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의 비담

 
반응형
선덕여왕을 보다가 실제로 어떤 인물인지가 궁금해서 찾아봄...
드라마에서는 오해로 난을 일으키고 죽임을 당하게 될지... 어쩔지...
이제 선덕여왕 종방도 얼마안남았구만...




신라 중고기에 귀족 비담 등이 일으킨 반란. 647년(선덕여왕 16) 1월 상대등(上大等) 비담이 염종(廉宗) 등과 더불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김유신전(金庾信傳)에 특히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비담은 출신을 잘 알 수 없으나 상대등에 오른 것이 645년(선덕여왕 14) 11월이므로 약 1년 남짓 지난 뒤에 난을 일으킨 것이다. 반란의 명분은 다른 이유가 더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여자 임금(선덕여왕)이 나라를 잘 다스리지 못하므로 이를 폐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당 태종(太宗)의 말에서 발단이 된 것이었다.

즉, 643년 9월 신라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와 백제를 물리칠 구원병을 청하자 당 태종이 세 가지 대책을 제시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부인이 임금이 되어 이웃 나라가 업신여기고 쳐들어와 한 해도 편할 때가 없으니 여왕 혼자 다스리게 하지 않아야 한다.”라는 내용이었다. 비담은 이것을 명분으로 내세워 선덕여왕을 몰아내려고 했던 것 같다.

귀족회의 의장인 상대등이 일으킨 반란이었으므로 규모가 컸고 사태가 매우 위급하였다. 왕은 반란 소식을 듣고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김춘추(金春秋)·김유신(金庾信)과 함께 월성(月城)에 본영을 설치하고 진압 작전에 나섰다. 이 때 반란군은 명활성(明活城)에 본부를 두고 10일간이나 서로 공수(攻守)했는데 결판이 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한밤중에 큰 별이 월성에 떨어졌다. 비담이 반란군에게 말하기를, “별이 떨어지는 곳에 반드시 피를 흘린다 했으니 이것은 여왕이 패할 징조이다.”라고 해 반란군의 사기가 오르게 되었다.

이에 김유신은 왕을 안심시키고 군사들의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연(鳶)을 만들어 불빛을 안겨 공중으로 날려보내고, 이튿날 아침에 “어젯밤 떨어졌던 별이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라고 선전하였다. 또한 백마를 잡아 제를 지낸 뒤 장졸을 독려해 반란군을 공격하였다.

마침내 비담 등이 패해 달아나는 것을 추격해 진압하고 주모자의 구족(九族)을 멸하였다. 이로써 왕권을 견제하려던 귀족 세력은 후퇴하고 김춘추·김유신 등 율령 국가를 지향하는 세력이 승리해 장차 무열왕계의 전제 왕조가 성립되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참고문헌≫ 三國遺事
≪참고문헌≫ 上大等考(李基白, 歷史學報 19, 1962 ; 新羅政治社會史硏究, 日潮閣, 1974)
≪참고문헌≫ 武烈王權의 成立과 活動(申瀅植, 韓國史論叢 2, 1977)
≪참고문헌≫ 毗曇·廉宗亂의 原因考(丁仲煥, 東亞論叢 14, 東亞大學校, 1977)
≪참고문헌≫ 비담의 난과 선덕왕대 정치운영(朱甫暾,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논총, 一潮閣, 1994)
≪참고문헌≫ 신라 선덕왕대의 정국동향과 비담의 난(鄭容淑,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논총, 一潮閣, 1994)
≪참고문헌≫ 비담의 난의 성격문제(高慶錫, 한국고대사논총 7, 1995)
≪참고문헌≫ 新羅政治體制の變遷過程(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비담(毗曇, ?~647년) 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며,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했고 반란을 일으킨 역신(逆臣)이다. 삼국사기 선덕여왕조, 김유신 열전에 등장한다.


생애
출생 연도, 부모 등 출생에 대한 사항 및 업적 등에 대해서는 남은 기록이 전혀 없다. 하지만 선덕여왕 재위 말기 화백회의의 수장좌이자 신라의 최고 벼슬인 상대등에 오른 것으로 보아, 골품은 진골이며 성은 김씨일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산작가의 작품 [삼한지]에서 진평왕의 동생 백반의 아들로 나와있다.


상대등
신라 제 27대 국왕인 선덕여왕(善德女王)의 재위 말기인 645년에 화백회의의 수장인 상대등이 되었다. 선덕여왕 16년인 647년 정월, 비담은 염종 등과 함께 “여자 군주는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女主不能善理)는 기치 하에 반란을 일으켰다.


비담의 난
비담은 월성(月城)을 먼저 장악한 김유신에 밀려 명활산성에 진을 치고 대치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비담의 반란은 10여 일 만에 진압당했으며, 그의 9족은 전멸당했다. 삼국사기 진덕여왕조에 따르면, 이에 연루되 죽은 자가 30명이었다.
그러나 비담의 난이 진행되는 도중인 정월 8일, 선덕여왕은 승하하였고,[1] 이어 진덕여왕(眞德女王)이 신라의 제28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일화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은 비담의 난과 관련된 일화가 실려 있다. 비담은 명활산성에 진을 치고 김유신이 이끄는 관군은 월성에 진을 쳤다. 어느 날 밤 큰 별이 월성에 떨어졌다. 이에 비담이 부하들에게 "이는 틀림없이 여주(女主, 여왕을 낮추어 부른 말)가 패할 징조이다."라고 말하자, 반란군의 사기는 하늘을 찌를 듯 했다.

이에 선덕여왕은 김유신을 불러 대책을 논의하였다. 김유신은 왕을 안심시킨 후 허수아비에 불을 붙인 후 연을 띄워 하늘로 올려보냈다. 그리고는 "어제 밤에 떨어진 별이 다시 올라갔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에 관군은 기세를 얻어 반란군을 물리쳤다.


드라마에 나온 비담
드라마 선덕여왕 : 김남길이 비담 역을 연기하고 있다. 드라마 상에서는 진지왕과 미실의 사생아로 등장한다.
1992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삼국기에서는 최병학이 비담 역을 연기하였다.


비대전군(比臺殿君)은 위화랑의 딸 옥진궁주와 법흥왕 과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미진부공 의 친동생인 실보낭주(實宝娘主)와 맺어져 제 9대 풍월주 비보랑 (秘宝郞)을 낳았다.
법흥왕 재위 시절, 법흥왕은 후궁인 옥진궁주 (玉珍)가 낳은 왕자 비대전군으로 하여금 왕위를 잇게 하려 하였다. 이에 지소는 위화랑, 자매 삼엽공주 , 아시공 등과 함께 이를 반대하여 성사되지 못하였다.




출처 - 위키백과사전 & 네이트백과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