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EBS 다큐프라임 - 공부의 왕도 - <제2부> 정서가 학습을 지속시킨다

 
반응형



긍정적인 마음가짐, 표정, 할수 있다는 자신감, 말의 중요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 방송...
내 삶속에서 나도 모르게 나를 갉아먹고 있는 부정적인 마음, 일그러진 얼굴, 패배감, 부정적인 언어들을 이번 기회에 뿌리뽑아야 겠다.

01234


제2부 정서가 학습을 지속시킨다

정서는 지성의 일부

초등학교 교실. 올망졸망한 눈망울의 아이들이 입에 기다란 볼펜을 물고 진지한 표정으로 무언가를 보고 있다. 아이들은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한 쪽은 볼펜을 입에 물고 입술을 뾰족이 내밀고 있고 다른 한 쪽은 이를 한껏 드러낸 채 볼펜을 물고 있다.

이번에는 대학생 남녀 4명이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뉜 채 한 쪽은 뾰루퉁한 표정을, 다른 한 쪽은 이를 드러낸 채 볼펜을 물고 있다.

'이를 드러내고 웃는 표정‘을 짓고 있는 그룹은 좋은 기분 상태를, ’뾰루퉁한 표정‘을 짓고 있는 그룹은 가라앉은 기분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들에게 표정을 짓고 있는 동안 보여준 내용을 기억하도록 했다.

독일 괴팅겐 대학의 프리드리히 헤세 교수(심리학)는 이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경향을 보인다면 전체론적이라고 부르는 사고방식을 갖게 되고, 기분이 나쁠 때는 분석적으로 생각한다.” 라고 정리했다.

과연 학습 상황에서 ‘마음’은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일까?

하버드대 커트 피셔 교수(교육학)는 “인지는 지성을 위한 것이고 이것이 정서와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되고 정서도 지성의 일부라고 보아야 한다.”고 한다.

독일 괴팅겐 대학의 프리드리히 헤세 교수(심리학) 역시 “얼굴표정, 감정상태, 사고방식, 학습효과는 하나로 엮여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한다. 뇌가 하는 일은 곧 마음이 하는 일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성공의 경험, 자신감의 전염

전교생이 30명 안팎인 강화양도초등학교. 이 학교 4학년,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종이비행기날리기 프로젝트’를 약 4주간 진행했다. 학생들은 ‘아무런 기록을 하지 않고 그냥 날리기만을 하는 그룹’, ‘날리기 기록을 개념도로 작성하는 그룹’, ‘날리기 기록을 표나 그래프로 작성하는 그룹’ 세 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눠졌다.


얼핏 단순한 놀이처럼 보이던 프로젝트의 횟수가 거듭될수록 각 그룹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표나 그래프 작성’을 하도록 한 그룹은 프로젝트 초기, 기록 자체가 번거로워 부담스러워 했으나 프로젝트 종료 후 가장 높은 흥미도를 보이고 ‘학습에 대한 자신감’마저 보였다.

이에 대해 서울대 문용린 교수(교육학)는 “자신감이라고 하는 건 예컨대, 공부를 하면서 국어 공부에 자신감이 생기면 이런 자신감은 확산되고 전염이 된다.”고 강조했다.


학습을 지속시키는 힘, 긍정적 정서


“제 성격이요? 긍정적이에요.” 1부 실험에 참가했던 8명 대학생들의 한결같은 대답이다. 가끔 시험 성적이 좋지 않게 나오더라도 자신없는 과목이 생기더라도 낙담하지 않았다. 이들을 이끈 8할은 긍정적인 마인드였다.


제작진은 한 가지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서울 금양초등학교 3학년, 4학년 각 한 학급에서 ‘낙관성테스트’를 실시하고 학업 성취도는 높지만 낙관성지수가 낮은 학생 한 명을 선정해 4주간의 ‘언어습관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언어습관프로젝트는 펜실베니아대학 마틴 셀리그만 박사가 1985년 실시했던 실험을 바탕으로, 아이와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누는 엄마와의 사이에서 부정적인 언어는 줄이고 긍정적인 언어를 의도적으로 많이 하도록 하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 초기, “난 불행해.”라고 습관적으로 말하거나 앞으로의 예측에서 모호한 태도로 일관하던 윤식이는 학교 시험을 앞두고 엄마에게 먼저 “시험 잘 볼 자신이 있다.”거나 “시험 잘 볼 것 같다.”는 긍정적인 말을 표현하며 조금씩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프로젝트 진행 중인 어느 날, 윤식이네 반에서 한 가지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보았다. 낙관성테스트에서 낙관성지수가 높은 학생들과 낮은 학생들을 나누고 높은 학생들에게는 점점 어려운 영어 단어를 암기하도록 했고 낮은 학생들에게는 평이한 난이도의 영어 단어를 단계별로 암기하도록 했다.

결과는 신기하게도 낙관성지수가 높은 학생들 중에는 단계가 높아질수록 암기 자체에 거부감을 나타내거나 아예 포기하려는 학생들이 늘어갔다. 이에 반해 평이한 난이도의 단어를 받은 아이들은 더 높은 단계의 문제에도 도전 의지를 강하게 보였다. 바로 ‘학습된 무력감’의 현상이다. 미국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은 ‘학습된 무력감’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윤식이와 엄마가 진행한 ‘언어습관프로젝트’는 바로 ‘학습된 무력감’을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서울대 문용린 교수(교육학)가 “자신감이나 낙관성은 훈련, 경험에 의해 높았던 아이가 낮아질 수도 있으며, 낮았던 애가 높아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학습을 지속시키는 힘, 긍정적인 마인드를 형성하는 것은 인지세계의 냉엄한 논리를 이해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공부의 왕도’ 두 번째 법칙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