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iN

자전거 운동 요령 & 주의점

by 단비스 2009. 5. 18.
반응형

자전거 열풍이 불고 있다. 정부도 자전거 타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자전거는 에너지 낭비를 막고 환경을 보호하는 교통수단으로 인기가 높다. 무엇보다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좋은 운동 수단이라는 점이 자전거의 최대 매력이다. 그러나 자전거 탈 때는 준비운동을 철저히 하고 자신에게 맞는 자전거를 타야 부상을 막을 수 있다.
자전거 타기는 앉아서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하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하체 관절에 이상이 있거나 뼈엉성증 환자, 여성, 노약자에게 특히 좋다. 또 비만인 사람은 달리거나 걸을 때 무릎과 발목에 하중이 실려 관절 손상의 위험이 있는데 자전거는 그런 위험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자전거를 타는 동안 산소 소비량이 늘어나 심폐기능이 향상되고 신체 내 원활한 산소 공급으로 모세혈관이 굵어져 고혈압 예방 효과도 있다.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칼로리 소모 효과는 크기 때문에 건강하고 날씬한 체형을 만드는 데도 좋다.

흔히 자전거는 하반신 운동만 될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온몸의 근육을 쓰는 운동이다. 페달을 밟는 것은 다리지만 다리의 힘이 고스란히 페달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팔, 등, 배 근육이
동시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반신에서는 허벅지 앞쪽의 대퇴사두근과 뒤쪽의 슬굴곡근, 엉덩이근육과 종아리의 하퇴삼두근이 주로 쓰인다. 팔의 이두근과 삼두근은 핸들을 단단히 잡는 역할을 한다. 배의 복근은 다리가 페달을 밀어낼 때 몸이 휘청거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고, 오르막길에서 핸들을 바싹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등의 활배근이 쓰인다. 가속을 위해 몸을 일으킬 때는 척추기립근이 없어서는 안 된다. 한마디로 온몸의 근육을 단련시키는 데 좋다.

 

우리가 자전거 출근을 포기하는 진짜 이유!
내 인생에 날개를 달다 - 자전거 출퇴근 입문기
SBS 스페셜 - 행복은 자전거를 타고 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