향으로만 하는 그런 소녀다. 번듯한 집에 살면서도 소매치기가 스릴감넘치고 재밌어서 그런지 소매치기 기술을 가르쳐주겠다는 말 하나로 계속 자신을 쫓는남자에게 매력을 느낀다. 소매치기 페티쉬인가?

둘이 같이 연행되었을때, 각자의 공간에서 따로 떨어져 느끼는 혼란, 경찰이 그들을 취조하면서 이용하는 게임이론은 괜찮게 묘사된 것 같다. 그냥 적절히 참조할 만 한듯.

흥미로운 영화이지만 중간중간에 삽입된 개연성들이 영화 전체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느낌이다. 최근들어 스페인에서 만들었다는 영화를 세 작품 정도 보았지만 전부 CF 또는 유로피안 롹의 뮤직비디오 스타일이 뒤범벅된 비슷한 분위기의 비슷한 스타일들의 영화들이다. 촬영과 편집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고, 컬러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뿌옇고 몽환적인 느낌의 색깔들이다.

이 영화의 인물들이 대체로 비현실적이고 개연성도 부족하기도 하지만, 소년이 자신의 엄마에게 느끼는 그리움과 애정, 분노의 감정들은 잘 묘사된 것 같다. 그러나 역시 이런 母의 부재에서 비롯된 소년의 감정으로 구성된 성장영화가 너무 많아서 그런지 식상하기도 하다. 또 소매치기 여자가 그에게 왜 그렇게 매력을 느끼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냥 껴맞춰서 넣은 느낌이랄까. 서브캐릭터의 부실함이 여실히 드러난다. 참 생각하면 할수록 이해안되는 캐릭터다. 그렇게 소모해도 되는거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