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해먹어본 붕어찜 요리

 
반응형

저번에는 누가 잉어를 여러마리를 주어서 잘 해먹었는데, 잉어 요리
이번에는 동생네가 붕어찜을 가져와서 맛있게 먹음...
진작 사진을 못찍고, 먹다가 생각이 나서 찍었다는...-_-;;

붕어 (crusian carp)
개요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분류 : 잉어목 잉어과
생활방식 : 겨울 깊은 곳에서 활동이 둔해짐, 봄 얕은 곳에서 활동이 활발해짐
크기 : 몸길이 20∼43cm
체색 : 등쪽 황갈색, 배쪽 은백색에 황갈색
산란시기 : 4∼7월
서식장소 : 하천의 중류 이하의 흐름이 약한 수역, 호소 연안, 논 및 그 밖의 물풀이 많은 작은 물웅덩이
분포지역 : 한국(전역)·일본·타이완·중국·시베리아·유럽

내용
몸 길이 20∼43cm이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꼬리자루의 나비는 넓은 편이다. 머리는 짧고 눈은 작다. 콧구멍은 서로 맞붙어 있고 앞콧구멍은 작다. 주둥이는 짧으며 입은 작고 입술은 두껍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짧으며 편평한 후피습(後皮褶)이 앞콧구멍의 주위에 솟아올라 있다.
뒷지느러미는 짧고 등지느러미의 가시에는 톱니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의 기저(base:기관 또는 부속기관과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보다도 주둥이 끝의 가까운 곳에서 시작하며 그 기저보다 길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의 뒤끝 아래쪽에서 시작한다. 가슴지느러미는 대칭형이고 좌우의 배지느러미는 서로 붙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가운데가 오목하다.
비늘은 둥근비늘(원린)이나 머리에는 없다. 측선(옆줄)은 아래로 향하고 꼬리지느러미 기저에까지 이른다. 사는 곳에 따라 몸빛깔이 달라지는데, 등쪽이 황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에 황갈색을 띤다.
분포지가 광범위하고 지리적 또는 환경적으로 형태상 여러 가지 차이가 보이므로 종래에는 많은 종이 설정되어 있었다. 그 중에서 유럽산 붕어를 C. carassius, 아시아산 붕어를 C. auratus라고 각각 별종으로 구별하여 왔다. 그러나 C. auratus는 금붕어를 지칭했고 일본학자 중에는 외부·내부·형태·생태 등으로 나누어 몇 가지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형태적인 차이는 분명하지 않고 오히려 산지에 따라 종을 설정한 경향이 있으므로, 학명을 분류하지 않고 그대로 C. carassius로 다룬다.

【생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가장 큰 어류로 하천의 중류 이하의 흐름이 약한 수역, 호소 연안, 논 및 그 밖의 물풀이 많은 작은 물웅덩이에서도 잘 산다. 겨울에는 깊은 곳으로 파고 들며 활동이 둔해지고 봄에 수온이 오름에 따라서 얕은 곳으로 이동하며 활동이 점차 활발해진다. 산란기는 4∼7월이고 성기(盛期)는 5월이다. 산란에 알맞은 수온은 17∼20℃이다. 잡식성으로 작은 갑각류, 유충류, 작은 곤충과 유충 그 밖의 작은 동물, 식물의 종자 및 식물체의 연한 부분, 유기물 등을 먹는다.

【이용】 손쉽게 잡을 수 있는 곳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식용으로 이용하였다. 오늘날에도 한국사람들의 기호식품의 하나가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유어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담수어 자원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남획과 수질오염으로 그 수가 많이 줄고 있다. 한국(전역)·일본·타이완·중국·시베리아·유럽의 담수역에 널리 분포한다.

잉어 (carp)
개요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분류 : 잉어목 잉어과
크기 : 최대 몸길이 120cm
체색 : 누런빛을 띤 갈색, 등쪽은 짙고 배쪽은 연함
산란시기 : 5월 중순부터 수온이 18∼20℃ 사이
서식장소 : 큰 강이나 댐, 저수지 등 물살이 안 세고 바닥이 진흙인 곳
분포지역 : 전세계(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마다가스카르섬 제외)

내용
한 자어 리어(鯉魚)가 음이 변해 된 말이다. 인류가 양식한 어류 중에서 가장 오랜 물고기로, 기원전 약 500년경의 중국문헌 《양어경(養魚經)》에 양식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난호어목지》에 十자형 무늬[文理]가 있기 때문에 이(理)에서 리(里)를 취해 어(魚)와 덧붙여 리(鯉)자를 만든 것이라 하였고, 《재물보》에 니어(鯉魚)라 하였으며, 《전어지》에는 잉어의 형태·빛깔 등에 의한 종류 및 별칭을 기록하고 있다.
지방적·환경적·형태적으로 여러 가지 변이를 볼 수 있고, 또 기르고 있는 것에도 여러 품종이 있으므로, 분류학적으로도 많은 아종(亞種)·품종 또는 형으로 나뉜다. 한국에는 이식하여 양식된 종과 재래종이 있는데, 한국산의 형태 및 생태는 다음과 같다.
몸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최대 120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몸은 크고 긴 원통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원뿔 모양이며 눈은 작고 머리의 옆면 중앙보다 앞쪽에 있다. 주둥이는 둥글고 입은 주둥이의 밑에 있으며 수평에 가깝다. 입둘레에는 2쌍의 수염이 있고 인두치는 3줄, 내열의 이빨은 잘 발달되어 있다. 비늘은 크고 둥글다. 측선(옆줄)은 뚜렷하고 배쪽으로 약간 휘어 있다. 몸은 누런빛을 띤 갈색으로 등쪽은 짙고 배쪽은 연한 색이며 옆구리의 바탕색은 갈색이다.
큰 강이나 댐, 저수지 등 물살이 안 세고 바닥이 진흙인 곳에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흙 속의 작은 동물이나 식물질 먹이를 먹는다. 봄에 수온이 15℃가 되면 식욕이 증진하고 25∼27℃ 전후에서 가장 왕성해진다. 산란은 5월 중순부터 수온이 15℃로 올라가면서 시작되며 가장 성기는 수온이 18∼20℃ 사이이다. 아침 일찍부터 오전 중에 물가의 잡초가 우거진 곳에 모여 암수가 물 위로 날뛰며 몸을 비비대면서 산란 방정(放精)한다. 잉어는 빛깔에 따라서도 뚜렷한 변이를 나타낸다.
일본에서는 관상용으로 품종육성에 성공하여 흑·적·황·백색 등의 다양한 빛깔의 비단잉어를 개발하였으며 금잉어·적백잉어·오색잉어·삼색잉어 및 기타 여러 가지 다른 종류가 있다. 양식을 하고 있는 지방에서는 잉어와 붕어 사이의 잡종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양 종의 중간성을 띠고 있다. 한국에서 잉어의 이용은 일반 가정에서 자양식품 또는 반약용식(半藥用食)으로 귀중히 여기고 있다.
어법(漁法)은 일반적 낚시 외에 한강의 얼음낚시, 낙동강의 두 배를 쓰는 소형의 두릿그물 등이 있다. 원산지는 유라시아로 온대성 담수어이다. 한국 전역에 분포하며, 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마다가스카르섬을 제외한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전승·민속·상징】 효자가 하늘의 도움으로 겨울에 잉어를 구하여 병든 어머니를 공양했다 하여 유교 덕목의 효와 부합되어 《오륜행실도》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용왕의 아들인 잉어를 구해 주고 보은을 받았다는 신이담(神異譚)이 전해오고 있다. 일부 문중에서는 잉어를 먹지 않는다. 파평 윤씨는 꿈에 잉어를 살려주고 축복과 출세의 길이 열렸다고 하였으며, 평산 신씨는 잉어의 뱃속에서 신립(申砬) 장군의 금(金)동곳을 발견하고 조상의 살을 먹은 고기라 하여 꺼린다고 한다. 잉어 꿈은 수태를 알리는 길몽이라 하였다. 잉어를 용종(龍種)으로 보고 입신출세를 상징한다. 잉어가 황하 상류의 룽먼[龍門]의 거센 물길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중국의 등룡문(登龍門) 고사가 우리에게도 그대로 이식되고 있다.

출처 - http://ask.nate.com/qna/view.html?n=8282319


살이 꽤 부드럽다... 다만 가시가 너무 많다는...




내장과 꽉찬 알까지... 동태 내장이나 알을 먹는것과는 색다른 맛이라는...



좀 번거롭더라도 먼저 가시를 잘 발라놓고 먹으면 훨씬 괜찮은듯...

아름다운 장미에 가시가 있는것처럼 맛있는 붕어에도 가시가 많구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