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걸의 '열정적 고전 읽기'

 
반응형

‘진리는 인간을 구속하는가 자유롭게 하는가?. 예술 작품은 모두 인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가?,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경험은 인식의 유일한 원천인가?’. 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가?. 인문학은 인간을 예견 가능한 존재로 파악하는가?. 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인류가 한 가지 언어만을 말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말해 주는가?‘

 

이상의 질문들은 철학과 학부생의 리포트 제목이 아니다. 이것은 바로 프랑스 대학입학 자격시험인 ‘바칼로레아’에 등장했던 기출문제들이다.

 

‘바칼로레아’는 우리나라 입시교육이 소위 ‘맞는 답’에 주안을 둘 때, ‘좋은 질문’에 포커스를 맞추는 서구형 열린교육의 전형을 보여주는 제도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우리교육이 일방적으로 나쁜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에서도 바칼로레아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답을 제출하는 학생은 일부일 뿐, 다수의 학생들은 여전히 텍스트에서 얻은 지식을 복제하는데 열심이다. 또 주입식 교육을 받은 한국학생들은 수학과 과학의 기초에 강하지만 서구 학생들의 평균은 그렇지 못하다는 일각의 주장 역시도 무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바칼로레아의 사례에서 보듯, 열린 교육의 지향점이 장기적으로는 문제 해결능력을 키우고, 창의성을 배양 할 것이라는 점에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는 듯 한데, 이 책은 바로 그런 문제의식에서 나온 책이다.

 

그때문인지 이 책은 마치 이슬람 병사의 그것처럼 ‘통합교과형 논술-SAT- 심층면접을 위한 초강력 처방전’이라는 문구가 실린 붉은 띠지를 허리에 두르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바로 그 점이 이 책의 존재가치를 땅바닥에 떨어뜨리고 있다. 요즘 많은 책들이 기획출판되다 보니 생긴 불가피한 현상이겟지만, 그래도 이 경우는 ‘책 허리’에 두른 띠지가 ‘길로틴’의 칼날처럼 여겨진다.

 

그 이유를 설명하자면 먼저 이 책의 저자인 조중걸 교수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한다.

 

나는 독서를 하다보면 가끔 저자에게 ‘질투’ 내지는 ‘열패감’을 느낄 때가 있는데, 조 중걸의 책을 접할 때는 특히 더 그렇다. 저자는 서울대 사대 재학 중에 프랑스로 유학해서 파리 3대학에서 ‘서양 문화사’와 ‘서양 철학’을 공부하고, 예일대학에서 ‘서양 예술사’와 ‘수학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사, 예술사, 철학사를 두루 섭렵하고 피날레는 수학철학으로 마무리 지었다니 이쯤되면 솔직히 징그러운 이력인 셈이다. 그런 그가 이 책을 쓴 동기가 설마 ‘통합교과 논술 완전정복’을 위한 것 이었을까?.

 

물론 당연히 ‘네버!’다.

 

그가 이 책을 쓴 동기는 유학시절의 경험 때문이다. 저자가 프랑스에서 공부를 하던시절 같이 공부를 하던 동기들은 이미 바칼로레아에서 우수한 성적을 자랑하며 고등학교 시절 이미 ‘문,사,철’을 섭렵한 친구 들이었다. 다시말해 상대가 안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유학시절 내내 홀로 낯선 고전을 독해하기 위해 따로 독학을 해야했다. 대개의 사람들이 고생을 지나면 잊어버리지만, 그는 토론토 대학의 교수로 있으며 그때의 경험들, 고전 강독이나 독해에 대한 경험 부족이 만들었던 시행착오의 기억들을 잊지 않고 후학들에게 길잡이가 되기 위해 마음먹고 쓴 책이다.

 

그래서 이 책들은 철학, 사회, 예술, 역사, 과학분야에서 최고의 고전들을 읽고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문장을 골라 직역하고, 그것을 다시 철학자의 눈으로 해설하는 독특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라는 유명한 책은 ‘소유할 것인가, 존재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원문의 핵심 문장을 옮긴다음, 저자가 그것을 직역하고 다시 해설하는 절차를 거친 것이다. 또 앙리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라면 ‘지성과 본능 어떻게 다른가’라는 주제로 정리되어 진다.

 

그 결과 무려 철학 3, 예술 2, 사회 2, 역사 2, 과학 1권, 도합 10권의 책으로 묶여져 나온 것이 바로 이 책(시리즈)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그야말로 기가 질린다. 아무리 철학전공의 교수지만 이정도의 지적 반경은 가히 인간의 경지가 아니다. 그래서 이 책은 일부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인문사회에 특별한 관심이 있는 학생이 아니라면 고등학생용으로는 적절치 않지만, 대신 이 책은 ‘지적 기아’에 허덕이는 우리 일반인들에게 아주 뜨거운 탐구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책이다.

 

마지막으로 이 말릴 수 없는 초절정 지식인인 조중걸 교수가 최근에 익명으로 다른 저작물을 한 권 출판하였는데, 저자 스스로 익명으로 낸 이유가 있을 듯하여 굳이 여기서 책 이름을 ‘폭로’ 하는 만행을 저지르지는 않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이런 책을 읽는것만으로도 벅찬데, 이런 책을 쓰시는 분은 어떤 분인지 그저 궁금할뿐이다...-_-;;
진정한 제너럴리스트인듯 하면서도, 스페셜리스트의 능력까지를 겸비를 하신듯 한데, 그저 경외감만...-_-;;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