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보관되어 있는 보물급 탑들

 
반응형


오래간만에 들려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된 보물2호 보신각종
용산 국립박물관 주변 맛집




염거화상탑,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 흥법사 진공대사 탑과 석관,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 현화사 석등...




염거화상 탑 - 강원 원주 흥법사 터 출토로 전함... 통일신라.. 국보 104호...
국보 104호를 이렇게 방치해도 되는건가??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에서 서울로 옮겨진 후에도 탑골공원 등 여러 곳에 옮겨졌다가 경복궁에 세워졌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탑은 아래위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소박한 조각이 멋스럽게 펼쳐져 있다. 밑돌에는 사자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가운데돌에는 움푹 새긴 안상(眼象)안에 향로를 새겨 두었다. 2단으로 마련된 윗돌은 아래단에는 연꽃을 두 줄로 돌려 우아함을 살리고 윗단에는 둥그스름한 안상(眼象) 안에 여러 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塔身)의 몸돌은 면마다 문짝모양, 4천왕상(四天王像)을 번갈아 가며 배치하였는데, 입체감을 잘 살려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당시의 목조건축양식을 특히 잘 따르고 있어서 경사면에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모양, 밑면의 서까래표현 등은 거의 실제 건물의 기와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탑을 옮기기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이후 대부분의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 경남 차원 봉림사 터... 통일신라.. 보물 352호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진경대사의 사리탑으로, 탑비와 함께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1919년 경복궁으로 옮긴 것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전형적인 8각 부도이지만 표면의 조각은 적은 편이어서 재료의 빛깔과 아울러 청초한 느낌을 준다. 8각의 바닥돌 위에 있는 기단(基壇)의 아래받침돌 또한 8각으로, 옆면에는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는데, 특히 무늬의 바닥선이 불꽃모양으로 솟아올라 시대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가운데받침돌은 북모양으로 중앙의 곳곳에 꽃송이를 새긴 후 이를 도드라진 띠장식으로 연결시켰다. 윗받침돌에는 연꽃 8송이를 조각하였다. 탑신(塔身)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고, 지붕돌은 높고 큰 편으로 처마는 수평을 이루고 있다. 낙수면은 8각의 굵직한 지붕선이 꼭대기에서 아래로 이르렀으나, 끝에 달려있던 꽃장식은 모두 부서졌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와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이 있는데, 한 돌로 조각하였다. 만들어진 때는 진경대사가 입적한 해인 신라 경명왕 7년(923)으로 추정되는데, 아래받침돌의 안상에서 이미 고려시대의 특색이 보이고 있다. 기단 가운데받침돌이 낮고 작은 것이나 탑신의 몸돌이 가늘고 긴 것에 비해, 지붕돌이 지나치게 커서 비례의 균형을 잃고 있다. 조각수법이 강하지 않고 전체 형태가 길쭉해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등 통일신라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양식으로 옮겨가는 과정이 곳곳에서 엿보인다.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 경기 양평 보리사 터.. 고려시대.. 보물 361호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인 대경대사의 탑비로, 보리사터에서 발견되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대경대사는 9세에 출가하여 교종을 배웠으나, 나중에는 선(禪)을 연구하였다.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경순왕의 스승이 되었으며, 고려 태조는 그를 존중하여 보리사의 주지로 머물게 하였다. 69세에 이 절에서 입적하니 태조는 시호를 ‘대경’, 탑 이름을 ‘현기’라고 내렸다. 비는 여의주를 물고 일어선 납작한 돌거북 받침과, 거대한 비머리돌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해 균형을 잃고 있다. 그러나 머릿돌에 새겨진 구름과 용의 무늬가 매우 힘차게 조각되어 눈여겨볼 만하다. 비문에는 대사의 생애·공적 등이 새겨져 있는데, 당시의 문장가였던 최언위가 글을 짓고, 이환추가 글씨를 썼으며, 대사의 제자인 최문윤이 글씨를 새겼다. 글씨에는 획의 모서리를 날카롭게 살린데서 오는 강인함이 묻어나는데, 고려 전기의 특징이 잘 담겨져 있는 부분이다. 비를 세운 시기는 고려 태조 22년(939)으로, 대사가 입적한 지 10년이 지난 후의 일이다






흥법사 진공대사 탑과 석관.. 강원 원주 흥법사 터.. 고려시대 보물 365호

흥법사 진공대사탑 부 석관
(興法寺 眞空大師塔 附 石棺)

Heungbeopsa Jingongdaesatap bu seokgwan

 - 지정번호 : 보물 제365호
-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국립중앙박물관)
- 소 유 지 : 국유
- 지 정 일 : 1963년 1월 21일
- 높 이 : 2.9m
- 재 질 : 화강암
- 시 대 : 고려시대

통일신라시대 말기로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약했던 고승 진공대사(眞空大師, 869~940)의 묘탑과 탑밑에서 발견된 돌로 만든 관(棺)이다. 이들은 본래 강원도 원주의 흥법사(興法寺)터에 있었으나 1931년 경복궁으로 옮겨왔고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에 전시되어 있다. 진공대사는 중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신라 신덕왕의 스승이 되었으며, 특히 고려 태조 왕건은 대사에게 극진한 존경을 표하여 대사가 입적(入寂)하였을 때 손수 진공대사의 비문(碑文)을 짓기도 하였다.

이 승탑은 팔각당형으로 널찍하고 네모난 사각형의 바닥돌(지대석, 地臺石) 위에 연화좌 모양의 기단부가 마련되어 있다. 기단부는 밑으로부터 밑받침(하대석, 下臺石), 중간받침(중대석, 中臺石), 윗받침(상대석, 上臺石) 순으로 짜여져 있다. 팔각의 밑받침 옆면에 꽃장식의 무늬곽(안상, 眼象)이 각 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윗면에는 연꽃잎이 덮여 있는데 모서리에는 아담한 귀꽃이 부착되고 연꽃잎은 모두 방향이 약간 옆으로 틀어져 있다. 그 위로는 낮은 고임턱을 돋우어 중간받침돌을 받았는데 이 돌은 온통 구름과 용무늬로 채워지고 그 위의 윗받침은 연꽃 받침형으로 조성되었다.

탑신부는 받침이 없이 밑에 고임 턱만 돌출되어 있다. 몸체의 앞뒷면에는 문틀과 자물쇠가 표현되고 각 면 모서리에는 꽃장식 기둥이 새겨졌는데, 이러한 꽃장식 기둥은 고려시대에 들어 이 승탑에서 처음 등장하고 있다. 지붕 밑에는 층단 받침이 나 있고 서까래와 부연이 새겨져 있으며, 지붕 위에는 기왓골과 우동마루가 뚜렷이 표현되고 처마 끝에도 막새가 표현되었다. 처마는 위로 들려 지붕 밑이 훤히 보이며 지붕 위의 경사면도 강한 탄력의 곡면을 이루며 경사져 있다. 또 처마 끝은 곡선을 그리며 추녀에서 귀솟음을 하였으며 여기에 큼직한 귀꽃이 부착되었다. 지붕 위에는 원래 상륜부를 장식하는 부재들이 있었으나 거의 없어지고 지금은 아담한 보개 하나만 얹혀 있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승탑에 비하여 기단부의 밑받침돌이 1단으로 줄어들고 중간받침의 구름과 용 장식은 고달사(高達寺)터의 승탑, 선림원지부도(禪林院址浮屠) 등 중부권 승탑의 조형기법을 계승하고 있다. 반면에 탑신부의 꽃장식 기둥과 지붕 밑의 층단 받침 등은 고려시대에 등장하는 새로운 기법이다. 또한 지붕의 기왓골과 서까래의 표현 등은 중부권 승탑에서는 보기 드문 표현방식으로, 남부지방의 통일신라시대 승탑에서 계승된 전통적 조형기법이 채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승탑은 고려시대에 들어 과거의 다채로운 기단구성 방식이 단순화되는 한편 새로운 장식기법을 등장시키는 특징이 교차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전체적인 조형기법은 매우 충실하고 특히 지붕의 형태에서는 당당한 기운이 감돌아 삼한을 통일한 고려왕조의 새로운 기량을 엿볼 수 있다. 더구나 이 승탑의 주인공인 진공대사(眞空大師)가 입적하였을 때 태조 왕건이 직접 비문을 짓고 중국 당(唐)나라 태종(太宗) 임금의 글씨체를 모아 비문을 새기게 하는 는 등 대사에 대한 예우가 각별하였으므로, 이 승탑을 세울 때에도 남다른 심혈을 기울였을 것이다.

한편 탑의 왼쪽에 따로 놓여 있는 돌함은, 대사가 입적한 후 시신을 땅 속에 임시 매장하였다가 뼈만 남게 되었을 때 뼈를 수습하여 정식으로 매장하기 위한 석관(石棺)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서 승탑과 석관이 동시에 발견된 예가 적어 매우 귀중한 문화재로 평가되고 있다. 뚜껑돌과 긴 상자 모양의 몸통으로 이루어진 이 석관은 거의 완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이 승탑과 석관이 제작된 시기는 《고려사》에 의하여 940년(고려 태조 23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 강원 원주 거돈사 터... 고려시대 보물 190호...

거돈사터에 남아 있던 고려 전기의 승려 원공국사의 사리탑으로, 일제시대에 일본사람의 집에 소장되고 있던 것을 1948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현재 탑은 바닥돌이 없이 바로 기단(基壇)이 시작되고 있다.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은 각 부분이 8각으로,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새긴 후, 그 안에 꽃 모양의 무늬를 두었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위에 테를 돌리고 안상 안에 8부신중(八部神衆)을 새겼다. 윗받침돌에는 활짝 핀 연꽃잎을 2중으로 돌려 새겼다. 8각을 이루고 있는 탑신(塔身)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여덟 곳의 기둥마다 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각 면에는 앞뒤 양면에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좌우 양 면에는 창문 모양을, 그리고 남은 네 면에는 4천왕입상(四天王立像)을 새겼다. 지붕돌 역시 8각으로 몸돌과 닿는 곳에 4단의 받침을 표현하고, 그 위에 서까래를 모방하여 새겼다. 처마는 얇고, 여덟 귀퉁이에는 치켜올림이 뚜렷하며, 낙수면에 새겨진 기와골 조각은 처마에 이르러 막새기와의 모양까지 표현해 놓아 목조 건축의 지붕 모습을 충실히 본떴다. 꼭대기에는 8각형의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가 얹혀 있다. 탑비의 건립은 ‘태평을축추칠월(太平乙丑秋七月)’로 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 현종 16년(1025)에 해당하므로 이 사리탑도 그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전기의 대표적인 8각 사리탑으로, 모양이 단정하고 아담한 통일신라 부도의 양식을 이어받아 조형의 비례가 좋고 중후한 품격을 풍기며, 전체에 흐르는 조각이 장엄하여 한층 화려하게 보인다




현화사 석등.. 경기 개성 현화사 터... 고려시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현화리 현화동이 원소재지이다. 높이는 4.2m이며 고려시대(현종 11년, 1020)에 제작되었다.
현화사지에는 7층석탑 · 현화사비 · 당간석주를 비롯하여 석교(石橋) · 석계(石階) · 초석(礎石) 등 지난날의 성황을 알리는 많은 석조 유물이 남아 있으며 이 석등도 이 사지(寺祉)에 있던 것을 일제 때 서울로 반출한 것이다.
평면 방형(方形)로서 일견(一見)하여 고려시대 석등의 특징을 볼 수 있으며 세부 수법에서도 당시의 특색이 여실하다. 하대석 측면에는 1면 3좌씩의 타원형에 가까운 안상(眼象)이 있고 상면에는 단엽 연화가 원좌(圓座)를 이루었다. 이 위의 간석(竿石)은 소위 고동형(鼓胴形)으로서 상하에 앙련(仰鍊8과 복련(覆鍊8이 있고 중간 마디는 구형(球形)에 가까운데 표면에는 화문(花紋)이 조각되었다. 상대석은 하대석과 같은 크기로 밑에 앙련을 조각하여 대칭을 이루었다. 화사석(火舍石)은 따로 만들지 않고 4개의 우주(隅柱)만을 세웠는데 상대석 위와 개석 밑에는 각각 주좌(柱座)와 받침이 연화(蓮花)로 조각되었고 각 우주는 간주(竿柱)를 약식화한 형식을 취하였다. 개석 밑에는 1단의 부연이 있고 낙수면의 경사는 급하다. 상륜에는 위에 복련이 조각된 얕은 노반(露盤), 앙련이 조각된 발형(鉢形)의 앙화(仰花), 구형의 보륜(寶輪), 귀꽃이 있는 육각 보개(寶蓋), 그리고 화염보주(火焰寶珠)가 차례로 얹혀 있다.
석재의 풍화가 심하나 아직은 완형(完形)을 유지하고 있으며 같은 시대의 타 예들에 비해 한층 높은 격조를 보이고 있다. 건립 연대는 현화사 창건과 동시인 1020년경으로 추정된다.




왜 절에 가있지 않고, 국립중앙박물과에 와있나 했는데, 절이 소실되고, 절터에서 발굴된 유물이라고...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된 보물2호 보신각종
용산 국립박물관 주변 맛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