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을 줍고나서 찾아본 방패연 날리는 법

 
반응형

한강에 자전거를 타고 나갔다가 강가에 떨어져있는 방패연...

누군가 연날리기를 하다가 줄이 끊어져서 떨어져있는것 같은데,
상태가 꽤 좋고, 오래간만에 연을 날려보고 싶다라는 생각에 챙겨왔다는...

근데 하도 오래간만이라서 어떻게 날려야 할지...




[연날리기]

<목 표>
연날리기에 적합한 여건과 기본기술 그리고 놀이방법을 자세히 배워 야외의 넓은 자연공간에서 맑은 공기를 마시며 마음껏 뛰놀면서 심신을 단련하게 한다 또한 타인과 어우러져 다양한 연날리기 기법을 익히고 겨루면서 지혜를 얻고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① 연날리기에 가장 적합한 풍속은 초속 5m정도이다.

② 연체의 구조에 있어서는 살이 제자리에 붙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납짝연이 아닌지도 조사해 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연을 바닥에 놓았을 때, 방구멍 중앙 부분(4개의 살이 만나는 부분)의 높이(경상도 지방에서는 '고'라고 한다)는 지면에서 2-3cm가 되어야 한다. 이것은 연이 납짝해서는 안되고 곱사연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③ 만일 바람이 강하게 불어 연을 날리기가 곤란할 때에는 고를 더 높여 굽은 정도가 더 큰 곱사연이 되도록 해야 한다. 곱사연은 납짝연보다 연체에 닿는 바람이 적고 바람을 많이 흘려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방법은 머릿줄을 윗귀에 한번 더 감아 머리살을 더 휘게 하면 된다.

④ 정확하게 매어진 목줄은, 연체에 맨 목줄이 모여진 부분의 매듭을 눕혀보면, 정확하게 양귀에 닿거나 아랫줄 구멍에 닿아야 한다. 또 연체와 45°의 각이 되어야 한다.

⑤ 연을 날릴 때의 자세는 연과 날리는 사람의 앞가슴이 늘 직선으로 맞보고 있어야 한다.

⑥ 연실도 직선에 가깝도록 팽팽하게 되어야 날리는 사람이 연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가 있다.


<연날리기 기본기술>

- 연날리기의 기본 기술을 알아야 상대방의 연에 접근해서 연실을 얼키게 하기도 하고 감겨 있는 연실을 풀어 내기도 하며, 따라 오는 상대방의 연을 피해 도망갈 수도 있다.

① 통줄 주기
- 연날리기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이 '통줄 주기'이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실을 감다가 갑자기 풀어 주는 것을 '통줄 준다'라고 한다. 연의 머리가 위로 향하고 있을 때 연실을 감다가 통줄을 주면 연의 머리가 조, 우, 거꾸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 이 때를 이용하여 모든 연의 묘기와 곡예가 이루어진다.

② 얼레질
- 억레질이란 연실을 때에 맞춰 빠르게 또는 천천히 풀어주거나 감아들이는 기술을 말한다.

③ 튀김질
- 튀김이란 얼레를 이용하여 연을 고정하는 기술을 말한다. 얼레를 잡고 있는 팔꿈치로 옆구리를 탁 쳐서 연을 상, 하, 좌, 우로 움직이고 급회전 등의 기술을 부릴 때 필요하다.

④ 높이 올릴 때
- 위로 서 있는 연을 높이 올리려고 할 때는 실을 감아 주거나 튀김질을 하면 된다.

⑤ 거꾸로 서게 할 때
- 위로 서 있는 연을 거꾸로 서게 할 때에는 연줄을 감다가 통줄을 주면 된다. 통줄을 주면 연의 머리가 좌, 우, 거꾸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 연의 머리가 거꾸로 될 때 연실을 감으면 연은 아래로 곤두박질 친다.

⑥ 거꾸로된 연을 위로 서게 할 때
- 거꾸로 내려가는 연에 실을 감다가 사르르 풀어주면 연 머리가 위를 향하게 된다. 이 때, 줄을 감으면 위로 올라간다.

⑦ 왼쪽으로 가고자 할 때
- 위로 서 있는 연에 실을 갇다가 통줄을 주면 연의 머리가 좌, 우, 거꾸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 연의 머리가 왼쪽으로 기울 때에 실을 감아주면 연은 왼쪽으로 간다.

⑧ 오른쪽으로 가고자 할 때
- 위로 서 있는 연에 실을 감다가 통줄을 주면 방향을 바꾼다. 연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기울 때에 실을 감아주면 연은 오른쪽으로 가게 된다.

⑨ 왼쪽으로 가는 연을 오른쪽으로 가게 할 때
- 왼쪽으로 가는 연에 실을 감다가 통줄을 주면 머리를 상, 하, 오른쪽으로 돌리게 된다. 연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돌 때 연실을 감으면 오른쪽으로 간다. 연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되어 있을 때 왼쪽으로 가게 하는 법도 이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⑩ 곡예
- 연실을 급히 감다가 왼손을 놓고 얼레를 잡고 있는 오른손을 앞을 향해 뻗으면(통줄을 주면), 연은 물구나무 서듯 거꾸로 서서 지상을 향해 곤두박질쳐 내려 오는데 이 때 간헐적으르 감았다, 풀었다하면 연이 마치 절을 하듯 꾸벅거리는데 이것을 '절 시킨다'고 한다. 또는 떠 있는 연이 내려 오도록 줄을 풀어 주면 연체가 바람을 적게 받기 때문에 좌, 우로 기운다.

⑪ 병 잡기
- 연체의 구조가 잘못 제작되어 연이 바르게 뜨지 못할 때 잘못 된 것을 바로 잡는 것을 병 잡는다고 한다.
㉠ 연이 한쪽으로만 갈때 병 잡는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방법은 연이 돌아가는 방향의 반대쪽의 귓살 윗 부분을 뒤쪽으로 휘어 준다.
둘째는 돌아가는 방향에 있는 귓줄을 약간 늘여 주는 방법도 있다.
㉡ 연이 빙글빙글 돌 때에는 도는 쪽 반대쪽 귓살을 많이 휘어준다.


<연놀이의 종류와 방 법>

①높이 띄우기
- 연을 얼마만큼 멀리 높이 띄을 수 있는 가를 겨루는 놀이로, 연을 500m이상 띄우면 연의 무늬가 보이지 않고, 연을약 1km가량 높이 띄우면 눈에 보일락 말락하고 그 이상이 넘으면 보이지 않는다. 연은 높이 올라갈수록 바람을 세차게 받기 때문에 연이 파손되거나 연실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② 재주부리기
- 글자 뜻 그대로 연의 재주를 보이는 놀이다. 날리는 사람의 손놀림에 따라서 연은 왼쪽, 오른쪽으로 또는 급전(急轉), 급강하(急降下), 급상승(急上昇) 등 다양한 궁중곡예(空中曲藝)를 부린다. 이는 연날리는 솜씨에도 달려있지만 그 보다도 우리 나라 연만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 특징이 다양한 기동성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③ 끊어먹기(연싸움)
- 대표적인 연놀이로 2개 혹은 그 이상의 연이 서로 교차하여 서로 연실을 비벼서 끊어먹기를 겨룬다. 끊어먹기 연놀이에서는 연실의 질기고 약함이 다소 승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조건들이 갖춰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첫째, 정확한 구조로 연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연실에 사기를 고르게 먹여야 한다. 세째, 연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끊어먹기의 요령은 다음과 같다.

* 바람의 흐름을 최대한으로 이용한다.
* 연과 얼레의 각도는 항상 45°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상대편의 연이 바람을 잘 타고 떠 있을 때는 될 수 있는 한 상대편의 연에 접근하지 않는다.
* 상대편의 연이 접근하여 공격할 때는 바람의 흐름을 잘 파악하여 이편의 연을 재빨리 상대편의 연실에 거는 것이 유리하다.
* 이 때 상대편 연이 머리를 돌려서 물러갈 때 거는 것은 이편에게 불리하다.
* 연이 서로 얽혀서 약500m이상 풀어 주었다고 생각되면 될 수 있는 한 연실이 땅에 닿지 않도록 조금씩 풀어서 조종한다.

연줄 끊어먹기 놀이에서 우리 조상의 아름다운 마음씨를 엿볼 수 있다. 이긴 쪽이 진 쪽을 위해 한 턱 내는 것이 그것이다, 진 편의 연이 이긴 편을 위하여 먼 하늘로 길보를 전하러 갔다고 여겨 진편에게 한 턱 내는 아름다운 미덕의 풍습인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이와 반대되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그것은 진 편에서 이긴 편을 위해 한 턱 낸다는 것인데 이는 진 편(연줄이 끊어져 날아간 연)은 이긴 편(끊은 연)이 자기를 위해 연을 끊어 주어 자기의 액땜을 대신 해 주었다고 해서 한 턱 낸다고 한다. 여하튼 우리 조상은 옛부터 모든 것을 양보하고 남을 생각하며 빼앗고 침범하기 보다는 남을 대접하고 도와 주기를 좋아하는 미덕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연은 연의 형태와 문양에 따라 분류되어 그 종류가 100 여종에 이르고 있다, 형태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전통연의 99%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사각 장방형의 '방패연'과 어린이들이 주로 많이 날리는 꼬리 달린 '가오리연' 그리고 사람, 동물 등 제작자의 창의성에 의해 입체감있게 만든 '창작연' 등 3종류로 큰게 나뉜다. 문양에 따른 분류는 방패연에만 해당되는데 방패연 바탕에 그린 무늬와 색깔에 따라 8종류로 나뉘어 진다.


방패연
방패연은 사각 장방형이고 연 중앙에 방구멍이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구멍은 센바람을 흡수하여 연을 잘 뜨게하며 조종을 자유롭게 한다. 방패연은 몸 전체에 여러가지 무늬, 그림, 글씨나 색지를 붙인 문양(원, 반원, 사각형 등)과 문양의 색(빨강, 파랑, 노랑, 흰색, 검정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8종류로 분류된다.

① 꼭지연
꼭지란 연의 머리 가운데에 원형으로 색지를 붙이거나 색을 칠한 것을 일켣고, 연의 바탕이 모두 흰색일 때 오려붙인 꼭지색에 따라 연의 명칭이 징해진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꼭지연이라 하지 않고 '달연'이라 부른다.
0 먹꼭지연 : 연의 머리 중앙에 검은 색지를 등글게 오려 붙인 연
0 철꼭지연 : 연의 머리 중앙에 푸른 색지를 둥글게 오려 붙인 연
0 쪽꼭지연 : 연의 머리 중앙에 두가지 색지를 오려 둥글게 두쪽을 모아서 붙인 연
0 별꼭지연 : 연의 머리 중앙에 색지를 별 형태로 오려 붙인 연

② 반달연
반달이란 연의 머리 중앙에 반달 모양의 색지를 오려 붙인 것을 일컫고 연의 바탕이 전부 흰색일 때 오려붙인 색에 따라 명칭이 정해진다.
0 먹반달연 : 연의 머리 중앙에 검은 색지를 반달형으로 오려 붙인 연
0 홍반달연 : 연의 머리 중앙에 붉은 색지를 반달형으로 오려 붙인 연
0 임반달연 : 연의 머리에 긴 반달 형태로 오려 붙인 연
0 쪽반달연 : 연의 머리 중앙에 두 가지 색지를 반달형으로 오려 두 쪽을 모아 반달형이 되도록 붙인 연

③ 치마연
치마란 연의 상부는 희고 하부는 색칠을 하여, 마치 여자 치마 저고리의 색치마 처럼 상부와 하부의 색이 다른 데서 나온 명칭으로 하부의 색에 따라 명칭이 정해진다.
0 먹치마연 : 연의 상부는 희고 하부는 검은 색으록 칠한 연
0 청치마연 : 연의 상부는 희고 하부는 푸른 색으로 칠한 연
0 이동치마연 : 연의 상부는 희고 하부는 세로로 2등분하여 2가지 색으로 칠한 연
0 삼동치마연 : 연의 상부는 희고 하부는 세로로 3등분하여 3가지 색으로 칠한 연
0 사동치마연 : 연의 상부든 희고 하부는 세로로 4등분하여 4가지 색으로 칠한 연

④ 동이연
동이란 연의 머리나 허리에 가로로 띠를 두른 것으로, 연의 바탕이 백색일 때 동이의 모양과 빛깔의 위치에 따라 명칭이 정해진다.
0 먹머리동이연 : 연의 머리에 가로로 검은 색을 칠하거나 색지로 띠를 두른 연
0 홍머리동이연 : 연의 머리에 가로로 붉은 색을 칠하저나 색지로 띠를 두른 연
0 반머리동이연 : 연의 머리 좌우 한쪽만 색을 칠하거나 색지로 띠를 두른 연
0 실머리동이연 : 연의 머리를 보통 머리동이의 절반으로 가늘게 색을 칠하거나 색지로 띠를 두른 연
0 눈깔머리동이연 : 연의 머리 양쪽에 동그란 흰 점이 하나씩 있는 형태로 색을 칠하거나 색지로 띠를 두른 연
0 허리동이연 : 연의 허리 좌우에 띠를 두는 연으로 색을 칠하거나 색지로 띠를 두른 연
0 눈깔허리동이연 : 허리동이연의 검은 띠 좌우 속에 동그란 흰 점이 하나씩 있는연

⑤ 초연
'초'란 연의 꼭지 외에 전체를 한 가지 색으로 칠한 것을 말하며
0 먹초연 : 연의 꼭지 외에 전체를 검은 색으로 칠한 연
0 청초연 : 연의 꼭지 외에 전체를 푸른 색으로 칠한 연
0 보라초연 : 연의 꼭지 외에 전체를 보라색으론 칠한 연

⑥ 박이연
'박이'란 연의 전체나 부분에 동그란 돈점이나 눈깔, 긴 코 같은 모양을 박은 연으로 그 박은 모양에 따라 명칭이 정해진다.
0 돈점박이연 : 검은 바탕의 연에 동그란 돈 모양과 같은 흰 점이 군데 군데 박혀있는 연
0 귀머리장군 긴코박이연 : 연 귀머리에 삼각형모양으로 색칠을 하거나 색지를 붙인 것을 귀머리장군연이라 하며, 긴 코 모양의 붉은 꼭지를 박은 연
0 눈깔 귀머리장군연 : 귀머리장군연의 삼각형 속에 크고 작은 흰 점이 박혀 있는 연
0 눈깔 귀머리장군 긴코박이연 : 눈깔 귀머리장군연에다 긴코 모양의 붉은 꼭지를 박은 연

⑦ 발연
'발'이란 맨 아래나 좌우 가장자리에 발 모양의 종이를 붙인 연으로 그 발의 모양과 숫자에 의해서 명칭이 정해진다.
0 사족발연 : 연의 맨 아래에 4가닥의 기다란 색지나 흰 종이를 오려서 붙인 연
0 국수발연 : 연의 맨 아래에 국수같이 가늘고 기다랗게 여러 가닥의 흰 종이를 오려서 늘여 붙인 연
0 지네발연 : 연의 좌우 가장자리에 색지를 붙이거나 빛깔을 칠한 종이를 지네발 모양으로 오려서 촘촘히 붙인 연

⑧ 기타연
기타 연은 앞에서 열거한 일정한 계통을 가진 종류의 연 외에 전국적이거나 각 지방마다 독특하게 전승되어 내려오는 모양을 가진 연을 말한다.
0 구리팔괘연 : 연의 전면을 8색으로 등분하여 색을 칠하거나 색지를 붙인 연
0 오색연 : 연의 전면을 5등분하여 청, 홍, 황, 흑, 백의 5색으로 칠한 연
0 돌쩌귀연 : 연의 전면을 상하 4가지 색지를 가지고 X자로 귀를 맞추어 붙여서 만든 연
0 소딱지연 : 먹머리동이에 흰 꼭지를 붙인 연
0 거북선연 : 연의 전면에 거북선을 그린 연(봉황연, 박쥐연, 나비연 등)
0 쌍나비연 : 연의 하반부에 쌍나비를 그린 연
0 고기비늘연 : 연의 전면에 고기비늘 모양으로 문양을 그린 연
0 접시연 : 연 중앙에 있는 방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그 구멍 가장자리에 접시 모양으로 둥글게 색을 칠하여 원을 그린 연
0 말굽연(편자연) : 연의 꼭지가 말굽모양으로 검은 색을 오려서 붙인 연
0 방상시연 : 연의 하반부 절반에서 방구멍 가장자리와 약간 띄어놓고 원형으고 돌려 먹칠을 하고 상반부 좌우 양쪽에 붉은 색으로 두 눈을 그린 연
0 상주연 : 연 바탕에 아무것도 칠하거나 붙이지 않은 흰 연
0 액막이연 : 연 표면에 送, 送厄, 送厄迎福 혹은 자기주소 성명 등을 써 넣은 연으로서 대보름날 밤에 멀리 날려 보내는 연
0 제비연 : 연의 하반부에 제비를 그린 연
0 관연 : 보통연보다 허리살이 좌우로 나와서 두 쪽귀까지 종이를 더 붙여 관을 닮은 모양으로 하고 하반부를 먹칠한 연
0 호랑이연 : 연의 모양을 干자 모양으로 만든 연
0 까치날개연 : 연의 모양을 까치 날개 모양으로 만든 연
0 방패연 : 방구멍이 없고 네모 반듯한 연으로서 한 귀퉁이를 접어 머리쪽이 되게 하고 干자 모양의 살을 붙이고 꽁지를 달고 세로 두줄의 벌잇줄과 가로 할벌잇줄을 잡은 연




연의 유래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진덕 여왕 1년에 비담염종의 반란이 있어서 김유신이 토벌을 담당하였는데, 어느날 하늘에서 큰별이 떨어져 여왕이 패할 징조라하여 민심이 소란하였고, 이에 김유신은 큰연을 만들어 남몰래 불을 붙여 하늘에 높이 띄우고 백성들에게 별이 다시 하늘로 올라갔으니 여왕이 크게 승전할것이라고 선전하였다.
그까닭에 민심은 수습되고 군사들은 사기가 충천하여 싸움에 크게 이겼다고 한다.

고려말의 최영장군은 몽고인들의 반란을 평정할 때 불을 연에 매달아 날려 적의 지자성을 불붙이고 병사를 매달아 적성에 침입시켜 성을 빼앗았다고 전해진다.

조선시대 이순신장군은 왜군과의 해전에서 가까운 섬의 아군과 통신하는 신호용으로 연을 사용하였으나 후에는 무기로 사용하였다고 난중일기에 전해진다.

조선시대 영조대왕은 손수 연날리기를 즐겼고 전국적으로 연날리기를 장려하여서 많은 백성들이 계층별로 춘하추동 계절에 관계없이 연날리기를 즐기니 그수가 실로 엄청났었다고 한다.

예로부터 방패연을 집안에 보관하면 액운이 달아나고 행복을 가져온다고 전해 내려왔으며,
음력 정월대보름이면 생년월일, 이름을 적은 연을 높이 띄워 날려버리면 그해의 액운이 날라가 버리고 한해동안 행복을 가져온다는 "액막이연"이라는 우리 고유풍습이 있다.

지금도 백상배 전국 연날리기 대회가 경기도 용인에서 계승되고 있으며, 경남 충무에서도 이순신 장군을 기리기 위해 정월대보름을 기해 전국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서울, 부산, 대구, 진주, 경산등 여러지방에서 개최하고 있다

http://www.happykite.com/mb/index.asp?BID=best_board1&aopt=view&idx=15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