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폰·패드 보안에 결함";獨정부 "해킹·도청 취약" 공식 경고 안드로이드폰·윈도폰도 보안 취약
8월 6일자의 1면.. 그것도 헤드라인 기사로 아이폰, 패드의 보안에 결함이 있다는 기사입니다.
위의 뉴스를 보면 가장 보안해킹에 위험한것은 안드로이드라고 내용은 A4면의 말미에 조금 달려있는데,
누가 조선일보를 본다면 아이폰에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까요?
이것이 중요한 내용의 기사일수도 있지만,
특정 회사의 제품만을 지칭해서 1면 헤드라인 기사로 뽑을만한 기사인가요?
佛정부도 '아이폰 해킹' 경고
8월 7일자 1면하단에도 또 비슷한 내용의 아이폰 해킹 경고의 기사가 나왔습니다.
獨 정부, 공무원들에 블랙베리 사용 금지
오늘은 독일에서 블랙베리가 사용금지되었다는 기사가 일면에 실렸습니다.
관련 기사를 찾다보니 5월 20일자의 기사에는 스마트폰이 도청위험이 있다면서, 아이폰의 사진을 실어놓고, 통화 안할때도 주변 대화를 엿들을수 있다는 기사가 나갔더군요....
스마트폰 도청 위험" 청와대 지급 보류;최경환 지경부 장관 시연회서 확인… 통화 안할 때도 주변 대화 엿들어
하지만 위 기사는 날조된듯한 오보로, 지식경제부와 애플사측에서 기사수정과 정정보도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조선일보 '아이폰 도청' 오보 지경부 "아이폰 시연 안 해"
위의 기사까지 읽고보니, 이 기사들이 스마트폰의 보안의 위험을 걱정하는것인지,
특정 회사의 제품을 까대기를 하는것인지 의구심이 들더군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의 판매는 애플의 아이폰과 구글의 안드로이드폰이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폰은 다양한 기기가 출시되고 있지만, 대세는 삼성의 갤럭시S인듯 한데...
과연 제가 색안경을 쓰고, 조선일보를 보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조선일보의 기사와 의도가 그런 색깔을 가지고 있는걸까요?
반응형
ip2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조서닐보가 언론인가여? ㅋ 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위해서 국가와 국민도 적에게 파는자들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많은 국민들이 그들의 말을 믿고 있다는거.. 그래서 사기질이 통하고는 있지만 언제까지 갈지 암담합니다. 제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도 천황폐하만세일보를 신봉하고 있다는거. 가짜언론이 사라지지 않는한 대한민국은 영원한 삼류국가입니다. 명박이는 한국의 잡스를 키운다고 헛소리하지말고 조서닐보부터 잡아야합니다. 사기언론이 주류인 이시대에 잡스가 나오면 당장 능지처참당합니다. 어디서 삼성에 대항햇 !!!
Reply:
단비스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물론 틀리신 말씀은 아닌듯 합니다.
하지만 약간은 적의를 마음속에 품고,
겉으로는 그들의 잘못된 부분들을 과거가 아닌 현재에서,
감정적이 아닌,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접근을 하시는것이 좋지 않을까요?
너무 대놓고 반감을 표시한다면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거나 이해시키는데 문제가 있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pbt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스마트폰 보안 문제가 심각한 건 사실입니다. 8월 들어서면서 특히나 많은 보안 문제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얘기가 나왔는데요, 개인적으로 꼴통 보수 언론의 특정 기업 밀어주기라는 색안경을 끼고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iOS 뿐 아니라 안드로이드도 보안 문제가 심각한데 오히려 스마트폰 보안에 대한 얘기가 많이 나올 수록 안드로이드를 채택한 단말제조업체에게 좋지 않으니깐 그 제조업체들도 보안 문제를 들어 애플을 공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 있으니깐요. 물론 블랙베리 같은 경우는 정치적인 이슈가 복잡하게 엮여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 보안에 대해 좀 무감각한 우리 나라 사용자들에게 경고성 정보 제공 .. 이정도 수준에서 이해해주심이 어떨까 싶네요.
Reply:
단비스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물론 보안에 대해서는 문제가 심각할수도 있다는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입니다.
하지만 기사의 제목이 아닌, 기사내용을 보면, 분명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 등 모든 스마트폰에 문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헤드라인 제목으로는 악의적으로 아이폰에만 문제가 있는식으로 뽑아놓은것은 분명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싶고,
그런 제목을 딴 이유는 삼성 갤럭시S와의 밀월과 밀착이 하나의 원인이 아닐까 싶은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아무쪼록 좋은 의견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