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방송

KBS 스페셜 - 언론의 숨은 얼굴 기사 제목, 조중동의 악의적인 뉴스 제목 만들기

by danbisw 2008. 8. 17.
반응형

신문의 가사제목에 대한 비판 다큐... 정말 문제가 많은 신문의 선정적인 기사 제목들... 선정성과 객관성사이에서 고민은 하지만.. 그 유혹이 쉽지는 않을것이고.. 무엇보다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목적이 많은것이다.

같은 기사내용을 가지고 바라본 조선일보의 기사제목은 어이가 없었고.. 이를 고등학생들이 작성한 기사제목이 더욱 적절해보였다. 특히 조선일보의 제목은 거의 폭동이라고 표현을 하더구만...-_-;;

문제는 사람들이 이런 기사의 제목, 혹은 단어에 아주 큰 영향을 받는다는것이다.

대북지원이라면 긍정적으로 보다가도, 퍼주기라는 말에는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식으로...
암튼 KBS가 조선일보의 뒷통수를 한대 시원하게 때린듯한 방송이였다.

- 방송일시 : 2006년 12월 10일 (일) 저녁 8시, KBS 1TV

[기획의도]

언론의 고유기능은 객관적인 사실전달과 여론형성이다. 하지만 오늘날 언론은 기자,
신문사, 편집자 등의 관점을 강하게 주장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를 흔히 언론의 틀짓기(프레이밍)이라고 한다. 우리 언론의 심각한 폐해는 사실
전달 기사에서도 이 같은 프레이밍이 곧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것이 바로 기사 제목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사 제목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특정한 보도 용어를 중심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언론 보도의
공격적 편향성을 살펴보고, 수용자들의 보다 정확한 판단을 돕는다.

[주요내용]
▶ 제목 한마디가 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몰다.

▶ 언론의 프레이밍, 수용자는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 ‘서커스’ 용어로 주지사에 당선된 아놀드 슈워제네거

▶ 언론 제목의 영향, 얼마나 큰가?

프레임이란 세상을 보는 창이며, 누구나 프레이밍을 한다.
프레이밍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며,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토론과 합의를 유도해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공격적이고 감정적인 용어를 사용해 사회 이슈에 대해
찬반 양극단의 대립을 유도하는 방식은 왜곡된 여론 형성이라는
결과만 가져올 뿐이다.                                                      
                                                     
- 전문가 인터뷰 中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