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홍 - 100일동안 피어있는 아름다움

 
반응형

집앞에 앞집 아저씨가 심어놓았는데, 이름을 찾아보니 백일홍이라고...
7월부터 10월까지 피는데, 100일동안 그 아름다움을 뽑내는듯...
색과 모양도 다양한데, 백일화, 백일초라고도 불리운다고...











여름이 다가오면 화단꽃들이 달라진다. 봄철  화단을 장식하던 팬지는 사라지고 살비아나 백일홍(Zinnia elegans)같은 꽃들이 자리를 차지한다.

백일홍은 국화과 식물로 꽃잎 하나에 암술과 수술이 있다. 품종에 다라서는 중심부분에도 꽃이 핀다. 그 꽃들이 모두 모여 한 송이처럼 보인다. 이렇게 피는 꽃을 집단화(composite flower)라 하는데 국화도 집단화이다. 백일홍꽃이 피는 모습을 보면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장미같은 꽃은 꽃잎이 모두 뭉쳐있다가 함께 벌어지는데, 백일홍은 꽃잎이 각기 자라서 핀다. 꽃받침이 벌어지면 중심부에서 죽순같은 것이 하나씩 하늘을 향해 자란다. 원통모양으로 동그랗게 말린 꽃잎들이다. 길이가 어느정도 자란 꽃잎들은 밖으로 벌어지면서 조금씩 말린 것이 풀린다. 중심부에서는 계속 꽃잎이 자라면서  바깥쪽 에서는 꽃잎이 활짝 벌어진다. 백일홍꽃을 가만히 보면 중심에 가까운 꽃잎이 약간 말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중에 피었기 때문이다.

백일홍 꽃잎이 처음 자라날 때 모습은 마치 옛날 시집갈 때 신부가 쓰던 족두리 같다. 백일홍의 전설은 이 꽃이 백일 동안 피기도 하지만 이 족두리 같은 모습에도 유래한다. 어촌마을에 갑자기 나타나 행패를 부리는 이무기를 달래기 위해 한 처녀가 제물로 바쳐지게 되었다. 그 때 한 장사가 이무기를 물리치자 처녀는 이미 죽었던 목숨이니 장사에게 시집가기를 청한다. 장사는 자신이 용왕의 아들로 이무기의 다른 짝을 마저 물리친 후 흰 돛을 달고 백일 후에는 꼭 돌아오겠다며 떠난다. 백날을 기도하며 기다리던 처녀는 백일 째 되는 날에는 화관단장하고 절벽 위에서 장사를 기다렸다. 그러나 붉은 돛을 단 배가 나타나자 처녀는 절망하여 절벽에서 뛰어내려 죽고 말았다. 이무기의 피가 튀어 돛이 붉게 물든 줄 모르던 장사는 처녀의 죽음을 알자 크게 슬퍼하였다. 그 후 처녀의 무덤에서는 족도리 같은 모습의 꽃이 피어 백일 동안을 피었다. 사람들은 백일 동안 혼례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던 처녀의 정성이 꽃으로 피었다 하여 백일홍이라 불렀다. 이 이야기를 듣고 나면 백일홍이  무척이나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 살아온 듯한 생각이 든다.  그러나 『물보』에 의하면 약 200여년 전에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한다.

 백일홍의 원산지는 멕시코로 남미에서는 이 꽃이 마귀를 쫒고 행복을 부르는 꽃으로 생각한다. 꽃말은 '희박해 가는 우정에 대한 근심, 떠나간 님을 그리다. 죽은 친구를 생각하다'이다.백일홍은 우리나라 기후에 잘 맞는 여름 꽃이다. 햇빛을 좋아하고 고온에 강하기 때문이다. 16∼30℃에서 잘 자라므로, 7월부터 10월까지 핀다. 4월 중순 경 화단에 씨를 뿌리면 여름 내 화사한 꽃을 즐길 수 있다. 씨는 11월 경 열매가 익으면 딴다. 늦게 씨를 받거나 씨를 받기 전에 비가 와버리면 꽃이삭에서 싹이 트기도 한다. 물주기는 흙이 마른다 싶게 놔두었다가 충분히 물을 준다. 화단에 심는 경우 빗물이 튀어 잎이 시들기 때문에, 훍표면을 비닐로 덮어주면 좋다. 꽃색은 노랑,빨강,주홍,분홍 등이 있으며, 꽃잎이 여러 겹 겹쳐있는 겹꽃이 많으나 홑꽃도 있다.



집앞 화단에 엄마가 심어놓은 백일홍...


꽃안에 또 이쁜꽃이 피어있다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