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엘 일기

 
반응형




다치바나 다카시의 "뇌를 단련하다"를 읽다가 알게 된 일기문학...
나도 3년째 계속 일기를 써오고 있지만, 처음에는 그냥 일지같이 써오다가 괴테의 젋은 베르테르의 슬픔, 김훈의 칼의 노래, 참을수 없는 글쓰기의 유혹, 고흐의 일기, 그리고 이 책 아미엘의 일기를 읽으면서 조금씩 사색의 내용이 더해지고 있다.
아무도 없는 깊은 숲속의 나무 한그루가 쓰러졌는데, 과연 그 나무가 쓰려졌을때 소리가 났을까 안났을까라는 명제를 들은적이 있다. 답은 모르겠다.
하지만 삶면서 혼자서라도 사색하고, 고민하고, 번뇌하고, 인생에 대해서 조금씩 알아가고, 배워가고, 느낀다는것이 다른 사람에게 알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지 못했다고 하더라고.. 그 인생은 의미있는 인생이라고 말할수 있다면...
나의 인생도.. 깊은 숲속의 나무의 쓰러지는 소리도 들렸을 것이다.

결국에는 어렵게 어렵게 다 읽었다. 얼마되지는 안는 분량인데.. 70년대에 해석한것이라서 그런지 모르는 단어들이 많고, 번역이 매끄럽지 않다. 나중에 완역본 말고, 편역한 책으로 다시 한번 봐야겠다.
암튼 이게 일기인지.. 문학인지 할정도로 그의 일기는 정말 심오한 사색으로 이루어져있다. 정말 열심히 생각하고, 열심히 써서 나도 그처럼.. 아니 그를 능가하는 능력을 가지고 싶다. 오늘은 무슨일이 있었다.라는 식의 초딩일기는 그만두고, 나의 생각, 사색, 사상등을 쓰고, 정리하고 발전시키는 장으로 일기를 활용해 나가야겠다.


<도서 정보>제   목 : 아미엘 일기(범우문고 183)
저   자 : 아미엘
출판사 : 범우사
출판일 : 2003년 3월
구매처 : 교보문고
구매일 : 2006/2/25
일   독 : 2006/5/10
재   독 :
정   리 :

<이것만은 꼭>
많이 생각하고, 그것을 글로 남겨서 체계화시키고,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자!


<미디어 리뷰>

저자 : 아미엘 (H. F. Amiel, 1821~1881)
스위스의 철학자, 문학자. 남서부의 제네바 출생.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뒤 제네바 대학에서 미학을 가르쳤으며, 그 후에 철학교수가 되었다. 프랑스어로 사고하면서 독일철학에 깊은 영향을 받은 그는 독불 두 문화가 서로 침투한 보기 드문 예가 되었다. 1만 7천 페이지에 이르는 <아미엘 일기>의 일부가 출판되면서 유명해졌다.

루소와 마찬가지로 아미엘도 이상의 제네바인이다. 그것은 그의 내부의 중립과 지성과 독립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미엘은 자아와 보편적 우주의 생명과의 대결, 무한에 대한 동경, 절대에 대한 갈망 등의 문제를 추구하는 반면, 스스로 자아의 유동적이고 끝없는 무와 동등한 상태를 사고의 해부대 위에 올려놓고 집요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일기에 기록하고 있다.

스위스 문학자이며 철학자인 아미엘이 쓴, 수양서 성격을 띠고 있는 사적인 에세이. 한국 수필문학의 거장 피천득,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 등이 극찬을 아끼지 않았던 책이다. 그것은 이 일기가 단순히 한 개인의 신변잡기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생과 인간에 대한 의문, 사상과 행복, 고독과 비애 등 인간 내면에 대해 매우 깊이 있는 성찰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18세 때부터 죽기 직전인 60세에 이르기까지의 일생을 모두 담은 이 책은, 스스로 세상과 담을 쌓을 정도로 소심한 철학가가 자신의 내면을 파헤쳐, 자기 분석의 즐거움과 기쁨을 찾아가는 순수한 영혼의 발자취이다. 그의 일기는 그가 죽은 후 1923년에 다시 발간되어 식민지 쟁탈과 영토분쟁으로 전쟁이 끊이지 않고 인간과 생명, 윤리와 도덕에 대한 존엄성이 퇴색되어 가던 혼란기의 유럽에 큰 반향과 각성을 불러일으켰다.

<책속으로>

시원하고 맑은 아침. 먼 곳으로의 산책.
산사나무와 들장미가 피기 시작했다.
어딘지 모르게 건강함이 묻어나는 들내음,
눈부신 안개로 자태를 감춘 부아롱 산맥,
찬란한 비로드로 옷을 맞춘 살레브 산.
밭에서 수고하는 농부들.
귀여운 나귀 두 마리.
그 중 한 마리는 막 싹을 틔운 어린 순잎들을 맛나게 먹고 있었다.
귀여운 아이들 세 명.
나도 모르게 입맞추고 싶었다.

한가로움,들의 평화, 해맑은 날씨.
오랜만에 상쾌한 기분을 흠뻑 느꼈다.
향기로운 목장과 짙푸른 과수원이 활자에 길들여진
나의 눈가를 어루만진다.
풀섶과 나무줄기 사이에서 생명의 노랫소리가 들린다.

이처럼 고요한 행복을 누린다는 것이 내겐 너무 과분한 게 아닐까?
분수에 넘치는 사치는 아닐까?
오늘만큼은 복잡한 머릿속을 떠나
내게 베푸는 하늘의 호의를 즐기고 감사하고 싶다.

머지않아 날씨가 흐려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런 행복한 감상 또한 곧 나의 곁을 떠날 것이다.
그러니 더욱 이날의 외로움과 기쁨을 받아들이자.
축복의 자연이여, 오라, 미소지어라,
나를 유혹하여라.
아주 잠시 동안이라도 나의 슬픔을 덮어주려무나.
그리고 너를 보며 더욱 넋을 잃게 해주려무나.


인간끼리의 연대는 각자의 책임과 개인의 자유보다 명백하고 확실한 사실이다. 우리의 의존은 독립보다 뛰어나다. 실제로 우리가 독립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욕망에 대해서이고, 건강과 자연, 사회, 즉 우리의 안팎에 있는 모든 것에 의존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의 자유의 범위는 한 점에 지나지 않는다. 그 한 점에 서서, 우리는 그런 모든 숙명적인 압력을 향해 저항하며 "짓밟으려면 짓밟아 보아라. 너희들은 내 동의를 얻을 수 없어"하고 외치고 있다. 우리는 의지의 힘으로 필연성에 대항하며, 그것에 대한 존경과 복종을 거부할 수 있다. 이것이 우리의 정신적 자유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