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니, 반시계니 하는 것은 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의미가 없어요.
천체의 자전의 경우는 북극을 중심으로 정합니다.
북극을 중심으로 보았을때 회전방향은 태양계의 행성들은 대개 반시계 방향입니다. 지구도 그렇구요, 예외는 금성과 천왕성이 있습니다.
공전방향은 지구와 태양계의 모든 천체가 반시계방향으로 돌아요
그래서 과학자들이 태양계의 천체들은 한꺼번에 동시에 생겼다고 추측하는 근거가 되지요.
태양의 연주운동 방향도 시계 반대방향입니다.
보통 배울 때는 우리가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고 전세계의 많은 나라-특히 유럽이나 미국 등-이 북반구에 있기 때문에 북반구를 기준으로 해서 북극방향을 위쪽으로 해서 볼 때라는 가정하에서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만약 호주나 남미같이 남반구에서 남극을 위쪽으로 해서 보면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죠.
북반구에서 북극을 위로 놓고 보면 태양의 자전 방향, 행성의 공전 방향, 행성의 자전 방향, 달의 공전 방향, 달의 자전 방향... 모두 반시계 방향입니다. 예외가 있는 것이 행성 중 금성과 천왕성은 자전방향이 시계 방향이 됩니다.
자전의 경우는 서쪽에서 동쪽이 움직여서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한다고 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구본은 밖에서 자전하는 방향으로 돌려보면 지구의 서쪽에 있는 부분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위에서 본다면 반시계 방향이면 서에서 동으로 갔다가 동에서 서로 갔다가 반복합니다. 원의 아래 부분은 서에서 동쪽으로, 원의 위부분은 동에서 서쪽으로 갑니다. 그래서 이경우 어떤 것을 서에서 동으로 봐야하는 것에서 혼란이 옵니다.
그래서 위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앞이나 옆쪽에서 볼 때 자전하는 경우 움직이는 방향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공전 경우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공전한다는 표현을 거의 쓰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순히 시계방향, 반시계방향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한다고 합니다. 일단 공전의 경우 방향이 천체상이기 때문에 동서 방향이 지구를 생각할 때와 반대로 바뀌게 됩니다. 이것도 굉장히 헷갈리기 쉬운 것입니다. 행성의 자전의 경우 옆에서 보는 기준이 있지만 공전의 경우는 옆에서 보는 것보다 위쪽에서 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반시계 방향의 원운동하면서 움직이는 것이 있지 동에서 서, 서에서 동 이런 표현은 쓰지 않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천체상에서 동서 방향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동서 방향이 관측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윗분이 그림을 잘 그려서 설명을 하셨는데 두번째 그림에서 동서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지구에서 태양을 바라볼때는 남쪽방향이 되기 때문에 오른쪽이 서쪽, 왼쪽이 동쪽이 됩니다.
정리하면 자전, 공전 등은 대부분 반시계방향으로 한다.(단 북반구에서 북쪽을 위로 기준할 때, 보충 설명하면 위에서 북극의 위쪽에서 아래로 내려볼 때) 자전의 경우는 눈에 보이는 표면 부분-앞쪽만 보이지 뒤쪽면은 보이지 않습니다-은 서에서 동쪽으로 자전한다. 공전의 경우는 동,서를 구분하지 않는다.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6&eid=XlTX7lVyk8Coki1wwAqbTkH6E0lq244R&qb=tN4gwNrA/CCw+MD8IL3DsOi55sfi&enc=euc-kr
얼마전에 보름달을 보면서 분명히 고등학교때 배우기는 배웠는데, 왜 달은 항상 한쪽면만 보이고, 다른 쪽은 보이지 않는지...
왜 달의 모양은 29일을 주기로 변하는지 한참을 생각해 보았다는...
뭐 결국에는 다시 책을 찾아보고 이해가 갔는데, 오늘 또 뜽금없이 생각난 지구의 자전과 공전의 방향은 뭘까라는 궁금증에 찾아봤다... 주위사람에게 물어보면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라는...
암튼 참 별게 다 궁금하다...^^
아래는 달에 대한 자료들...
http://cont3.edunet4u.net/~jangbokm/moonmove..htm
학습주제
달의 자전은 무엇이며 자전주기는 얼마인가?
달의 공전은 무엇이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달의 자전
달의 자전 : 달이 자전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도는 현상
|
학습내용 달은 스스로 27.3일에 한 바퀴씩 자전을 한다.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는 27.3일로 같다. 달이 한면만 보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달이 자전하지 않는다면 지구에서 어떻게 보일까요? |
달의 공전
달의 공전 :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일정한 궤도(왼쪽클릭)를 따라 도는 현상
서에서 동으로 하루에 13도씩 공전
달의 공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일까요?
(달이 공전하면 매일 달의 모양이 변하게 됩니다.(왼쪽클릭) 예를 들면 오늘은 초승달,
일주일 후는 반달모양, 15일후는 보름달 모양으로 변합니다.)
학습내용 항성월 : 달이 처음의 위치에서 지구 주위를 한바퀴 돌아서 정확하 삭망월(왼쪽클릭) : 달의 모양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이 되기까지의 공전주기이다. (AC) |
항성월은 27.3일이고 삭망월은 29.5일이다. 항성월과 삭망월은 2.2일 차이가 난다.
항성월과 삭망월이 2.2일이 차이가 나는 것을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에 지구도 태양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BC)
A의 보름달에서 한바퀴 돌아서 다시 보름달이 되려면 B를 지나서 C까지 공전해야 한다.
쉬어가기
공전하는 달의 방향은 서에서 동이다. (참조 )
달은 하루에 13도씩 서에서 동으로 공전(클릭)하기 때문에 매일 50분씩 늦게 뜬다.(클릭)
(위의 에니메이션도 참조)
하루 동안의 시간에 따른 달의 위치 변화는 어떨까요?(아래 그림 참조)
하루 동안 시간에 따른 달의 위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여 갑니다.
달을 동에서 서로 1시간에 15도씩 이동해 갑니다.
일주운동 : 천체들이 1시간에 15도씩 이동하여 매일 1바퀴 도는 현상
달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15도씩 이동해 가는 것은 지구의 자전 때문입니다.
아래의 왼쪽그림은 보름달의 일주운동을 나타낸 것인데 한 칸이 15도로
되어 있습니다. 90도는 5칸으로 되어 있는데 1시간에 1칸씩 움직입니다.
아래의 오른쪽 그림은 확대된 그림인데 1칸이 1시간씩 인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름달이 뜰 때 7시 30분이고 1시간후인 8시 30분에 한 칸을
이동하였습니다.
매일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관찰한 달의 위치와 모양은 어떻게 다를까요?
그림은 해진 직후(서쪽 지평선에 해가 내려간 직후, 저녁6시경)하늘에 보이는
달의 모양과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초승달은 해진 후 서쪽하늘에서 관찰할 수 있다.(서쪽에서 45도 정도 이내)
상현달은 해진 후 남쪽하늘에서 관찰할 수 있다.(서쪽에서 90도 부근)
보름달은 해가 서쪽으로 진 후 동쪽하늘에서 관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