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스페셜 다큐 - 유언, 죽음을 기억하라!

 
반응형


정말 숙연해지고... 인생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해주는 프로그램...
보면서.. 보고나서 많이 답답하고... 정말 이렇게 살다가 죽으면 어떻하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만약에 지금 유언을 남긴다면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할지도 모르겠는데, 어떤분이 말씀을 하시더군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중에 하나가 죽음이고, 죽음이라는것은 자기 자신의 존재가 사라지는것인데,
그것을 대비하지 않고 살아간다면 그건 인생에 대한 직무유기라고요...-_-;;

아무튼 조만간 조용한곳에서 깨끗한 마음으로 지나간 인생을 돌아보고,
남은 인생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곰곰히 생각해 봐야 겠습니다.


'유언 -죽음을 기억하라!’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무엇인가?

주변에서 항상 사람들이 늙고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도
우리에게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을 거라 생각하는 것이다’
(인도 서사시 mahabharata에서)

삶은 곧 죽어가는 과정이다.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어간다.
여기 십여 명의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과거에, 또는 바로 지금 죽음에 직면했다.
기적적으로 살아난 사람들도 있고, 몇 년 또는 몇 달 내에 닥쳐올 죽음과 마주 서 있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작 도중 죽음과 만난 사람도 있다.  

그들은 말한다.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불치병으로 살날이 많이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 사람들,
또 사고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 온 사람들이 생생하게 들려주는
‘내 생애 마지막으로 남기고 싶은 이야기’, 유언.  

이들이 자녀와 배우자, 그리고 세상 사람들에게 남기는 유언을 들어보고,
죽음에 대한 준비, 웰 다잉(well-dying)에 대해 생각해본다.

‘죽음을 이해하는 사람만이 진정으로 삶을 껴안을 수 있다.’

‘유언 -죽음을 기억하라!’

방송 : 10월16일(일요일) 밤 11시
연출: 보도제작국 이주형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무엇인가? 주변에서 항상 사람들이 늙고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도 우리에게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을 거라 생각하는 것이다’ (인도 서사시 mahabharata에서)

삶은 곧 죽어가는 과정이다.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어간다. 다만 이를 깨닫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을 뿐.

여기 십여 명의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과거에, 또는 바로 지금 죽음에 직면했다. 기적적으로 살아난 사람들도 있고, 몇 년 또는 몇 달 내에 닥쳐올 죽음과 마주 서 있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작 도중 죽음과 만난 사람도 있다.

그들은 말한다.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불치병으로 살날이 많이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 사람들, 또 사고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 온 사람들이 생생하게 들려주는 ‘내 생애 마지막으로 남기고 싶은 이야기’, 유언!

이들이 자녀와 배우자, 그리고 세상 사람들에게 남기는 유언을 들어보고, 죽음에 대한 준비, 웰 다잉(well-dying)에 대해 생각해본다.

‘죽음을 이해하는 사람만이 진정으로 삶을 껴안을 수 있다.’

<가상 임종체험 - “죽어도 여한이 없는 분은 돌아가세요.”>

죽음을 미리 경험해 보는 가상 ‘임종체험’에 참가한 사람들, 폭 1m도 채 안 되는 좁은 관 속에 누워 죽음과 직면한 순간 삶에 충실하리라 다짐한다. 유언장을 쓰고 영정사진을 찍은 뒤 관 속에 묻히는 상황까지 겪어보는 ‘임종체험’은 이승과 저승, 그 사이에서 삶을 정리하는 시간이다.

<이지선 - “진짜로 중요하고 영원한 것은….”>

지난 2000년 자동차 6중 추돌 사고로 전신 55%의 화상을 입은 이지선 씨. 의사마저 포기했던 죽음의 순간을 넘기고 ‘재활상담심리학’을 공부하러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이지선 씨, 삶에서 진정으로 소중하고 영원한 것은 무엇인지 말한다.

<박현성 - “같이 비참해지지 맙시다.”>

세 번의 자살 시도 끝에 입은 전신 화상, 3년 6개월 간의 투병생활. 젊은 시절의 잘못된 선택을 불굴의 재활 의지로 이겨낸 복서 박현성 씨. 그를 엄하지만 인정 많은 지도자로 만든 밑거름은 바로 ‘죽음의 체험’이었다.

<신도신 - “나를 기억해 줘.”>

신도신 씨는 온몸이 점점 굳어져 움직일 수 없게 되고, 결국 죽게 되는 루게릭병 환자다. 지난 3월, 자신도 암투병을 하면서 그녀를 간호했던 남편이 죽고, 이젠 그녀를 꼭 닮은 두 딸만이 그녀가 사는 세상의 전부가 됐다. 지금 신도신 씨는 두 딸과 함께 다가올 죽음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조용히 준비하고 있다.

<손세진 - “좋은 세상입니다.”>

78세의 말기암 환자 손세진 옹. 그에게 죽음은 불현듯 찾아왔다.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 퇴직한 뒤 가업인 과수원을 경영하며 평생 부지런히 살아온 그다. 삶에 대한 아쉬움과 회한으로 가득 차 아직 자신의 발밑에 드리워진 죽음의 그림자를 완전히 받아들일 수 없는 손세진 옹의 이야기.

<효광스님 - “정신 좀 차리라고 하고 싶어요.”>

숲길을 거닐며 자연과 대화하듯 단소를 불고, 전원 속 사찰에서 삶의 여유를 누리며 살아가는 효광스님. 말기암 환자로서 죽음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삶을 긍정적으로 껴안으려는 그의 의지는 서두르지 않는 느리고 낮은 독경 속에 담겨 있을까.

<5 人의 영상 유언>

서울노인복지센터에서 만난 5명의 노인들이 배우자와 자녀, 세상 사람들에게 남기는 소중한 이야기. 생애 마지막에 남기고 싶은 그들의 눈물어린 유언을 들어본다.

<박일준 - “처음엔 유언에 대해서 생각도 안 했습니다.”>

혼혈인으로 차별 속에서 살아왔고, 4년 전에는 간경변으로 살아날 확률이 반도 안된다는 진단을 받았던 왕년의 인기 가수 박일준 씨. 삶의 아픈 상처를 술로 삭이면서 병든 그의 마음과 몸은 잊고 있었던 가족, 그 안에서 다시 태어났다.

<엄홍길 - “삶과 죽음에 차이가 없다는 거죠.”>

8091미터 높이의 안나푸르나를 오르다 오른쪽 발목이 180도 돌아갔지만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왔던 산악인 엄홍길 씨. 엄씨는 거대한 자연 속에 삶과 죽음이 결코 다르지 않았다고 말한다. ‘히말라야의 작은 탱크‘ 엄홍길 씨가 말하는 삶과 죽음 이야기

<윤석화 - “그저 궁극적인 말은….”>

죽음의 의미을 진지하게 탐색하는 연극 <위트>에서 말기 난소암 환자로 출연한 연극인 윤석화 씨. 그녀는 이 무거운 주제의 연극에 연기 인생을 걸었다. 그녀가 가족, 팬, 세상 사람들에게 남기는 마지막 단 한마디, 유언은 무엇일까?

<성바오로 병원 호스피스 병동 - ‘마리아의 임종’>

공격적인 치료 없는 품위있는 죽음, ‘웰 다잉’을 추구하는 성바오로 병원 호스피스 병동. 제작진은 이 곳에서 생과 사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들고 있던 대장암 말기환자 정인숙씨를 만났다. 그녀가 죽음과 만나는 ‘임종 순간’까지 침상을 지키는 두 딸과 남편, 가족들의 모습은 가족애와 더불어 삶을 평안하게 매듭짓는 죽음, ‘웰 다잉’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반응형