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공이라는 테마로 강의하는 이들이 약방의 감초처럼 쓰는 고전(古典) 몇 가지를 소개하겠다. 1953년 미국의 예일 대학교에서 졸업생을 대상으로 질문을 했다. “지금 현재 당신은 구체적인 목표(Golden List)를 글로 써서 갖고 있습니까?” 이 질문에 단 3%만이 그렇다고 대답했다. 나머지 97%는 그저 생각만 하고 있다거나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20년 후 예일 대학교는 1953년도 졸업생 중 생존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재산을 조사했다. 그런데 다소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3%에 해당하는 즉 졸업 당시 인생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글로 써서 가지고 있었던 집단이 나머지 97%보다 많은 재산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재미있는 조사가 하나 더 있다. 1979∼1989년 하버드대학교 MBA과정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됐다. 1979년 졸업생 중 3%는 자신의 목표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기록해 놓았다. 13%는 목표가 있기는 했지만 기록하지는 않았다. 10년 후 목표가 있었던 13%는 목표가 없었던 84%의 졸업생들보다 평균 2배의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 한편 뚜렷한 목표를 기록해 두었던 3%는 나머지 97%보다 무려 10배의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 바로 <적자성공>법이 주는 마력이다.
수많은 자기개발, 성공학 도서에서 목표를 적는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꼭 나오는 이야기중에 하나인 위의 사례는 많이들 봤을것이다.
대부분의.. 아니 거의 모든 사람들은 아~ 목표를 확실하게 정하고, 기록을 하는것이 정말 중요하구나라고 생각이 들것이고, 수많은 자기개발, 성공학 저자와 강사들은 열변을 토한다.
물론 아무런 목표, 목적도 없이 사는것은 문제이고, 자신의 구체적인 목표, 꿈, 비전, 사명, 가치 등을 적어둔다는것은 분명 없는것보다 훨씬 나을것이다.
그리고 분명 타인의 조언이 아닌, 자기 스스로 그러한 행동을 한다는 자체는 다른 삶, 다른 행동을 이끌어 낼수도 있을것이다.
하지만 누구나 자신의 구체적인 목표를 기록하는것만으로 위와 같은 성공적인 삶의 대열에 낄수 있을까?
|
목표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단골로 인용되는 연구가 있다. 일명 ‘예일 대학 졸업생의 목표 달성 추적 연구(Yale Goal Study)라는 것이다. 1953년 한 연구팀이 예일 대학 졸업반 학생들에게 인생에서 성취하고 싶은 목표를 구체적으로 적어놓은 게 있는지 물어보고 20년 후에 그 졸업생들을 추적해보았더니,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3%의 학생들이 나머지 97%의 동창생보다 더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많이 알려진 이야기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이 있었으니, 이 연구가 실제 행해진 적이 없다는 것이다. 2007년 〈패스트 컴퍼니〉 지의 기자 로렌스 태백이 당시 1953년 예일대 동창회 총무 등을 인터뷰한 결과, 이 연구가 실제로 행해졌다는 증거를 전혀 얻을 수 없었다. 기본적인 사실 확인도 없이 인용에 재인용을 거듭해온 이 연구는 이렇게 전설로 남게 되었다.
한마디로 그러한 연구는 한적도 없는데, 어느새 전설이 되어 버린 이야기...
http://book.naver.com/search/text_search.nhn?sm=sta_hty.book&sug=&where=nexearch&query=%EC%A1%B8%EC%97%85%EC%83%9D+%EB%AA%A9%ED%91%9C+%EA%B8%B0%EB%A1%9D
네이버책에서 본문검색을 통해서 해보니, 수많은 책들이 인용을 한듯...
목표설정과 목표 달성, 기록은 행동을 지배한다, 비전설정,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세우라, 목표를 세운후에는 반드시 기록하라 등등 대부분 자기계발, 성공학 관련도서들...
뭐 위의 글에 자극을 받고, 자신의 목표를 적고, 행동하면서 큰 발전을 이룬 사람도 있겠지만,
근거도 없는 말에 무조건 맹신을 하지는 않았으면 하는 바램에 적어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