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그것이알고싶다 - 내가 먹는 쇠고기를 알고 싶다

 
반응형

한마디로 지금 우리나라의 시스템이 아직도 멀었고, 속이고 있는 놈들이 하나둘이 아니라는 이야기...
해결책은 약간은 간단하게 설명을 해준다... 뭐 맞는 말이고...
정부에서 말로만 안전하다라고 통계자료만 던져놓고 믿으라고 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이 시식을 하지말고,
국민들이 정말 신뢰할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라는 이야기이다.
다시 말해서 사랑한다라고 말하지 말고, 사랑한다라는것을 몸소 보여달라는 당연한 이야기...

미국 판매업자들을 대변해주면서 안전하다고 믿고 먹으라는 인간들...
아직도 쇠고기를 속여서 팔고, 솜방망이 처벌만 받고 다시 영업을 하는 인간들...
이런 인간들을 못믿고 소고기하면 학을 띠는 인간들....
그리고 그 속에서 죽어가는 우리의 농민들...

위의 악연의 고리의 순환을 누가 끊을수 있을지는 당사자들이 알것이다... 제발 지금이라도 신뢰회복에 제대로 나서주기를 바랄뿐이다.
뭐 국민들이 많은것을 바라기나 하나... 30개월 이상 수입금지, SRM부위 제거, 검역 주권 회수, 쇠고기 판매 단속...
하루가 멀다않고 터지는 불안한 뉴스에 말로만 안전하다말고, 안전하다라는것을 느끼게 해주기를 바랄뿐이다.

제목 : 내가 먹는 쇠고기를 알고 싶다
방송 : 2008년 8월 2일 (토) 밤 11:15

“10억을 준대도 믿을 수 없다”

초등학생 두 딸을 둔 엄마 오 현주 씨는 얼마 전부터 학교급식 대신 아이들 도시락을 싸기 시작했다. 학교 선생님들을 못 믿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산 쇠고기가 수입되는 과정을 보면서 정부나 우리 유통체계에 대한 불신 때문에 엄마로서 최소한의 행동을 하고 싶었다고 했다. 설렁탕을 좋아하던 직장인 김 모 씨도 요즘엔 도시락을 싸서 회사에 간다.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불안감에 음식점엔 가기가 꺼려진다는 것. 회사에는 그녀와 비슷한 이유로 도시락을 싸 온 동료들이 꽤 있어 점심시간에 회사 회의실은 도시락족(族)들로 꽉 찬다. 쇠고기 관련 음식점들의 풍경은 정반대다. 부산의 한 설렁탕집은 가게 앞에 고급 외제차를 세워놓고 현수막을 내걸었다. - ‘한우가 아니라면 이 차를 드립니다’ - 쇠고기 논란으로 매출이 30%넘게 떨어지자 내건 고육지책. 유통업체에도 사정을 설명하고 한우가 아니면 수입차 두 대를 내놓으라는 각서를 쓰게 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이후 가정과 음식점 주변엔 강한 불신감이 흐르고 있다.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지난 7월말에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7명은 미국산 쇠고기를 먹지 않겠다고 답했고 10명 중 4명은 ‘절대 먹지 않겠다’고 했다. 먹을 사람은 먹고 안 먹을 사람은 안 먹을 수 있으면 간단한 문제이겠지만, 혹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미국산 쇠고기를 먹을까봐 불안해하는 것이 현실이다. 20년 넘게 한우를 팔아왔지만 최근 매상이 절반정도 줄었다는 대구의 한 정육점은 요즘처럼 손님들의 불신이 큰 적이 없었다고 한다 “한우가 아니면 10억을 준다고 해도 안 믿습니다”

단속으로 신뢰를 세운다? - 원산지 표시 단속, 60만 음식점과의 술래잡기
불안해 하는 국민들을 위해 정부는 원산지 표시제를 의무화하고 강력히 단속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제 단속 실시 후 여기저기서 적발 소식이 들려오기도 한다. 그러나 단속만으로 음식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을지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다. 광주에 사는 김 모씨는 최근 한 대형음식점을 상대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다. 김 씨는 이 식당에서 집안 어른, 아이들이 같이 가서 쇠고기를 사먹었는데, 이 업체가 지난 5월 미국산 쇠고기를 한우와 섞어서 팔다가 적발되었던 것. 아이한테 수유중인 아내 역시 평소 미국산 쇠고기를 절대 먹지 않겠다는 입장이었지만, 지역내에서 광고까지 내는 큰 식당에서 그런 일을 당한 것이 너무 분했다고 했다. 그러나 업체로부터 어떤 사과도 받지 못했고 최근 다시 영업을 재개한다는 현수막까지 내 건 것을 보고 또 다시 다른 피해자가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는 마음에 다른 피해자들과 함께 지역 시민단체들의 도움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전문가들은 단속 자체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지금 신뢰의 위기는 원산지 표시제 단속으로 해결되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미국산 쇠고기를 단지 ‘값싼 음식’이 아닌 ‘안전하지 않은 음식’으로 여기는 국민들은, 단속의 대상이 되기 이전, 즉 유통단계 이전에 ‘위험한 요소’가 없어지길 원하지, 진입단계부터 ‘안전성’이 통제되지 못한다면 유통단계의 단속 또한 100%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좀 위험할 지도 모른다고 얘기하는 편이 더 안전하다” -일본 식품안전위원의 조언
원산지 표시제와 더불어 정부가 쇠고기의 안전성을 위해 추진하겠다고 밝힌 생산이력추적제는 일본이 이미 전면 실시하고 있는 제도이다. 지난 2001년, 일본에선 광우병이 발생될 리 없다고 정부관계자가 큰소리 친지 불과 몇 개월 뒤에 광우병이 발견돼 큰 홍역을 치렀던 일본은, 생산이력추적제를 비롯, 광우병 전두검사 등 여러 단호한 대책들로 다시 국민들의 신뢰를 되찾았다. 지난 3월 35번째 광우병 소가 발견되었지만 쇠고기 판매량은 전혀 줄지 않았다. 일본의 소비자들은 일일이 생산이력을 확인해서 사지 않더라도 그 시스템이 잘 작동되고 있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국내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쇠고기 수입때도 일본내 기준에 준하는 여러 안전기준을 요구하고 관철시켰다. 20개월령 미만소만 수입하기로 한 것이 대표적인 예. 국내 전문가들과 축산농가들은 개방 후에 대책을 내놓을 것이 아니라 생산이력제등의 대책을 마련한 후 그 기준으로 개방을 해야 했다며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미 수입재개가 된 것으로 이제 다 끝난 것이 아니라 국내의 안전기준을 높여가며 이후에 수입과정에도 그 기준을 반영시켜갈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신뢰를 잃었던 일본정부가 다시금 어렵게 신뢰를 회복해 나가는 과정을 지켜본 前 국가식품안전위원회 위원, 도쿄 의대 가네코 교수는 충고한다. “처음부터 괜찮다, 안전하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이 정도 위험할 수도 있다는, 곤란하고 불리한 정보라도 정부는 솔선해서 발표해야 한다. 단순히 안전하다고만 하면 더 불신감만 생긴다”

얼굴이 보이는 유통을 찾는 사람들.
부천에 사는 김 소희 씨는 최근 두 아이의 저금통장을 털어 강원도 한 지역의 농가들이 송아지를 사는데 보태라며 투자를 했다. 음식에 대한 불안감으로 평소 생협을 이용했던 김씨는 이번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정을 보면서 우리 땅에서 양심적인 생산자들이 먹을거리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게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깨달았다고 한다. 소값 파동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다수의 축산농가들과 달리 김 씨가 투자한 지역의 축산농가들은 소비자들과 약정된 가격에 소를 키워서 제공하기로 했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신뢰협정이 맺여진 것이다.
정부에 실망하고 유통시장에 불안해 하는 소비자들이 안전한 먹을 거리를 위한 신뢰의 싹을 틔우기 위해 스스로 나서고 있다.

[그것이 알고싶다] 에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이후 우리 사회에 퍼져있는 음식에 대한 불안감의 근원이 무엇인지, 그리고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와 우리사회가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