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강에 나갔다가 벗나무에 달려있는 매미허물을 처음으로 봤다는...
근데 이게 약효가 꽤 좋은듯 하더군요...
▶ 항암작용, 진경작용, 진정작용, 항경련작용, 신경절차단작용, 해열작용, 풍열표증(외감 풍열), 감기, 홍역, 마진의 발진이 늦은 증상, 두통, 현기증, 눈앞이 뿌옇게 되는 여러 가지 증상, 해수, 치질(치핵), 피부가려움증, 영아가 입을 다물고 젖을 빨지 않는 증상, 화농성 중이염, 풍진소양, 목적(目赤), 예장(翳障), 정창종독(疔瘡腫毒), 두드러기(담마진), 만성두드러기, 소아경풍, 파상풍, 예막, 목이 쉰 것을 다스리는 매미허물
매미는 매미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매미목의 몸 크기는 날개 끝까지 길이는 1~11cm까지 다양하고, 종에 따라 날개가 짧은 단시형과 긴 장시형이 있다.
우리나라 매미중에서 말매미는 약 6.5cm 로 몸길이가 가장 크다. 말매미의 수컷은 무더운 여름철에 대단히 시끄러운 소리를 내며 운다.
여름에 울음소리를 내는 매미과가 대표적이지만, 울지 않는 매미충류와 멸구류, 진딧물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불완전탈바꿈을 하며 보통 양성생식에 의해 번식되나, 단성생식을 하는 종도 있다. 모두 육지에 살고, 식물의 즙액을 빨아 먹고 살며 비교적 아름답고 몸의 생김새가 좌우대칭인 곤충이다.
머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더듬이는 4~5마디로 짧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입틀은 빠는 입으로 빨대형 주둥이를 갖추고 있으며, 앞뒤 날개는 모두 막질로 되어 있고 쉴 때는 지붕 모양을 접어 둔다.
멸구류와 매미충류는 벼의 주요 해충으로 방제 대상이고, 깍지벌레류는 약으로 없애기도 어려운 해충들이지만 이것은 인간의 관점에서 본 것이고,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매미의 역할은 크다고 한다.
보통 말매미가 소리를 내고 울면서 사는 기간은 얼마나 될까? 보통 땅속에서 6년여를 보낸 다음 흙 속에서 애벌레가 되어 나무로 올라간다. 그리고 머리와 가슴이 빠져나오고 그 다음 다리를 빼낸다. 조금있으면 굳은 다리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곧 날개가 완전히 커지고 몸에 검은빛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말매미의 탈피과정은 약 3시간안에 모두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렇게 땅속에서 올라온 애벌레가 껍질을 벗고 우화하여 사는 기간은 약 10여일을 살다가 죽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름담게 생긴 모습에 비해서 너무 짧은 생애가 아닌가 싶다. 하지만 그보다 더 짧은 생애를 사는 하루살이도 있으므로 조금 위로가 될 것 같다.
매미목은 전세계적으로 약 4만 4,000종이 기록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940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매미과의 곤충인 말매미 즉 흑책[黑蚱: Cryptotympana atrata Fabricus)]의 우화(羽化)한 후의 탈피한 껍질을 약용한다. 살아있는 말매미도 약용한다.
출처 - http://jdm0777.com/jdm/seontoe.htm
매미는 매미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매미목의 몸 크기는 날개 끝까지 길이는 1~11cm까지 다양하고, 종에 따라 날개가 짧은 단시형과 긴 장시형이 있다.
우리나라 매미중에서 말매미는 약 6.5cm 로 몸길이가 가장 크다. 말매미의 수컷은 무더운 여름철에 대단히 시끄러운 소리를 내며 운다.
여름에 울음소리를 내는 매미과가 대표적이지만, 울지 않는 매미충류와 멸구류, 진딧물 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불완전탈바꿈을 하며 보통 양성생식에 의해 번식되나, 단성생식을 하는 종도 있다. 모두 육지에 살고, 식물의 즙액을 빨아 먹고 살며 비교적 아름답고 몸의 생김새가 좌우대칭인 곤충이다.
머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더듬이는 4~5마디로 짧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입틀은 빠는 입으로 빨대형 주둥이를 갖추고 있으며, 앞뒤 날개는 모두 막질로 되어 있고 쉴 때는 지붕 모양을 접어 둔다.
멸구류와 매미충류는 벼의 주요 해충으로 방제 대상이고, 깍지벌레류는 약으로 없애기도 어려운 해충들이지만 이것은 인간의 관점에서 본 것이고,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매미의 역할은 크다고 한다.
보통 말매미가 소리를 내고 울면서 사는 기간은 얼마나 될까? 보통 땅속에서 6년여를 보낸 다음 흙 속에서 애벌레가 되어 나무로 올라간다. 그리고 머리와 가슴이 빠져나오고 그 다음 다리를 빼낸다. 조금있으면 굳은 다리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곧 날개가 완전히 커지고 몸에 검은빛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말매미의 탈피과정은 약 3시간안에 모두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렇게 땅속에서 올라온 애벌레가 껍질을 벗고 우화하여 사는 기간은 약 10여일을 살다가 죽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름담게 생긴 모습에 비해서 너무 짧은 생애가 아닌가 싶다. 하지만 그보다 더 짧은 생애를 사는 하루살이도 있으므로 조금 위로가 될 것 같다.
매미목은 전세계적으로 약 4만 4,000종이 기록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940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매미과의 곤충인 말매미 즉 흑책[黑蚱: Cryptotympana atrata Fabricus)]의 우화(羽化)한 후의 탈피한 껍질을 약용한다. 살아있는 말매미도 약용한다.
출처 - http://jdm0777.com/jdm/seontoe.htm
뭐 일반인이야 그다지 필요가 없겠지만, 이거 잘 모아서 한약상에 팔수도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암튼 참 신기하고, 나중에는 허물을 벗는 모습을 직접 한번 봤을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나저나.. 나도 지금의 허물을 벗어야 하는데...-_-;;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